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한민국은지금분노하고있다

대한민국은지금분노하고있다

  • 조시영
  • |
  • 매일경제신문사
  • |
  • 2012-03-19 출간
  • |
  • 204페이지
  • |
  • ISBN 978897442805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1,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프롤로그

part 1 박근혜, 신자유주의를 아니?(경제 문제)
01_ 신자유주의의 진실
02_ 그 많던 일자리가 사라진 까닭은
03_ 점령당한 월가, 보수진영의 변신

part 2 안철수, ‘모르면’ 정치 하지 마(정치 문제)
01_ 오디션 열풍과 ‘정의’
02_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part 3 박근혜 안철수 크로스!(경제 해법)
01_ 경제 정책의 대원칙을 세워라
02_ 하이브리드로 승부하라
03_ 양(量)보다 질(質)의 시대로

part 4 박근혜도 안철수도 안 돼(정치 해법)
01_ ‘차원이 다른’ 정치를 꿈꿔라
02_ ‘87년 체제’를 버려라

글을 맺으며

도서소개

책에서는 앞으로 절대 오류가 나지 않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대한민국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고장났는지를 점검한 다음 미래의 대통령에게 입력할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을 설명해 놓았다. 경제 문제편에서는 30년이나 된 ‘신자유주의’의 프로그램 오류 때문에 ‘99%의 분노’, ‘88만원 세대’가 탄생했다고 진단한다. 정치 문제편에서는 당초 잘못 설계된 프로그램인 ‘87년 체제’와 대통령들의 잘못된 ‘정치 철학’이 한국만의 독특한 정치 풍토인 ‘보스 정치’, ‘영남당 호남당’, ‘정치 검찰’을 만들었음을 짚어본다.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사람만 바뀐다고 세상이 좋아질까, 문제는 시스템이다.
지금까지 대통령을 낳은 것은 ‘팔할이 바람’이었다. 1997년 대선 때는 ‘정권 교체 바람’이, 2002년 대선 때는 ‘노풍’이, 그리고 2007년에는 ‘노풍에 대한 역풍’이 대통령을 정했다. 그리고 2012년 그 바람은 또 어디를 향해 불지 한치 앞을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때마침 운명의 바람이 불어 2012년 그 바람을 맞는 누군가 대통령이 된다면?

박근혜와 안철수를 키워드로 풀다.
위기 때마다 보수 세력을 구한 정치인으로 5060 세대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박근혜와 자수성가한 CEO로 2030의 멘토로 부상한 안철수. 전혀 다른 세계에 살 것 같던 두 사람이 이제 ‘대통령’이란 공통의 단어로 엮이기 시작했다. 정치와 경제라는 전혀 다른 백그라운드를 가진 두 사람을 통해 대한민국 대통령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점칠 수 있다.
박근혜건 안철수건, 혹은 문재인이건 대통령을 꿈꾸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게 하나 있다. 바로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시스템 오류를 고칠 ‘집권 이후 프로그램’이다. 그들이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잘 적용할 사람인지를 따져보는 것은 우리 국민의 몫이다.

‘오대 불만족(五代不滿足, 20~60대의 모든 세대의 불만족)’, ‘만인불행(萬人不幸, 모든 사람이 불행함)’의 시대, 대한민국은 지금 분노하고 있다
책에서는 앞으로 절대 오류가 나지 않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대한민국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고장났는지를 점검한 다음 미래의 대통령에게 입력할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을 설명해 놓았다.
경제 문제편에서는 30년이나 된 ‘신자유주의’의 프로그램 오류 때문에 ‘99%의 분노’, ‘88만원 세대’가 탄생했다고 진단한다. 정치 문제편에서는 당초 잘못 설계된 프로그램인 ‘87년 체제’와 대통령들의 잘못된 ‘정치 철학’이 한국만의 독특한 정치 풍토인 ‘보스 정치’, ‘영남당 호남당’, ‘정치 검찰’을 만들었음을 짚어본다.
경제 해법편에서는 박근혜와 안철수가 가진 아이디어의 장점을 결합하면 현존 최고 수준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다. 정치 해법편에서는 박근혜와 안철수가 가진 오류를 완전히 개조시켜 우리 정치의 시스템을 완전히 뒤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 시스템을 바꾸고, 권력기관의 운용방식을 바꿔야 한다.
조선시대 최고의 두 개혁 임금인 세종과 정조를 생각해보자. 세종은 피도 눈물도 없는 아버지(태종) 덕분에 출발부터 강력한 권력을 쥘 수 있었다. 아직은 유교가 뿌리박히지 않은 시기라 세종의 개혁에 저항할 이데올로기도 없었다. 하지만 정조는 출발부터 흔들렸다. 붕당이라는 너무나 센 경쟁자들이 있었고, 그들은 유교적 논리로 늘 자신들을 방어했다. 신하들이 왕의 목숨까지 노릴 정도니 개혁은 쉽지 않았다.
지금의 상황은 세종 시대일까, 정조 시대일까. 경제적으로는 세종 시대, 정치적으로는 정조 시대가 맞을 것 같다. 2008년과 2011년 두 번의 글로벌 경제위기로 세계 경제의 기존 질서인 신자유주의가 무너졌다. 이제 모두가 새로운 질서를 원한다. 구체적인 윤곽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좀 더 인간적인 따듯함이 느껴지는 제도가 속속 등장할 것이다. 경제 분야의 개혁은 세종의 훈민정음처럼 큰 저항 없이 받아들여질 것이다.

인간적인 그러나 울트라 파워 짱 대통령일 기대한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22조 원이란 돈을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에 투자하는 대신 4대강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투입할 수 있는, 대기업을 위해 고환율 정책을 쓰다가 어느 날 갑자기 그들을 ‘공정 사회’의 반대자로 주목받게 할 수 있는, 그리고 서민들에게는 너무나 높아 보이는 권력기관을 4년 동안 찍소리 못하게 할 수 있는, 그래서 당신의 일상을 알게 모르게 좌지우지하는’ 무시무시한 힘을 가졌다.
이런 ‘울트라 파워 짱’ 아무 생각 없이 뽑는다? 그것은 국민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그러니 지금 한국의 정치는 역풍을 맞자. 여당과 야당 모두 엄청난 개혁의 바람을 타고 있지만 기존의 관성을 무너뜨리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 정치의 문제는 사람을 바꾼다고 다 해결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 정치 시스템을 바꾸고, 권력기관의 운용방식을 바꿔야 한다. 정치 개혁 청사진을 가진 리더가 대통령이 돼야 한다.

밑줄 친 문장

5년 전 MB가 ‘4대강’과 ‘부자 감세’라는 상반된 정책을 동시에 주장했던 게 생각난다. ‘당선되기 위해 뭐든 못하랴’는 생각 때문에 경제는 더 망가질 수 있다. 국가 경제는 5년에 승부를 볼 수 있는 비즈니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부자들이 막대한 금융 소득을 얻을 동안 신자유주의를 신봉한 선진국 정부는 감세 정책까지 펼쳤다. 외국 자본 유출을 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