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에이콘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시리즈

  • The PostgreSQL Global Development Group
  • |
  • 에이콘출판
  • |
  • 2015-10-30 출간
  • |
  • 448페이지
  • |
  • 188 X 235 X 27 mm /841g
  • |
  • ISBN 978896077779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요약 ★

PostgreSQL 공식 가이드 9.4 버전 문서에서 ‘3부, 서버 관리’ 부분을 발췌해 한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PostgreSQL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가장 필요한 내용인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리 방법을 다룬다. ‘PostgreSQL 공식 가이드’는 PostgreSQL 개발자 및 그 외 지원자가 PostgreSQL 소프트웨어 개발과 병행해 작성된 문서로서, 이번 책 ‘Vol.1 서버 관리’에서는 PostgreSQL 서버를 실행하는 모든 사람을 위해 서버의 설치와 관리 기법을 설명한다. 향후 PostgreSQL 공식 가이드 9.4 버전 중 시리즈로서 ‘SQL 언어’와 ‘서버 프로그래밍’도 2권의 책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소스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PostgreSQL을 설치하는 방법
■ 서버 생성 및 시작, 스푸핑 방지 등 서버를 세팅하는 방법
■ WAL, 쿼리 계획, 에러 핸들링 등 서버 관리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설정
■ 클라이언트 인증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 백업, 고가용성 및 복제 등의 설정, 사용법에 대한 내용
■ 디스크 사용량, 통계 수집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
■ 회귀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 이 책의 대상 독자 ★

■ 오픈소스 DBMS를 구축하고 싶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PostgreSQL DBMS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
■ PostgreSQL을 도입하려는 기업 담당자
■ 개인용도로 PostgreSQL 서버를 구축하는 사용자

★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관리자 안내서로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필요한 주제를 다룬다. 소프트웨어 설치 및 셋업, 서버 환경 설정,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기적인 관리에 대한 내용이 들어 있다. PostgreSQL 서버를 개인 용도로 쓰거나 특히 운영상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이 주제들에 익숙해야 한다. 이 책은 처음 PostgreSQL 사용 시 읽으면 좋은 순서로 정리해 놓았다. 각 장의 내용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개인의 선호에 따라 읽으면 된다. 내용은 주제 단위로 기술되어 있으며,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기본 사용법에 익숙한 독자들이 읽을 수 있다.

★ 옮긴이의 말 ★

최근 오픈소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도입 사례도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오픈소스 솔루션은 개인 또는 소규모 비즈니스 운영에만 적용했다면 이제는 대기업과 공공 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변화는 그만큼 오픈소스 솔루션이 발전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의 성공 사례로 대부분 리눅스를 꼽지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에 대해서는 국내에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PostgreSQL은 20년 전부터 개발된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베이스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전 세계적인 커뮤니티를 갖고 있으며 소스 코드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과 배포도 허용하는 진정한 의미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라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라 하면 안정성과 성능에 대해 의구심을 갖지만 PostgreSQL은 세계적으로 많은 레퍼런스를 갖고 있으며 오랜 개발 역사가 말해주듯 매우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우수성에 비해 국내에서는 PostgreSQL에 대한 인지도와 보급은 매우 낮은 실정입니다. 외국에서는 PostgreSQL의 도입 사례가 많고 인지도도 매우 높지만 반대로 국내에서는 외산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이 독점하고 있고 이로 인해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희 (주)비트나인은 국내의 이런 왜곡된 데이터베이스 시장 구조를 개선하고자 PostgreSQL의 보급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국내 데이터베이스 시장에서의 외산 솔루션의 독점으로 인해 많은 외화가 유출되고 있으며 독점적인 위치를 이용한 비합리적인 관행도 많이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아직까지는 외산 솔루션에 대적할 만한 국산 솔루션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두고 볼 수밖에 없었지만 이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이런 상황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PostgreSQL은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으로 엔터프라이즈급의 서비스도 처리할 수 있어 외산 솔루션을 대체할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주)비트나인은 PostgreSQL의 보급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중 하나의 결실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됐습니다.

저희는 국내에 PostgreSQL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개발자가 쉽게 PostgreSQL을 이해하고 기술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을 발간하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오라클, MySQL, CUBRID 등)에 대해 한글로 작성된 책들은 상당히 많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오픈소스 DBMS인 PostgreSQL에 대한 책은 대부분 영문으로 쓰여진 원서가 대부분이며, 국내에서 한글로 된 PostgreSQL의 매뉴얼은 전혀 없는 실정입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아직 PostgreSQL을 사용하는 업체가 소수이며, 해당 DBMS를 다루는 관리자의 경우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일부 블로거들이 작성한 글을 제외하면 그에 관련된 한글 레퍼런스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영문 버전 역시 PostgreSQL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만 제공되고 있으며 실제 개발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책은 국내에서는 찾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저희 비트나인은 PostgreSQL을 사용하는 국내 사용자들의 언어 장벽을 낮춰 쉽게 PostgreSQL을 접할 수 있도록 영문 매뉴얼을 번역하여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책은 PostgreSQL 공식 가이드 9.4 버전을 번역한 책으로 총 세 권 중 첫 번째 시리즈입니다. 이 책은 PostgreSQL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가장 필요한 내용인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리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 1권: 서버 관리(PostgreSQL 공식 가이드 중 15~30장)
■ 2권: SQL 언어(PostgreSQL 공식 가이드 중 1~14장)
■ 3권: 서버 프로그래밍(PostgreSQL 공식 가이드 중 31~46장)

이 책을 통해 PostgreSQL에 대한 국내의 인식이 높아지고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보급에 일조하기를 바랍니다.

- (주)비트나인 대표이사 강철순

목차

1장 소스 코드로 설치
1.1 짧은 버전
1.2 요구 사항
1.3 소스 다운로드
1.4 설치 절차
1.5 설치 후 셋업
1.5.1 공유 라이브러리
1.5.2 환경 변수
1.6 지원 플랫폼
1.7 플랫폼 특정 참고 사항
1.7.1 AIX
1.7.1.1 GCC 문제
1.7.1.2 유닉스 도메인 소켓 끊어짐
1.7.1.3 인터넷 주소 문제
1.7.1.4 메모리 관리
1.7.2 시그윈
1.7.3 HP-UX
1.7.4 MinGW/네이티브 윈도우
1.7.4.1 윈도우에서 크래시 덤프 수집
1.7.5 SCO 오픈서버 및 SCO 유닉스웨어
1.7.5.1 스컹크웨어
1.7.5.2 GNU Make
1.7.5.3 Readline
1.7.5.4 오픈서버에서 UDK 사용
1.7.5.5 PostgreSQL Man 페이지 읽기
1.7.5.6 7.1.1b 추가 기능에서의 C99 문제
1.7.5.7 유닉스웨어에서의 스레딩
1.7.6 솔라리스
1.7.6.1 필수 툴
1.7.6.2 OpenSSL에서의 문제
1.7.6.3 실패한 테스트 프로그램에 대한 configure의 complain
1.7.6.4 64비트 빌드 Crashes
1.7.6.5 최적의 성능을 위한 컴파일
1.7.6.6 PostgreSQL 추적용 DTrace 사용

2장 윈도우에서 소스 코드로 설치
2.1 비주얼 C++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SDK를 이용한 빌드
2.1.1 요구 사항
2.1.2 64비트 윈도우에 대한 특별 고려사항
2.1.3 빌드
2.1.4 클리닝 및 설치
2.1.5 회귀 테스트 실행
2.1.6 문서 빌드
2.2 비주얼 C++ 또는 볼랜드 C++를 사용한 libpq 빌드
2.2.1 생성된 파일

3장 서버 설정 및 운용
3.1 PostgreSQL 사용자 계정
3.2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생성
3.2.1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3.3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작
3.3.1 서버 시작 실패
3.3.2 클라이언트 연결 문제
3.4 커널 리소스 관리
3.4.1 공유 메모리 및 세마포어
3.4.2 리소스 제한
3.4.3 리눅스 메모리 오버커밋
3.4.4 리눅스 huge pages
3.5 서버 셧다운
3.6 PostgreSQL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3.6.1 pg_dumpall을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6.2 pg_upgrade를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6.3 복제를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7 서버 스푸핑 방지
3.8 암호화 옵션
3.9 SSL을 사용한 TCP/IP 연결 보호
3.9.1 클라이언트 인증서 사용
3.9.2 SSL 서버 파일 사용
3.9.3 자체 서명된 인증서 생성
3.10 SSH 터널을 사용해 TCP/IP 연결 보호
3.11 윈도우에 이벤트 로그 등록

4장 서버 구성
4.1 매개변수 설정
4.1.1 매개변수 이름 및 값
4.1.2 구성 파일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3 SQL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4 셸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5 구성 파일 내용 관리
4.2 파일 위치
4.3 연결 및 인증
4.3.1 연결 설정
4.3.2 보안 및 인증
4.4 리소스 소비
4.4.1 메모리
4.4.2 디스크
4.4.3 커널 리소스 사용량
4.4.4 비용 기반 Vacuum 지연
4.4.5 백그라운드 Writer
4.4.6 비동기 동작
4.5 Write Ahead Log
4.5.1 설정
4.5.2 Checkpoints
4.5.3 아카이빙
4.6 복제
4.6.1 전송 서버
4.6.2 마스터 서버
4.6.3 스탠바이 서버
4.7 쿼리 플랜
4.7.1 플래너 방법 구성
4.7.2 플래너 비용 상수
4.7.3 제네릭 쿼리 옵티마이저
4.7.4 기타 플래너 옵션
4.8 에러 리포팅 및 로깅
4.8.1 Where To 로그
4.8.2 When To 로그
4.8.3 What To 로그
4.8.4 CSV 형식 로그 출력 사용
4.9 실시간 통계
4.9.1 쿼리 및 인덱스 통계 콜렉터
4.9.2 통계 모니터링
4.10 자동 Vacuuming
4.11 클라이언트 연결 기본값
4.11.1 문(statement) 동작
4.11.2 로케일 및 형식 지정
4.11.3 공유 라이브러리 사전 로드
4.11.4 그 외 기본값
4.12 잠금 관리
4.13 버전 및 플랫폼 호환성
4.13.1 이전 PostgreSQL 버전
4.13.2 플랫폼 및 클라이언트 호환성
4.14 에러 처리
4.15 프리셋 옵션
4.16 커스텀 옵션
4.17 개발자 옵션
4.18 단축 옵션

5장 클라이언트 인증
5.1 pg_hba.conf 파일
5.2 사용자 이름 맵
5.3 인증 방법
5.3.1 트러스트 인증
5.3.2 패스워드 인증
5.3.3 GSSAPI 인증
5.3.4 SSPI 인증
5.3.5 Ident 인증
5.3.6 피어 인증
5.3.7 LDAP 인증
5.3.8 RADIUS 인증
5.3.9 인증서 인증
5.3.10 PAM 인증
5.4 인증 문제

6장 데이터베이스 role
6.1 데이터베이스 role
6.2 role 속성
6.3 role 멤버십
6.4 함수 및 트리거 보안

7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7.1 개요
7.2 데이터베이스 생성
7.3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7.4 데이터베이스 환경 설정
7.5 데이터베이스 소멸
7.6 테이블스페이스

8장 로컬라이제이션
8.1 로케일 지원
8.1.1 개요
8.1.2. 동작
8.1.3. 문제
8.2 콜레이션 지원
8.2.1. 개념
8.2.2 콜레이션 관리
8.3 문자 집합 지원
8.3.1 지원되는 문자 집합
8.3.2 문자 집합 설정
8.3.3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자동 문자 집합 변환
8.3.4 추가 자료

9장 정기적인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 작업
9.1 정기적인 Vacuuming
9.1.1 Vacuuming 기초
9.1.2 디스크 공간 복구
9.1.3 실행 계획 통계 업데이트
9.1.4 가시성 맵 업데이트
9.1.5 트랜잭션 ID 랩어라운드 실패 방지
9.1.5.1 Multixact 및 랩어라운드
9.1.6 Autovacuum 데몬
9.2 일상적인 리인덱싱
9.3 로그 파일 유지관리

10장 백업 및 복원
10.1 SQL 덤프
10.1.1 덤프 복원
10.1.2 pg_dumpall 사용
10.1.3 거대 데이터베이스 처리
10.2 파일 시스템 레벨 백업
10.3 연속 아카이빙 및 PITR
10.3.1 WAL 아카이빙 셋업
10.3.2 베이스 백업
10.3.3 저수준 API를 사용한 베이스 백업
10.3.4 연속 아카이브 백업을 사용한 복구
10.3.5 타임라인
10.3.6 팁 및 예제
10.3.6.1 독립 실행형 핫 백업
10.3.6.2 압축된 아카이브 로그
10.3.6.3 archive_command 스크립트
10.3.7 통고

11장 고가용성, 로드 밸런싱 및 복제
11.1 각종 솔루션 비교
11.2 로그 전달 스탠바이 서버
11.2.1 플래닝
11.2.2 스탠바이 서버 운용
11.2.3 스탠바이 서버를 위한 마스터 서버 준비
11.2.4 스탠바이 서버 셋업
11.2.5 스트리밍 복제
11.2.5.1 인증
11.2.5.2 모니터링
11.2.6 복제 슬롯
11.2.6.1 복제 슬롯 쿼리 및 조작
11.2.6.2 구성 예제
11.2.7 케스케이딩 복제
11.2.8 동기 복제
11.2.8.1 기초 구성
11.2.8.2 성능에 대한 플래닝
11.2.8.3 고가용성에 대한 플래닝
11.3 페일오버
11.4 로그 전달의 대안
11.4.1 구현
11.4.2 레코드 기반 로그 전달
11.5 핫 스탠바이
11.5.1 사용자 개요
11.5.2 쿼리 충돌 처리
11.5.3 관리자 개요
11.5.4.핫 스탠바이 매개변수 참조
11.5.5 통고

12장 복구 구성
12.1 아카이브 복구 설정
12.2 복구 타깃 설정
12.3 스탠바이 서버 설정

13장 데이터베이스 활동 모니터링
13.1 표준 유닉스 툴
13.2 통계 수집기
13.2.1 통계 수집 구성
13.2.2 수집된 통계 보기
13.2.3 통계 함수
13.3 잠금 보기
13.4 동적 트레이싱
13.4.1 동적 트레이싱의 컴파일
13.4.2 내장 프로브
13.4.3 프로브 사용
13.4.4 새 DTrace 정의

14장 디스크 사용량 모니터링
14.1 디스크 사용량 결정
14.2 디스크 꽉 참 실패

15장 안정성 및 Write-Ahead Log
15.1 안정성
15.2 WAL
15.3 비동기 커밋
15.4 WAL 환경 설정
15.5 WAL 인터널

16장 회귀 테스트
16.1 테스트 실행
16.1.1 임시 설치로 테스트 실행
16.1.2 기존 설치로 테스트 실행
16.1.3 추가 테스트 Suites
16.1.4 로케일 및 ENCODING
16.1.5 추가 테스트
16.1.6 핫 스탠바이 테스트
16.2 테스트 평가
16.2.1 에러 메시지 차이
16.2.2 로케일 차이
16.2.3 날짜 및 시간 차이
16.2.4 Floating-Point 차이
16.2.5 행 순서 차이
16.2.6 스택 깊이 부족
16.2.7 ”random” 테스트
16.2.8 구성 매개변수
16.3 변종 비교 파일
16.4 TAP 테스트
16.5 테스트 커버리지 검사

저자소개

저자 The PostgreSQL Global Development Group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개발자 그룹이다. 전 세계적으로 여러 기업의 개발자가 PostgreSQL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의 EnterpriseDB와 Salesforce, MeetMe.com, PostgreSQL Expertes INC., 2ndQuadrant 등 뿐만 아니라 일본의 NTT,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의 개발자가 프로젝트의 맴버로 활동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주요 컨트리뷰터의 목록은 www.postgresql.org/community/contributo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PostgreSQL의 개발은 오픈소스로 진행되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컨트리뷰터를 선정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며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도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PostgreSQL에 대한 질문하고 개발자로부터 직접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개발뿐만 아니라 이 책의 원문인 PostgreSQL Documentation 작성, 다양한 컨퍼런스의 개최 등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도서소개

PostgreSQL은 강력한 오픈소스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이 책 은 PostgreSQL 공식 가이드 9.4 버전 문서에서 ‘3부, 서버 관리’ 부분을 발췌해 엮은 것이다. 책에는 소스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PostgreSQL을 설치하는 방법, 서버 생성 및 시작, 스푸핑 방지 등 서버를 세팅하는 방법, WAL, 쿼리 계획, 에러 핸들링 등 서버 관리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설정, 클라이언트 인증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백업, 고가용성 및 복제 등의 설정, 사용법에 대한 내용, 디스크 사용량, 통계 수집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 회귀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