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 나카가키겐지
  • |
  • 제이펍
  • |
  • 2022-06-09 출간
  • |
  • 348페이지
  • |
  • 188 X 245 X 20 mm
  • |
  • ISBN 979119160097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프라 구축 지식부터 모니터링, 요금 관리 등 운용 노하우까지
따라 하며 배우는 AWS 인프라 구축의 모든 것

AWS는 200개 이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다 계속해서 혁신하고 있어, AWS에 입문하려는 엔지니어는 적합한 솔루션이나 워크플로를 익히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 책은 비즈니스/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인프라를 구축하는 내용을 설명한다. 웹 서버와 DB 서버 등의 조합으로 다른 유스케이스의 기본을 익힐 수 있고, 단순히 서비스를 돌려보는 수준이 아니라 보안, 성능, 모니터링까지 ‘본격적으로’ 살펴본다.

비즈니스 환경에 특화한 책으로 1~3장은 AWS 기초, 계정, IAM을 다룬다. 4~12장은 VPC, EC2, ELB, RDS, S3, Certificate Manager, Route 53, SES, ElastiCache 등으로 인프라를 구축하는 법을 단계별 그림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13장은 앞에서 구축한 인프라에 샘플 웹 애플리케이션(깃허브로 제공)을 실행해보고, 마지막 14~16장에서는 CouldWatch, Billing 등을 이용한 모니터링, 요금 관리 등 실전적인 운용 노하우를 살펴본다.

주요 내용
■ Amazon VPC를 활용한 인프라 기반 구축 방법
■ Amazon EC2로 점프 서버 및 웹 서버 만드는 법
■ Amazon RDS를 이용한 DB 서버 만드는 법
■ 부하 분산용 로드 밸런서 구축
■ 커스텀 도메인과 SSL 인증서 발행
■ 메일 서버 및 캐시 서버 구축
■ 서비스 모니터링 및 AWS 이용 요금 관리

대상 독자
■ AWS 사용 경험이 없으나 인프라를 구축하고 싶은 주니어 엔지니어
■ 최신 AWS 워크플로와 프랙티스를 익히고자 하는 시니어 엔지니어


목차


옮긴이 머리말 x
베타리더 후기 xii
이 책에 대하여 xiv

CHAPTER 1 AWS 시작하기
1.1 AWS 개요 2
1.2 클라우드 3
1.2.1 컴퓨터 리소스로서의 클라우드 3 / 1.2.2 클라우드의 장점 5
1.2.3 IaaS, PaaS, SaaS 6 / 1.2.4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형태 8
1.3 AWS 제공 솔루션 8
1.3.1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구축 8 / 1.3.2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9
1.3.3 AI와 머신러닝 10 / 1.3.4 기타 제공 솔루션 10
1.3.5 이 책에서 다루는 비즈니스 니즈와 서비스 11

CHAPTER 2 AWS 계정 만들기
2.1 AWS 계정이란? 14
2.1.1 AWS 계정 생성 시 준비물 14 / 2.1.2 루트 사용자 15
2.2 AWS 계정 생성하기 16
2.2.1 AWS 계정 생성 16 / 2.2.2 연락처 정보 입력 17 / 2.2.3 결제 정보 입력 18
2.2.4 자격 증명 확인 19 / 2.2.5 Support 플랜 선택 19
2.3 로그인하기 21
2.3.1 로그인 21 / 2.3.2 AWS 계정 정보 입력 21 / 2.3.3 AWS 계정의 비밀번호 입력 22
2.4 AWS 관리 콘솔 이용법 23
2.4.1 리전 변경 23 / 2.4.2 서비스 대시보드 열기 24 / 2.4.3 로그아웃 24

CHAPTER 3 안전한 조작 준비하기
3.1 IAM 28
3.1.1 인증 28 / 3.1.2 접근 허가 29 / 3.1.3 루트 사용자 29 / 3.1.4 사용자와 그룹 30
3.2 IAM 대시보드를 이용해 안전성 확인하기 31
3.2.1 AWS 계정 루트 사용자의 액세스 키 잠금 31 / 3.2.2 MFA 활성화 33
3.2.3 개별 IAM 사용자 생성 37 / 3.2.4 사용자 그룹을 이용한 접근 권한 할당 41
3.2.5 사용자에 대한 강력한 암호 정책 구성 44

CHAPTER 4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
4.1 네트워크 48
4.2 VPC 49
4.2.1 VPC란? 49 / 4.2.2 생성 내용 50 / 4.2.3 VPC 생성 순서 51
4.3 서브넷과 가용 영역 54
4.3.1 서브넷과 가용 영역이란? 54 / 4.3.2 IPv4 CIDR 설계 방법 55
4.3.3 생성 내용 56 / 4.3.4 서브넷 생성 순서 58
4.4 인터넷 게이트웨이 60
4.4.1 인터넷 게이트웨이란? 60 / 4.4.2 생성 내용 61
4.4.3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순서 61
4.5 NAT 게이트웨이 65
4.5.1 NAT 게이트웨이란? 65 / 4.5.2 NAT 시스템 66
4.5.3 생성 내용 67 / 4.5.4 NAT 게이트웨이 생성 순서 68
4.6 라우팅 테이블 70
4.6.1 라우팅 테이블이란? 70 / 4.6.2 생성 내용 71 / 4.6.3 라우팅 테이블 생성 순서 73
4.7 보안 그룹 78
4.7.1 보안 그룹이란? 78 / 4.7.2 생성 내용 79 / 4.7.3 보안 그룹 생성 순서 80

CHAPTER 5 점프 서버 준비하기
5.1 점프 서버란? 86
5.2 SSH 접속에 필요한 키 페어 준비하기 87
5.2.1 생성 내용 87 / 5.2.2 키 페어 생성 순서 88
5.3 점프 서버 준비하기 89
5.3.1 생성 내용 89 / 5.3.2 EC2 인스턴스 생성 순서 90
5.4 접속 확인하기 97
5.4.1 접속 확인 순서 97

CHAPTER 6 웹 서버 준비하기
6.1 웹 서버란? 102
6.2 웹 서버 준비하기 103
6.2.1 생성 내용 103 / 6.2.2 점프 서버와 비교 104 / 6.2.3 EC2 인스턴스 생성 순서 104
6.3 접속 확인하기 110
6.3.1 접속 확인 순서 111

CHAPTER 7 로드 밸런서 준비하기 113
7.1 로드 밸런서란? 114
7.1.1 로드 밸런서의 역할 114 / 7.1.2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 116
7.1.3 로드 밸런서를 이용한 요청 라우팅 117
7.2 로드 밸런서 생성하기 118
7.2.1 생성 내용 118 / 7.2.2 가용 영역 118
7.2.3 로드 밸런서와 대상 그룹 119 / 7.2.4 로드 밸런서 생성 순서 120
7.3 작동 확인하기 128
7.3.1 HTTP 요청을 받을 준비 128 / 7.3.2 요청 라우팅 확인 129
7.3.3 브라우저에서 접근 130

CHAPTER 8 데이터베이스 서버 준비하기
8.1 데이터베이스 서버란? 132
8.2 RDS 133
8.2.1 RDS 시스템 134
8.3 데이터베이스 서버 생성 흐름 135
8.4 파라미터 그룹 생성하기 135
8.4.1 생성 내용 135 / 8.4.2 파라미터 그룹 생성 순서 136
8.5 옵션 그룹 생성하기 137
8.5.1 생성 내용 137 / 8.5.2 옵션 그룹 생성 순서 137
8.6 서브넷 그룹 생성하기 139
8.6.1 생성 내용 139 / 8.6.2 서브넷 그룹 생성 순서 139
8.7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142
8.7.1 생성 내용 142 / 8.7.2 데이터베이스 생성 순서 142
8.8 작동 확인하기 149

CHAPTER 9 이미지 저장 장소 준비하기
9.1 스토리지 154
9.2 S3 155
9.2.1 S3의 작업 범위와 비용 155 / 9.2.2 S3와 VPC의 관계 156 / 9.2.3 S3 시스템 158
9.3 S3 버킷 생성하기 158
9.3.1 생성 내용 158 / 9.3.2 버킷 조작 순서 158
9.4 역할을 생성해 EC2에 적용하기 161
9.4.1 생성 내용 161 / 9.4.2 역할 생성 순서 162 / 9.4.3 EC2에 역할 적용하기 165
9.5 작동 확인하기 166

CHAPTER 10 커스텀 도메인과 DNS 준비하기
10.1 도메인 이름이란? 170
10.1.1 DNS 171 / 10.1.2 SSL 서버 인증서 172
10.2 Route 53의 기능 알아보기 174
10.2.1 도메인 이름 등록 174 / 10.2.2 DNS 서버 175
10.3 Certificate Manager 176
10.4 도메인 이름 취득하기 177
10.4.1 도메인 이름 취득 순서 177
10.5 퍼블릭 DNS에 리소스 정보 추가하기 182
10.5.1 퍼블릭 DNS로의 추가 순서 183 / 10.5.2 작동 확인 188
10.6 프라이빗 DNS 준비하기 190
10.6.1 생성 내용 190 / 10.6.2 프라이빗 DNS 생성 순서 191
10.6.3 EC2 정보 추가 순서 194 / 10.6.4 RDS 정보 추가 순서 197 / 10.6.5 작동 확인 199
10.7 SSL 서버 인증서 발행하기 201
10.7.1 SSL 서버 인증서 발행 순서 201 / 10.7.2 로드 밸런서에 리스너 추가 205
10.7.3 작동 확인 207

CHAPTER 11 메일 서버 준비하기
11.1 메일 시스템 212
11.1.1 메일 전송 시스템 213 / 11.1.2 POP3와 IMAP4 비교 213
11.2 Amazon SES 214
11.2.1 메일 송신 214 / 11.2.2 메일 수신 215
11.2.3 Amazon SES를 생성하는 리전 217 / 11.2.4 샌드박스 217
11.3 메일 송수신 기능 생성하기 217
11.3.1 도메인 설정 내용 217 / 11.3.2 도메인 설정 순서 218
11.3.3 검증 완료 메일 주소 추가 221 / 11.3.4 관리 콘솔에서 테스트 메일 송신 223
11.3.5 SMTP를 이용한 메일 송신 226 / 11.3.6 메일 수신 229
11.3.7 샌드박스 외부로 이동 233

CHAPTER 12 캐시 서버 준비하기
12.1 캐시 서버란? 238
12.1.1 캐시 시스템 238 / 12.1.2 레디스와 멤캐시드 240
12.2 일래스틱캐시 241
12.2.1 일래스틱캐시 계층 시스템 241
12.3 일래스틱캐시 생성하기 243
12.3.1 생성 내용 244 / 12.3.2 일래스틱캐시 생성 순서 244
12.4 작동 확인하기 248

CHAPTER 13 샘플 애플리케이션 작동하기
13.1 인프라스트럭처에 배치할 애플리케이션 253
13.2 인프라 구성 확인하기 255
13.2.1 인프라스트럭처 255 / 13.2.2 미들웨어 257
13.3 샘플 애플리케이션 설치하기 257
13.3.1 OS 설정과 미들웨어 설치 258 / 13.3.2 루비 온 레일즈 환경 구축 259
13.3.3 샘플 애플리케이션 설치 260
13.4 작동 확인하기 264

CHAPTER 14 서비스 모니터링하기
14.1 모니터링이란? 272
14.1.1 집중 관리 272 / 14.1.2 경보 273 / 14.1.3 지속적인 정보 수집 274
14.2 주요 모니터링 항목 274
14.2.1 생사 모니터링 275 / 14.2.2 CPU 사용률 275
14.2.3 메모리 사용률 276 / 14.2.4 디스크 용량 276
14.2.5 네트워크 트래픽 276 / 14.2.6 리소스별 모니터링 항목 277
14.3 CloudWatch 278
14.4 리소스 모니터링하기 279
14.4.1 모니터링 순서와 기능 279 / 14.4.2 대시보드 생성 281
14.4.3 위젯 생성 283 / 14.4.4 경보 생성 288 / 14.4.5 미리 보기 및 생성 293

CHAPTER 15 요금 확인하기
15.1 요금 관리 방식 298
15.1.1 서비스 가동 전 견적 298 / 15.1.2 서비스 가동 중 PDCA 299
15.2 Billing and Cost Management 300
15.2.1 AWS 요금 계산기 300 / 15.2.2 예상 요금 예시 303
15.3 예산 작성하기 304
15.3.1 예산 작성 순서 304
15.4 일일 요금 확인하기 310
15.4.1 Cost Explorer 이용 310
15.5 청구서 확인하기 313
15.6 예산 개선하기 313
15.7 마치며 314

CHAPTER 16 부록
16.1 설정 항목 목록 316
16.2 리소스 삭제 방법 321
16.2.1 NAT 게이트웨이 321 / 16.2.2 EC2 321 / 16.2.3 Elastic IP 321
16.2.4 Application Load Balancer 322 / 16.2.5 RDS 322
16.2.6 일래스틱캐시 322 / 16.2.7 S3 322
16.3 IaC 322
16.3.1 AWS에서의 IaC 323 / 16.3.2 AWS CLI 설치 324
16.3.3 CloudFormation을 이용한 리소스 생성 예 325

찾아보기 32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