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3 7 9급 알파행정학 세트

2023 7 9급 알파행정학 세트

  • 위계점
  • |
  • 메티스
  • |
  • 2022-07-28 출간
  • |
  • 1104페이지
  • |
  • 210 X 265 mm
  • |
  • ISBN 9791155441947
판매가

44,000원

즉시할인가

39,6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행정학(개론)의 공부 방법

행정학 공부의 어려움
행정학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수험생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행정학 공부가 가장 어렵다고 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다. 특히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수험생들의 경우 좌절감을 느낀다고 한다. 행정학이 어려운 이유는 간단하다.
첫째, 공부할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이다. 시험문제를 보면 행정학 범위의 방대함을 느낄 수 있다. 행정학은 대학교 행정학과에서 4년 동안 배운 주요 내용이 모두 시험 범위이다. 또한 종합학문적 성격으로 인해 법학, 경제학, 경영학, 심지어 회계학 등의 기본적인 지식까지 알고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둘째, 행정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개념이 매우 추상적이고 모호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용어나 이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합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다원화되고 있지만 통합화의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셋째, 행정학은 단순히 제도나 이론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개념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제도나 이론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도나 이론이 내포하고 있는 특징, 효용(장점), 한계(단점) 등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용어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한 다음, 논리적 추론과 실제 사용되는 예를 보면서 그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행정학 공부 방법
첫째, 기계적으로 암기하지 말고 논리적 추론을 통해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객관식 행정학 문제는 행정학에서 사용하는 제반 이론이나 제도의 개념, 의미, 특징, 장점, 단점, 실제 적용의 예로 구성된다. 따라서 논리적 사고의 과정 없이 단순히 암기하여 시험에 대비하겠다는 생각은 어리석다는 것이다. 방대한 내용을 모두 암기하는 것 자체도 불가능하지만, 설사 암기하였다 하더라도 문제를 조금만 변형하면 풀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체계적이라는 것은 행정학이라는 전체의 틀 속에서 모든 이론이나 개념들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체와 부분을 연계시키는 공부가 대단히 중요하다. 전체체제는 체제로, 체제는 다시 하위체제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들 체제들은 상호 연계성을 가지는 것이다. 행정학의 제반 개념이나 이론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현재 학습하고 있는 개념이나 이론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셋째, 흐름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흐름에는 시간적 흐름, 공간적 흐름, 논리적 흐름 등이 있다. 흐름을 놓칠 경우 그 지식은 파편화되어 우리의 두뇌 어디엔가 저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시 재생시키는 것이 대단히 어렵게 된다. 흐름은 하나를 알 때 다른 것을 자동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공부는 흐름에 따라 하고, 대신 흐름의 실타래를 풀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를 확실하게 기억해 둔다면 암기해야 할 분량이 줄어들게 될 것이며, 그만큼 공부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행정학의 모든 주제를 모두 완벽하게 공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주제의 경중을 어느 정도 파악하여 중요 주제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공부하여야 한다. 행정학의 각 분야의 가장 기초가 되는 이론과 최근 새롭게 대두되는 이론으로서 학자들 사이에 가장 많이 연구되고 발표되는 주제와 이론, 그리고 행정학 관련 기본 법령(국가공무원법, 국가재정법, 지방자치법 등)과 최근 1년 내지 2년 이내에 개정된 법령의 내용은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완벽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행정학은 이해만 가지고는 해결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개별 이론에서 나오는 주요 변수나 법령의 제반 내용은 꼭 암기를 해야 하는 부분이다. 행정학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순 암기사항에서 틀려 고득점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이러한 암기사항은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암기법을 이용하여 암기하여야 한다.

9급 행정학개론과 7급 행정학 통합 출간(7급 심화 내용은 부록에 추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9급 시험 문제에서는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문제가 3~4문제 정도 되고, 7급 시험 문제에서는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문제가 5~6문제 정도 되기 때문에 9급과 7급 교재를 별도로 출간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그러나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문제가 행정학 어느 영역에서 어떤 내용이 출제되는지를 사전에 알 수 없기 때문에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내용을 9급 교재라고 해서 무조건 제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다만, 2021년부터 7급 시험의 경우 국가직은 4과목, 지방직은 5과목 성적으로 필기시험 합격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2022년부터 9급 행정직렬-일반행정직류 시험과목에서 행정학개론이 필수과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전공과목의 중요성이 더 커지면서 행정학이나 행정학개론 시험문제의 난도(難度)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본다.

이에 2022년 알파행정학은 9급 행정학개론과 7급 행정학을 통합하여 출간하면서도 9급 수준에서 볼 때 지나치게 깊이 있는 내용은 기본 내용(본문)에서 제외하였으며, 7급 수험생이 조금 더 깊이 있게 공부해야 할 내용은 별도의 부록(심화학습)으로 발간하여 기본 내용(본문)과 결합시켜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행정학의 주요 내용 포괄
행정학의 중요한 내용을 빠짐없이 포함시켰다. 특히 2022년에 전면 개정된 「새행정학3.0」(이종수·윤영진 외) 외에 「행정학」(정정길 외), 「행정학」(주운현 외) 교재 등을 포함하여 제·개정된 행정학의 제반 내용을 모두 분석하여 교재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기본서 한 권으로 행정학의 중요한 내용을 거의 완벽하게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기존 교재에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본문 외에 참고, 쟁점, 문제 등을 통해 충분히 보충하였다.

본문과 참고, 쟁점, 문제의 체계적 연결
행정학은 혼자 공부할 경우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이 책은 본문과 참고, 쟁점, 그리고 문제가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재배치하였다. 특히 최근에 강조되거나 앞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과 알파행정학 카페에 올라온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을 엄선하여 교재에 수록함으로써 해당 부분에 대한 수험생들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문제의 엄선 및 재배치
문제를 엄선하여 재배치하였다. 본문 옆 보조단에 2022년도 7월까지 출제된 제반 기출문제뿐만 아니라 출제 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까지 엄선하여 재배치함으로써 본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기억하고 있는지를 바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론과 법령을 문제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공부하기 바란다.
한편 수험생들이 가장 시간을 많이 빼앗기는 부분이 해설이나 정답이 잘못되었을 때이다. 그런데 이 시간은 전혀 생산적이지 않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고민하지 않고 공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하고 출처를 밝힘으로써 그 고민을 덜 수 있게 하였다.

핵심 내용 및 간과하기 쉬운 내용의 밑줄 처리
빈출되는 핵심 내용 및 수험생들이 간과하기 쉬운 내용은 밑줄 처리하였다. 시험에 임박하여 빠르게 마무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절대적 신뢰
문제의 범위, 성격, 형식 등이 바뀌고 있다. 이제는 수많은 문제를 단편적으로 접근해서는 결코 풀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아직도 일부 수험생의 경우 행정학을 단편적으로 접근하고 암기하려는 용기(?)를 보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지치고 좌절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탓한다. 자신의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잘못된 학습 자세가 자신의 무궁한 잠재력을 사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수험생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이다. 신뢰!

KISS의 원칙
이와 같이 장황하게 공부 방법을 설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행정학 공부 방법에 대해 말씀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면, 나의 대답은 항상 “지금 가셔서 공부하십시오!”이다. 그래도 물러나지 않고 물어올 때 떠오르는 말이 ‘KISS’의 원칙이다. “Keep it simple, stupid.”를 말한다. ‘단무지’의 원칙이다. 자신의 무한한 능력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가지고 단순, 무식, 지속을 반복하기 바란다.

이 책과 관련된 의문사항은 강의실과 사이버 공간(알파행정학 카페, http://cafe.daum.net/alphapa)을 통해 바로바로 해소할 것을 약속한다.
수험생 여러분들의 건투를 빌며, 끝으로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메티스(舊 고시연구사)의 이윤구 대표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심혈을 기울여서 교정을 보아주신 김문아 편집부장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밝은 미래와 더불어 잘 사는 세상을 생각하며 ……
2022년 7월
행정학 박사 위계점 드림


목차


제1권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01장 행정과 행정학의 발달
제1절 행정학의 체계와 변수
01 행정학의 체계 ㆍ21
02 행정의 변수 ㆍ27
제2절 행정의 의의
01 행정학 성립 이전 ㆍ30
02 행정의 개념 변천 ㆍ33
03 행정의 특징 ㆍ37
제3절 행정의 위상:행정, 정치, 경영
01 정치와 행정 ㆍ38
02 공행정과 사행정:행정과 경영 ㆍ40
제4절 행정학의 발달
01 독일 행정학(관방학과 슈타인 행정학) ㆍ42
02 미국 행정학의 발달 ㆍ44
제5절 행정학의 성격
01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ㆍ48
02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ㆍ49
제02장 현대행정의 이해
제1절 현대행정의 특징
01 서 론 ㆍ53
02 행정국가:현대행정의 특징 ㆍ53
03 신행정국가:최근 행정의 특징 ㆍ55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01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체계 ㆍ57
02 시장실패:큰 정부론의 주장 논거 ㆍ59
03 정부실패:작은 정부론의 주장 논거 ㆍ65
04 공공재의 과소공급설과 과다공급설 ㆍ68
제3절 정부규제와 규제개혁
01 정부규제 ㆍ71
02 규제개혁 ㆍ79
03 행정지도 ㆍ84
제4절 작은 정부론:감축관리와 민영화
01 작은 정부론과 감축관리 ㆍ85
02 공공서비스와 민영화 ㆍ88
제5절 제3섹터(준정부조직과 비정부조직)
01 제3섹터(The Third Sector) ㆍ98
02 비정부조직(NGO) ㆍ101
03 시민사회와 사회자본 ㆍ107
제03장 행정학의 접근 방법
제1절 행정학 접근 방법의 개요
01 접근 방법의 의의 ㆍ113
02 행정학 접근 방법의 구별 ㆍ113
제2절 행정학의 접근 방법
01 전통적 접근 방법 ㆍ116
02 관리기술적 접근 방법 ㆍ117
03 행태론적 접근 방법 ㆍ121
04 생태론적 접근 방법 ㆍ125
05 체제론적 접근 방법과 상황적응적 접근 방법 ㆍ131
06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 ㆍ135
07 후기행태주의, 현상학, 비판이론 ㆍ139
08 신행정론 ㆍ144
09 공공선택론 ㆍ147
10 신제도주의적 접근 방법 ㆍ154
11 신공공관리론, 뉴거버넌스, 신공공서비스론 ㆍ164
12 공공가치관리론과 넛지이론 ㆍ176
13 혼돈이론(chaos theory) ㆍ179
14 포스트모더니티 행정이론 ㆍ180
15 담론이론과 숙의민주주의 ㆍ183
제04장 행정가치
제1절 행정가치
01 절대론과 상대론 ㆍ188
02 Anderson의 유형 ㆍ188
03 Gortner와 Kaplan의 유형 ㆍ189
04 Goodsell의 가치 지향 ㆍ189
05 행정과 사회적 가치 ㆍ189
제2절 행정이념
01 행정이념의 의의 ㆍ190
02 공익(public interest) ㆍ192
03 정의:Rawls의 정의론 ㆍ195
04 사회적 형평성 ㆍ197
05 자유와 평등 ㆍ200
06 적합성과 적정성 ㆍ201
07 능률성과 효과성 및 효율성 ㆍ201
08 가외성 ㆍ206
09 합법성(법치행정) ㆍ208
10 민주성 ㆍ210
11 신뢰성과 투명성 ㆍ211
12 합리성(rationality) ㆍ213
13 행정이념 간의 관계 ㆍ216
제2편 정책학
제05장 정책학의 개관
제1절 정책학의 의의
01 정책학의 의의 ㆍ219
02 정책의 의의 ㆍ221
03 정책 과정 ㆍ225
제2절 정책의 유형론
01 정책유형론의 의의 ㆍ226
02 정책 유형의 분류 ㆍ226
제06장 정책의제채택론
제1절 정책의제채택의 의의 및 과정
01 의 의 ㆍ233
02 정책의제채택의 과정에 관한 모형 ㆍ233
03 정책의제채택의 과정 ㆍ236
04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설정 과정 ㆍ237
제2절 정책의제설정이론:권력속성
01 정책의제설정이론의 의의 및 분류 ㆍ239
02 의사결정론과 체제이론 ㆍ239
03 엘리트론과 다원론 ㆍ240
04 정책네트워크이론 ㆍ246
05 최근의 이론 ㆍ249
06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ㆍ251
제07장 정책결정론
제1절 정책결정과 참여
01 정책결정의 의의 ㆍ255
02 정책결정 과정의 참여자 ㆍ255
제2절 정책결정의 과정
01 정책문제의 정의 ㆍ258
02 정책목표의 설정 ㆍ263
03 정책대안의 탐색 ㆍ266
04 정책대안의 결과 예측 ㆍ266
05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및 선택 ㆍ271
제3절 정책분석론
01 관리과학 ㆍ280
02 체제분석 ㆍ282
03 정책분석 ㆍ283
04 관리과학과 체제분석 및 정책분석 비교 ㆍ284
05 불확실성에의 대처 방안 ㆍ284
제4절 정책결정모형
01 정책결정모형의 구분 ㆍ287
02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ㆍ287
제08장 정책집행론
제1절 정책집행 연구의 의의
01 정책집행의 의의와 단계 ㆍ309
02 정책집행 연구의 대두 ㆍ310
제2절 정책집행 연구의 방법과 유형
01 정책집행 연구의 방법 ㆍ311
02 정책집행 연구의 유형 ㆍ316
제3절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1 성공적인 정책집행 ㆍ321
02 정책집행에 대한 순응과 불응 ㆍ325
제09장 정책평가론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01 정책평가의 의의 ㆍ327
02 정책평가의 논리 ㆍ329
03 타당도 ㆍ331
04 신뢰도 ㆍ335
05 정책평가의 방법:진실험, 준실험, 비실험 ㆍ336
06 기타 정책평가의 방법 ㆍ340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01 평가성 사정 ㆍ341
02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ㆍ341
03 과정평가와 영향평가 ㆍ342
04 메타평가(상위평가):평가에 대한 평가 ㆍ342
05 정부업무평가 ㆍ343
06 중앙정부 각 부처의 주요 정책평가제도 ㆍ346
제3절 정책변동론 및 정책결정요인론
01 정책변동론 ㆍ347
02 정책결정요인론 ㆍ351
제10장 기획론
제1절 기획의 의의와 과정
01 기획의 의의 ㆍ355
02 기획의 특성과 원칙 ㆍ356
03 기획의 과정 ㆍ357
제2절 기획의 유형론
01 적용 범위별 유형 ㆍ358
02 강제성 정도별 유형 ㆍ358
03 고정계획과 연동계획 ㆍ359
04 기획의 제약성 ㆍ359
제3편 조직이론
제11장 조직이론의 기초
제1절 조직의 의의와 유형
01 조직의 의의 ㆍ363
02 조직의 유형 ㆍ363
제2절 조직이론의 유형
01 조직이론의 의의 ㆍ373
02 폐쇄-합리적 조직이론(고전적 조직이론) ㆍ375
03 폐쇄-자연적 조직이론(신고전적 조직이론) ㆍ376
04 개방-합리적 조직이론 ㆍ377
05 개방-자연적 조직이론 ㆍ378
06 전략적 선택이론과 자원의존이론 ㆍ379
07 조직군 생태학이론과 공동체 생태학이론 ㆍ381
제3절 조직의 효과성
01 전통적 접근 방법 ㆍ383
02 현대적 접근 방법 ㆍ385
제12장 조직구조론
제1절 고전적 조직구조
01 조직구조 형성의 의의 ㆍ391
02 고전적 조직구조 형성의 원리 ㆍ392
제2절 상황론적 조직구조
01 구조의 특성지표 ㆍ402
02 상황변수와 구조변수 ㆍ404
제13장 관료제와 탈관료제
제1절 관료제론
01 Weber의 관료제모형 ㆍ409
02 Weber의 근대적 관료제에 대한 비판 ㆍ411
03 관료제와 민주주의 ㆍ413
제2절 탈관료제
01 탈관료제의 의의와 특징 및 한계 ㆍ414
02 탈관료제 조직의 유형 ㆍ417
제3절 공기업과 책임운영기관
01 공기업론 ㆍ430
02 책임운영기관(Agency) ㆍ440
제14장 조직행태론
제1절 인간관과 관리 전략
01 인간관과 관리 전략 ㆍ445
02 복잡한 인간관(E.Schein) ㆍ445
제2절 동기이론
01 직무수행 동기의 의의 ㆍ446
02 내용이론 ㆍ448
03 과정이론 ㆍ454
04 조직시민행동이론 ㆍ460
제15장 조직관리론
제1절 의사전달과 행정PR
01 의사전달 ㆍ463
02 행정PR(공공관계) ㆍ466
제2절 리더십(leadership)
01 의의 및 발달 ㆍ467
02 속성이론(특성이론, 자질이론, 위인론) ㆍ467
03 행태이론 ㆍ468
04 상황이론 ㆍ470
05 리더십의 유형 ㆍ474
제3절 조직관리
01 목표관리(MBO) ㆍ479
02 총체적 품질관리(TQM) ㆍ482
03 전략적 관리 ㆍ485
04 조직갈등(conflict) ㆍ486
05 집단 간의 경쟁 ㆍ493
06 조직과 권력 ㆍ494
07 조직과 권위 ㆍ496
제16장 조직혁신론
제1절 조직문화론
01 조직문화의 의의 ㆍ499
02 조직문화의 유형 ㆍ502
제2절 조직혁신론
01 조직혁신 ㆍ505
02 조직의 동태화 ㆍ507
03 조직발전(OD) ㆍ508
04 조직 진단 ㆍ513
05 Greiner의 성장이론 ㆍ515
찾아보기
제2권
제4편 인사행정론
제17장 인사행정의 기초 및 인사제도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체제 ㆍ519
02 중앙인사기관 ㆍ521
제2절 인사제도
01 엽관주의 ㆍ526
02 실적주의 ㆍ528
03 적극적 인사행정과 관리융통성모형 ㆍ532
04 직업공무원제 ㆍ535
05 대표관료제 ㆍ539
제18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01 경력직:일반직, 특정직 ㆍ545
02 특수경력직:정무직, 별정직 ㆍ546
제2절 고위공무원단제도
0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의의 ㆍ548
02 외국의 고위공무원단 ㆍ548
03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 ㆍ549
제3절 개방형과 폐쇄형
01 개방형과 폐쇄형 ㆍ553
02 교류형과 비교류형 ㆍ554
03 우리나라 개방형 직위와 공모 직위제도 ㆍ555
제4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01 계급제 ㆍ556
02 직위분류제 ㆍ558
제5절 우리나라 공직구조
01 우리나라 공직분류체제의 연혁 ㆍ565
02 우리나라 공직구조의 문제점 ㆍ565
제19장 임용, 능력발전, 사기
제1절 임 용
01 인력계획 ㆍ567
02 임용의 의의 및 유형 ㆍ568
03 신규채용 ㆍ569
04 수평적 이동(배치전환) ㆍ574
05 승진과 강임 ㆍ576
06 해직 및 징계 ㆍ579
제2절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ㆍ584
02 역량 평가 제도 ㆍ591
03 근무성적평정 ㆍ594
04 경력개발 및 경력평정 ㆍ605
제3절 사기 앙양
01 공무원의 사기 ㆍ608
02 보 수 ㆍ609
03 연 금 ㆍ617
04 제안제도와 고충처리제도 ㆍ620
05 신분보장 ㆍ621
제20장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01 정치적 중립의 의의 ㆍ625
02 정치적 중립의 효용과 한계 ㆍ626
03 우리나라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ㆍ626
제2절 공무원단체
01 공무원단체의 의의 ㆍ627
02 공무원단체의 효용 및 비판 ㆍ627
03 우리나라 공무원단체(노동조합)의 활동 ㆍ628
제3절 공무원의 윤리
01 행정윤리 ㆍ632
02 관료부패 ㆍ638
03 국가(지방)공무원법의 복무상 의무 ㆍ642
04 공직자윤리법 ㆍ643
05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ㆍ646
06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ㆍ652
07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ㆍ655
08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ㆍ656
제5편 재무행정론
제21장 예산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기능
01 예산의 개념 ㆍ659
02 예산(재정)의 기능 ㆍ665
제2절 예산 및 회계의 법적 기초 ㆍ666
제3절 재무행정조직 ㆍ671
제4절 예산의 원칙
01 의 의 ㆍ672
02 전통적 예산원칙 ㆍ672
03 현대적 예산원칙 ㆍ675
04 예산 운영의 새로운 규범 ㆍ676
05 국가재정법상 원칙 ㆍ677
제5절 예산의 종류
01 예산과 기금 및 통합예산 ㆍ679
02 예산의 종류 ㆍ686
03 조세지출예산제도 ㆍ688
04 남녀평등예산(성인지 예산) ㆍ690
제6절 예산의 분류
01 예산 분류의 의의 ㆍ692
02 예산 분류의 방법 ㆍ693
제22장 예산결정이론
제1절 예산결정이론
01 총체주의(합리주의):합리적 분석 ㆍ699
02 점증주의:정치적 과정 ㆍ701
03 공공선택론 ㆍ704
04 다중합리성모형 ㆍ704
05 모호성 모형(Miller) ㆍ705
06 조직과정모형 ㆍ706
07 단절균형모형 ㆍ706
제2절 자원의 희소성과 예산결정
01 자원의 희소성 ㆍ707
02 경제원리와 정치원리 ㆍ708
03 예산문화론 ㆍ708
04 기획과 예산 ㆍ709
제23장 예산과정론
제1절 예산편성론
01 예산편성의 의의 ㆍ714
02 예산편성 절차 ㆍ714
03 예산의 형식적 내용 ㆍ719
04 예산편성 행태 ㆍ720
05 우리나라 예산편성의 문제점 ㆍ722
제2절 예산심의론
01 예산심의의 의의 ㆍ723
02 예산심의의 변수 및 각국 예산심의의 비교 ㆍ723
03 우리나라의 예산심의 ㆍ724
제3절 예산집행론
01 예산집행의 의의 ㆍ728
02 예산집행의 과정 ㆍ728
03 예산집행에서의 통제 ㆍ732
04 예산집행의 신축성 ㆍ733
제4절 결산 및 회계검사
01 결 산 ㆍ738
02 회계검사 ㆍ741
제5절 정부회계
01 정부회계의 의의 ㆍ745
02 회계제도의 유형 ㆍ747
03 국가회계법 ㆍ752
04 국가 재무제표 ㆍ754
제24장 예산제도의 발달과 개혁
제1절 예산제도의 발달
01 예산 개혁의 정향 ㆍ757
02 품목별 예산제도 ㆍ758
03 성과주의 예산(실적예산) ㆍ761
04 계획예산제도 ㆍ764
05 목표관리제 예산 ㆍ766
06 영기준 예산제도 ㆍ767
07 정치관리형 예산 ㆍ771
08 결과 지향적(신성과주의) 예산 ㆍ773
09 프로그램 예산 ㆍ777
10 자본예산 ㆍ778
제2절 재정의 개혁
01 선진국의 재정개혁 ㆍ780
02 우리나라의 재정개혁 ㆍ783
제25장 조달행정과 정부계약
제1절 조달(구매)행정
01 조달행정의 의의 ㆍ789
02 조달의 방식 ㆍ789
03 중앙조달기관과 수요기관 ㆍ790
04 조달행정의 절차 ㆍ790
제2절 정부계약
01 정부계약의 의의 ㆍ791
02 정부계약의 종류 ㆍ792
제6편 지방자치론
제26장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제1절 지방자치의 이념과 가치
01 지방행정 ㆍ797
02 지방자치 ㆍ798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01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ㆍ815
02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ㆍ817
제3절 광역행정
01 광역행정의 의의 ㆍ819
02 광역행정의 방식 ㆍ820
03 우리나라 광역행정의 방식 ㆍ823
제4절 지방자치에서의 주민참여
01 주민참여의 본질 ㆍ826
02 주민투표제도 ㆍ829
03 주민 조례 제정 및 개폐 청구제도 ㆍ833
04 주민감사청구제도 및 주민소송제도 ㆍ835
05 주민소환제도 ㆍ838
06 주민에 대한 지방자치정보공개 ㆍ840
07 지방자치에 대한 정당개입 ㆍ841
08 지방정치이론 ㆍ842
제27장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
제1절 지방자치의 구조와 구역
01 일반지방자치단체 ㆍ847
02 우리나라의 특별지방자치단체 ㆍ852
03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조합 ㆍ853
04 특별지방행정기관 ㆍ856
05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ㆍ858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배분
01 기능배분 ㆍ861
02 우리나라 기능배분의 기준 ㆍ865
03 기능배분의 현황 ㆍ868
제28장 정부 간 관계론
제1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
01 국가와 지방의 관계 ㆍ875
02 각 나라의 정부 간 관계 ㆍ877
03 미국의 도시헌장제도 ㆍ879
제2절 정부 간 관계의 관리
01 정부 간 분쟁 ㆍ880
0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 ㆍ885
03 우리나라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 ㆍ886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01 기관 구성 형태 ㆍ890
02 집행기관 ㆍ893
03 지방의회 ㆍ901
제29장 지방재정론
제1절 지방재정
01 지방재정의 의의 ㆍ913
02 지방정부의 세입 ㆍ925
03 지방재정자립도 ㆍ927
04 지방재정진단제도 ㆍ928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01 지방세 ㆍ932
02 세외수입 ㆍ941
03 지방채 ㆍ943
제3절 지방재정 조정제도
01 지방재정 조정제도의 의의 ㆍ946
02 지방교부세 ㆍ947
03 국고보조금 ㆍ950
제7편 행정의 환류
제30장 행정책임과 통제
제1절 행정책임 ㆍ955
제2절 행정통제 ㆍ959
제31장 행정개혁론
제1절 행정개혁
01 행정개혁의 의의 ㆍ969
02 개혁의 접근 방법 ㆍ972
03 개혁에 대한 저항 ㆍ973
04 개혁 추진자의 포획 ㆍ976
제2절 각국의 행정개혁의 내용
01 각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공통 내용 ㆍ977
02 영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ㆍ977
03 미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ㆍ978
04 뉴질랜드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ㆍ980
제3절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01 역대 정부의 개혁 내용 ㆍ981
02 이명박 정부의 개혁 ㆍ986
03 박근혜 정부의 개혁 ㆍ987
04 문재인 정부의 개혁 ㆍ988
제32장 지식정보사회와 전자정부
제1절 정보사회와 행정
01 정보사회와 행정 ㆍ991
02 정보사회 정책 ㆍ996
03 지식관리(지식행정) ㆍ999
제2절 전자정부론
01 전자정부 ㆍ1001
02 전자정부의 구축 ㆍ1008
03 우리나라 전자정부 ㆍ1018
부 록
7급 심화학습
빈출코드 100선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