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사회와 범죄학

현대사회와 범죄학

  • 허경미
  • |
  • 박영사
  • |
  • 2013-08-25 출간
  • |
  • 656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30300115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33,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ontents
차례



Chapter 01 일탈, 범죄 및 범죄학에 대한 이해

Section 01 일탈, 범죄 및 범죄학의 정의 3
1.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일탈 3
1.1 통계학적인 접근 4
1.2 사회주의적인 접근 5
1.3 법률학적인 접근 6
1.4 반응이론적인 접근 7
1.5 집단평가적인 접근 9
2. 범죄의 개념 10
3. 범죄학의 개념 및 학문적 영역 11
Section 02 범죄학의 연구방법 16
1. 공식범죄통계연구 16
2. 피해자조사연구 21
3. 자기보고식 조사연구 23
4. 참여관찰연구 24
5. 실험연구 25
6. 사례연구 26

Chapter 02 범죄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

Section 01 고전주의적 범죄원인론 31
1. 고전주의적 범죄학의 서막 31
2. 고전주의적 범죄학자 33
2.1 베카리아(Cesare Beccaria) 33
2.2 하워드(John Howard) 34
2.3 벤담(Jeremy Bentham) 35
2.4 포이어바흐(Paul J. A. Feuerbach) 36
3. 고전주의적 범죄학의 평가 37
Section 02 초기 실증주의적 범죄원인론 39
1. 초기 실증주의 범죄학의 서막 39
2. 고전주의와 실증주의의 비교 40
3. 초기 실증주의적 범죄학자 40
3.1 롬브로조의 생래적 범죄인론 40
3.2 페리의 사회적 범죄원인론 43
3.3 가로팔로의 심리적 범죄원인론 44
3.4 케틀레의 통계론 및 타르드의 모방론 45
4. 초기 실증주의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46
Section 03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48
1. 생물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48
2. 체형과 범죄(body type and crime) 50
3. 생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과 범죄
(chemical and environmental precursors of crime) 51
3.1 호르몬 이상과 범죄 51
3.2 포도당 등 이상과 범죄 52
3.3 뇌파 이상과 범죄 53
4. 유전과 범죄(heredity and crime) 54
4.1 가계사와 범죄 54
4.2 쌍생아 및 양자와 범죄 55
4.3 XYY 슈퍼메일과 범죄 56
4.4 모노아민효소와 범죄 58
5. 성과 범죄(sex and crime) 59
6. 생물학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60
Section 04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62
1. 심리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62
2. 정신장애와 범죄(mental disorder and crime) 63
2.1 정신장애의 개념 63
2.2 DSM?Ⅳ상 정신장애의 유형 64
2.3 정신분열증과 범죄 65
2.4 망상장애와 범죄 68
2.5 불안장애와 범죄 70
2.6 인격장애와 범죄 72
3. 정신분석적 관점(psychoanalytic approach) 82
4. 인지발달이론(cognitive development theory) 86
5. 욕구불만?공격이론(frustration?aggression theory) 89
6. 모델이론(modeling theory) 90
7. 행태이론(behavior theory) 91
8. 심리학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92
Section 05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93
1. 사회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93
2. 사회적 구조이론(social structure theory) 94
2.1 사회적 구조이론의 의의 94
2.2 사회적 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95
2.3 긴장이론(strain theory) 98
2.4 문화적 갈등이론(cultural conflict theory) 105
2.5 사회적 구조이론의 평가 113
3. 사회적 과정이론(social process theory) 114
3.1 사회적 과정이론의 의의 114
3.2 학습과 범죄 115
3.3 사회적 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120
3.4 사회적 낙인이론(social labeling theory) 125
3.5 드라마 연출과 범죄(dramaturgy and crime) 128
3.6 사회적 과정이론의 평가 129
4. 사회적 발달이론(social development theory) 130
4.1 사회적 발달이론의 의의 130
4.2 생애경로이론(life course theory) 132
4.3 연령?성숙이론(age?graded theory) 133
4.4 이원적 경로이론(two path theory) 134
4.5 비행적 발달이론(delinquent development theory) 136
4.6 발달경로이론(development pathways theory) 137
4.7 진화론적 생태이론(evolutionary ecology theory) 139
4.8 사회적 발달이론의 평가 141
5. 사회적 갈등이론(social conflict theory) 142
5.1 사회적 갈등이론의 의의 142
5.2 급진주의적?비판적이론(radical-critical theory) 144
5.3 새로운 갈등이론의 출현 149

Chapter 03 현대사회의 범죄유형

Section 01 폭력 관련 범죄 161
1. 폭력(violence) 161
2. 살인(homicide) 162
2.1 살인의 개념 162
2.2 살인의 원인 163
2.3 살인의 실태 165
2.4 연쇄살인 168
3. 강도(robbery) 179
3.1 강도의 개념 179
3.2 강도의 원인 179
3.3 강도의 유형 180
3.4 강도의 실태 184
4.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 185
4.1 가정폭력의 개념 185
4.2 가정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징 186
4.3 가정폭력의 실태 189
4.4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192
4.5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3
5. 아동학대 206
5.1 아동학대의 개념 206
5.2 아동학대의 원인 208
5.3 아동학대 피해자의 사회병리적 징후 209
5.4 아동학대의 유형 212
5.5 아동복지법상의 아동학대관련 규정 221
5.6 아동학대의 실태 228
Section 02 복수 및 증오 관련 범죄 234
1. 방화(arson) 234
1.1 방화의 개념 234
1.2 방화범의 유형 236
1.3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243
1.4 연쇄방화 244
2. 스토킹(stalking) 246
2.1 스토킹의 개념 246
2.2 스토커의 특징 248
2.3 스토커의 유형 250
2.4 스토킹의 피해자 및 피해자의 심리 253
3. 증오범죄(hate crime) 256
3.1 증오범죄의 개념 256
3.2 증오범죄의 유형 257
3.3 증오범죄 관련 입법 259
3.4 증오범죄의 실태 262
3.5 증오범죄의 대응 271
4. 테러(terror) 274
4.1 테러의 개념 274
4.2 테러동기 및 형성과정 275
4.3 테러단체의 입단 및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278
4.4 테러범의 프로파일링 280
4.5 테러단체의 프로파일링 284
4.6 테러단체 리더의 역할 및 프로파일링 291
4.7 테러에의 대응 297
Section 03 성적 일탈 및 성 관련 범죄 299
1. 포르노그래피(pornography) 299
1.1 포르노그래피의 개념 299
1.2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처벌논쟁 302
2. 강간(rape) 306
2.1 강간의 개념 306
2.2 강간의 원인 307
2.3 강간의 실태 309
2.4 연쇄강간(serial rape) 311
3.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322
3.1 소아기호증 322
3.2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의 실태 331
3.3 아동?청소년 성매수 332
4. 성매매(prostitution) 336
4.1 성매매의 개념 336
4.2 성매매 관련 국제사회의 태도 337
4.3 금지주의(abolition) 338
4.4 비범죄주의(decriminalization) 342
4.5 규제주의(legalization) 345
4.6 성매매의 범죄화에 대한 법규범적 태도 351
4.7 성매매의 실태 352
4.8 성매매규제 법규 및 정책 353
5.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361
6. 신상정보 등록제도 366
7. 신상정보 공개제도 369
8. 신상정보 고지제도 370
9. 성범죄자 전자감시제 374
9.1 전자감시제의 도입 374
9.2 부착명령 대상자 375
10. 성범죄자 화학적 거세제도 376
10.1 화학적 거세제도의 도입 376
10.2 대 상 377
10.3 청 구 377
Section 04 청소년 비행 및 범죄 379
1. 청소년 비행(juvenile delinquency) 379
1.1 청소년 비행의 개념 379
1.2 청소년 비행의 원인 380
2. 소년범죄 388
2.1 최근 10년간 소년범죄의 추이 388
2.2 소년강력범 391
2.3 소년폭력범 393
2.4 소년재산범 394
2.5 소년범 프로파일링 395
2.6 여자소년범죄 397
3. 학교폭력(school violence) 399
3.1 학교폭력의 개념 399
3.2 학교폭력의 유형 401
3.3 학교폭력의 실태 및 대응상의 문제점 402
3.4 학교폭력 관련 대응시스템의 전환 410
Section 05 화이트칼라범죄 및 사이버범죄 417
1. 화이트칼라범죄(white collar crime) 417
1.1 화이트칼라범죄의 개념 417
1.2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 419
1.3 화이트칼라범죄의 유형 420
1.4 화이트칼라범죄의 특징 425
2. 사이버범죄(cyber crime) 428
2.1 사이버범죄의 개념 428
2.2 사이버범죄의 유형 429
2.3 사이버범죄의 특징 433
2.4 사이버범죄의 실태 436
2.5 사이버범죄에 대한 처벌법규 및 적용 438


Section 06 약물범죄 및 조직범죄 443
1. 약물범죄(drug crime) 443
1.1 약물범죄의 개념 443
1.2 약물범죄의 원인 444
1.3 약물의 종류 447
1.4 약물범죄의 실태 452
2. 조직범죄(organized crime) 454
2.1 조직범죄의 개념 454
2.2 조직범죄의 특징 458
2.3 범죄조직의 활동영역 464
2.4 주요국의 범죄조직 472
2.5 외국의 조직범죄와의 연계 482

Chapter 04 범죄의 예방 및 피해자 지원

Section 01 범죄의 예방 487
1. 범죄예방의 정의 487
2. 대표적인 범죄예방 전략 492
2.1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전략 492
2.2 지역사회의 범죄예방 전략 496
Section 02 범죄의 피해자 지원 501
1. 범죄피해자의 정의 501
2. 피해자학의 역사 503
2.1 피해자학의 서막 503
2.2 1970년대 이후의 피해자학 505
3. 범죄피해 관련 이론 506
3.1 생활양식노출이론 506
3.2 일상활동이론 507
3.3 상호작용이론 510
4. 범죄피해자 지원 관련 법규 512
4.1 범죄피해자보호법 512
4.2 범죄피해자 보호기금법 513
4.3 소송촉진등에 관한 특례법 513
4.4 형사소송법 514

Chapter 05 형사사법기관

Section 01 범죄수사기관: 경찰 519
1. 경찰의 조직 519
1.1 경 찰 청 520
1.2 지방경찰청 521
1.3 경 찰 서 522
2. 경찰의 기능 523
2.1 경무경찰 523
2.2 범죄예방경찰 523
2.3 수사경찰 524
2.4 경비경찰 525
2.5 교통경찰 525
2.6 정보경찰 526
2.7 보안경찰 526
2.8 외사경찰 526
3. 경찰공무원 527
Section 02 범죄기소기관: 검찰 528
1. 검찰의 조직 528
1.1 대검찰청 528
1.2 고등검찰청 529
1.3 지방검찰청 529
1.4 지방검찰청지청 530
2. 검찰의 기능 530
3. 검 사 532
Section 03 범죄재판기관: 법원 534
1. 심급제도 534
1.1 민형사사건의 3심제 534
1.2 행정소송의 3심제 535
2. 대 법 원 536
2.1 조 직 536
2.2 기 능 538
2.3 고등법원 538
2.4 지방법원 539
2.5 특수법원 540
2.6 법 관 542
Section 04 형의 집행기관: 교정 544
1. 중 앙 544
2. 지방교정청 545
3. 교 도 소 546
4. 구 치 소 547
5. 개방교도소 548

Chapter 06 형벌 및 범죄자 교정

Section 01 형벌 551
1. 형벌의 정의 551
2. 형벌의 종류 552
2.1 생 명 형 552
2.2 자 유 형 558
2.3 명 예 형 560
2.4 재 산 형 560
Section 02 범죄자 교정 562
1. 범죄자 교정의 의의 562
2. 행형의 모델 564
2.1 개선모델 564
2.2 의료모델 565
2.3 재통합모델 565
2.4 사법모델 566
3. 수형자의 수용 566
4. 분류심사 567
5. 수형자의 시설 내 처우 569
5.1 수용처우 569
5.2 개방처우 571
6. 수용자의 권리구제 573
6.1 소장 면담 573
6.2 청 원 574
6.3 행정심판 등 575
6.4 면전진정 575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577
찾아보기 61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