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유학사

조선유학사

  • 현상윤
  • |
  • 심산
  • |
  • 2010-07-15 출간
  • |
  • 720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89721963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7,6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6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교주자 서문 5
서문 9
일러두기 18

제1장 서 론
제1절 조선 유학의 본질 _ 19
제2절 조선 유학의 조선 사상사에 끼친 영향 _ 21
1. 공(功) _ 22 2. 죄(罪) _ 24
제3절 조선 유학의 동양사(東洋史) 상에 점(占)한 위치 _ 28

제2장 나려(羅麗) 시대의 유학
제1절 조선 유학의 기원 _ 33
제2절 나려 시대 유학의 학풍 _ 34
제3절 나려 시대의 대표적 유학자 _ 35
1. 설총(薛聰) _ 35 2. 최치원(崔致遠) _ 36 3. 최충(崔?) _ 36
4. 안유(安裕) _ 37 5. 백이정(白?正) _ 39 6. 우탁(禹倬) _ 39
7. 권보(權溥) _ 40 8. 이제현(李齊賢) _ 40 9. 이색(李穡) _ 42
10. 정몽주(鄭夢周) _ 48 11. 권근(權近) _ 50 12. 길재(吉再) _ 53
13. 정도전(鄭道傳) _ 54

제3장 조선 초기의 유학
제1절 조선의 정책과 유학의 장려 _ 56
제2절 조선 초기 유학의 학문적 경향 _ 57
제3절 조선 초기의 저명한 유학자 _ 58
1. 김종직(金宗直) _ 59 2. 김굉필(金宏弼) _ 62 3. 정여창(鄭汝昌) _ 65
제4절 절의(節義) 문제 _ 66
1. 사육신(死六臣) _ 67 2. 생육신(生六臣) _ 72 3. 공신(功臣) _ 73
제5절 무오사화(戊午士禍) _ 74

제4장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유학
제1절 지치주의 유학의 특색 _ 77
제2절 조광조(趙光祖)의 지치주의 _ 78
제3절 지치주의 운동의 좌절 _ 83
제4절 지치주의 유학파의 학자 _ 89
1. 김정(金淨) _ 89 2. 김식(金湜) _ 91 3. 김구(金絿) _ 92
4. 기준(奇遵) _ 92 5. 김안국(金安國) _ 93 6. 김정국(金正國) _ 93

제5장 성리학
제1절 성리학의 조선 유학사(儒學史) 상에 기여한 위상 _ 95
제2절 성리학이 융성하게 된 유래 _ 96
제3절 성리학의 학풍 _ 97

제4절 조선 성리학의 내용 _ 98
제5절 저명한 성리학자 _ 99
1. 서경덕(徐敬德) _ 100 2. 이언적(李彦迪) _ 111 3. 이황(李滉) _ 117
4. 조식(曺植) _ 141 5. 이항(李恒) _ 145 6. 김인후(金麟厚) _ 149
7. 기대승(奇大升) _ 151 8. 이이(李珥) _ 155 9. 성혼(成渾) _ 188
10. 장현광(張顯光) _ 189

제6장 이황?이이 전후의 일반 명유(名儒)
제1절 학문적 경향 _ 196
제2절 저명한 유학자와 학문사상의 대략 _ 197
1. 성수침(成守琛) _ 197 2. 백인걸(白仁傑) _ 197 3. 유희춘(柳希春) _ 198
4. 정지운(鄭之雲) _ 200 5. 노수신(盧守愼) _ 200 6. 이지함(李之?) _ 208
7. 박순(朴淳) _ 209 8. 박지화(朴枝華) _ 210 9. 민순(閔純) _ 210
10. 송익필(宋翼弼) _ 210 11. 서기(徐起) _ 213 12. 조목(趙穆) _ 214
13. 유성룡(柳成龍) _ 215 14. 김성일(金誠一) _ 221 15. 김우옹(金宇?) _ 221
16. 조헌(趙憲) _ 222 17. 안방준(安邦俊) _ 224 18. 이정구(李廷龜) _ 224
19. 신흠(申欽) _ 225 20. 이식(李植) _ 227 21. 장유(張維) _ 229
22. 선우협(鮮于浹) _ 233 23. 오건(吳健) _ 234 24. 최영경(崔永慶) _ 235

제7장 예학(禮學) 중심의 유학
제1절 예학 숭상의 필연적 추세 _ 237
제2절 예학파(禮學派)의 유학자 _ 239
1. 정구(鄭逑) _ 239 2. 김장생(金長生) _ 240 3. 김집(金集) _ 243
4. 정경세(鄭經世) _ 245 5. 송준길(宋浚吉) _ 249 6. 이유태(李惟泰) _ 250
7. 유계(兪棨) _ 251 8. 박세채(朴世采) _ 252

제8장 모화(慕華)사상의 고취
제1절 모화사상 고취의 유래 _ 257
제2절 모화사상 고취의 대표자 _ 259
1. 김상헌(金尙憲) _ 259 2. 정온(鄭蘊) _ 261 3. 홍익한(洪翼漢) _ 264
4. 윤집(尹集) _ 264 5. 오달제(吳達濟) _ 265 6. 송시열(宋時烈) _ 265

제9장 당쟁(黨爭)시대의 유학
제1절 유학사상과 당쟁의 필연성 _ 266
제2절 당쟁의 영향과 당시 유학자 간에 발생한 여러 문제 _ 270
제3절 예송(禮訟) _ 271
제4절 윤휴(尹?)의 경전 주해 _ 298
제5절 회니(懷尼) 문제 _ 306
제6절 당쟁시대의 저명한 유학자 _ 328
1. 송시열(宋時烈) _ 329 2. 허목(許穆) _ 336 3. 조익(趙翼) _ 342
4. 윤선거(尹宣擧) _ 344 5. 권시(權?) _ 345 6. 윤휴(尹?) _ 348
7. 박세당(朴世堂) _ 359 8. 정시한(丁時翰) _ 359 9. 이현일(李玄逸) _ 360
10. 윤증(尹拯) _ 367 11. 조임도(趙任道) _ 369 12. 권상하(權尙夏) _ 370
13. 김창협(金昌協) _ 373 14. 임영(林泳) _ 382 15. 조성기(趙聖期) _ 386
16. 이희조(李喜朝) _ 390 17. 김간(金?) _ 390

제10장 양명학의 유입과 그 배척
제1절 양명학의 전래 _ 392
제2절 양명학의 배척 _ 394
제3절 양명학의 부진과 후인의 논평 _ 401

제11장 호락(湖洛) 학파의 분열
제1절 호락 분파의 원인 _ 406
제2절 호락 양론의 대표자 _ 408
1. 이간(李柬) _ 408 2. 한원진(韓元震) _ 413 3. 이재(李縡) _ 419
4. 윤봉구(尹鳳九) _ 431 5. 현상벽(玄尙璧) _ 444 6. 박필주(朴弼周) _ 453
제3절 호락 양론의 개평(槪評) _ 456

제12장 경제학파의 출현과 풍동(風動)
제1절 경제학파의 대두와 그 원인 _ 458
제2절 경제학파의 학풍 _ 462
제3절 경제학파의 세력과 그 대표자 _ 463
1. 김육(金堉) _ 464 2. 유형원(柳馨遠) _ 465 3. 이익(李瀷) _ 468
4. 안정복(安鼎福) _ 480 5. 신경준(申景濬) _ 482 6. 정약용(丁若鏞) _ 484
7. 박지원(朴趾源) _ 491 8. 홍대용(洪大容) _ 507 9. 이덕무(李德懋) _ 508
10. 박제가(朴齊家) _ 509 11. 위백규(魏伯珪) _ 518 12. 김정희(金正喜) _ 519

제13장 성리학의 재연
제1절 경제학파 운동의 부진 _ 524
제2절 성리학의 세력 만회 _ 525
제3절 주리파(主理派)의 발달(Ⅰ) _ 525
1. 이재(李栽) _ 528 2. 이상정(李象靖) _ 529 3. 유치명(柳致明) _ 532
4. 이진상(李震相) _ 534 5. 곽종석(郭鍾錫) _ 542
제4절 주리파의 발달(Ⅱ) _ 546
1. 기정진(奇正鎭) _ 547 2. 이항로(李恒老) _ 560 3. 유중교(柳重敎) _ 568
제5절 주기파(主氣派)의 발달 _ 573
1. 임성주(任聖周) _ 577 2. 임정주(任靖周) _ 587 3. 임로(任魯) _ 588
4. 임헌회(任憲晦) _ 589
제6절 절충파(折衷派)의 소장(消長) _ 593
1. 김창흡(金昌翕) _ 595 2. 김원행(金元行) _ 599 3. 오희상(吳熙常) _ 603
4. 정종로(鄭宗魯) _ 607 5. 전우(田愚) _ 609

제14장 서학(西學) 감염의 소동
제1절 서학의 전래 _ 619
제2절 사인(士人)의 감염 _ 623
제3절 세정분연(世情紛然) _ 627
제4절 정부의 탄압 _ 631

제15장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운동
제1절 운동 발발의 정세 _ 633
제2절 척사위정의 운동과 그 대표자 _ 635
1. 김평묵(金平?) _ 635 2. 유중교(柳重敎) _ 637 3. 유인석(柳麟錫) _ 637
4. 기우만(奇宇萬) _ 637 5. 최익현(崔益鉉) _ 639 6. 송병선(宋秉璿) _ 649

제16장 근세 이후의 일반 유학계
제1절 근세[挽近] 일반 유학계의 학문 경향 _ 655
제2절 저명한 유학자 _ 656
1. 권상일(權相一) _ 656 2. 박윤원(朴胤源) _ 658 3. 심정진(沈定鎭) _ 660
4. 신후담(愼後聃) _ 662 5. 송치규(宋穉圭) _ 662 6. 이재형(李載亨) _ 666
7. 이우신(李友信) _ 667 8. 강필효(姜必孝) _ 667 9. 홍석주(洪奭周) _ 670
10. 김매순(金邁淳) _ 671 11. 홍직필(洪直弼) _ 675 12. 유신환(兪莘煥) _ 680
13. 서응순(徐應淳) _ 683 14. 윤종의(尹宗儀) _ 687 15. 박문일(朴文一) _ 688
16. 주명상(朱明相) _ 689 17. 김흥락(金興洛) _ 690

제17장 결 론
제1절 유학이 조선 문화에 남겨 놓은 발자취 _ 691
제2절 유학의 말폐와 조선의 종국(終局) _ 692

부록_현상윤의 연보 696
참고 문헌 699
인명 찾아보기 71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