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차상찬 평전 - 한국 잡지의 선구자

차상찬 평전 - 한국 잡지의 선구자

  • 박길수
  • |
  • 모시는사람들
  • |
  • 2012-01-15 출간
  • |
  • 429페이지
  • |
  • ISBN 978899069904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청오 차상찬의 생애와 사상
청오, 숲속에 웅크린 맹호 야인적 기질의 근대 지식인
은관문화훈장에 추서 천생이 잡지쟁이
청오의 가계와 어린시절 강원도를 사랑한 청오
민족사의 격변기에 태어나다 청오의 상경과 학창시절
갑진개화혁신운동 참여 보성 중학 시절
관동학회와 청오 잡지계 입문
천도교청년당과 청오 천도교청년회
청년당의 강연회에서 큰 인기 모아 “청오가 들보라면 소파는 기둥”
<개벽사>와 청오 <개벽사>에 바친 열정, 그리고 꿈
동학 창도에서 <개벽사> 창설까지 <개벽사>와 청오의 활동
『개벽』 최후의 날? 개벽 이후 -<개벽사>의 잡지들과 청오
『혜성』과 청오 복간사 - 회고팔년回顧 八年
청오의 사상과 언론활동 『개벽』의 정신과 사상
기사를 통해서 본 청오의 사상 청오의 조선에 대한 자부심
국가적 대 기획 - 조선문화의 기본조사 청오의 민중관
지배계급에 대한 비판적 의식 청오의 민중 계몽주의
여기자의 산실産室 <개벽사> 청오의 인물평
교우관계 저서著書와 유고遺稿
청오의 일상생활 가회동 청오의 집은 주막이었고 사랑방?
청오의 글쓰기는 계속 되다 청오, 잡지 속으로 가다
개벽 복간을 외치다 청오, 한 줌의 재로

제2부 청오 차상찬 작품 선집
조선신문 발달사 국도 이전의 경성
국제적으로 알려진 조선의 인물 갑오비화
주국헌법 대머리 철학강좌
뚱뚱보 철학 장대에 스러진 별
화보 상하 반만년의 우리 역사 종으로 본 조선의 자랑
상하 반만년의 우리 역사 횡으로 본 조선의 자랑 각계 각 방면 제일 먼저 한 사람 사화와 당쟁 경성 명류 인물 백화집
한시

도서소개

한국 잡지의 선구자『차상찬 평전』. 제45회 잡지의 날을 맞아 한국잡지협회의 주선으로 수상하게 된 문화훈장은 선생의 유덕을 흠모해 온 천도교인들과 잡지계의 후배들 그리고 후손자제 차웅렬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차상찬 평전이다. 청오 차상찬의 생애와 사상, 청오 차상찬 작품 선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 잡지의 선구자인 청오 차상찬(1887-1946)의 평전이다.
청오 차상찬 선생은 우리나라 근대 문화의 여명기에 잡지·언론의 선구자로서 사명을 다한 지식인이였으며, 총 대신 올곧은 붓을 들고 조국의 광복을 부르짖은 독립군이었다. 청오 차상찬 선생은 민족문화사의 위대한 스승이되, 강단에서가 아니라 지면으로 민중을 계몽하고 애국심을 가르치며,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오롯이 계승하여 당대의 위기를 극복할 지혜와 힘을 기르고자 하였다. 그렇게 평생을 잡지와 함께한 청오의 일생은 우리 민족 근대사가 지난하고 뒤틀렸던 만큼이나 어두운 골방에 갇힌 채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그로부터 한 갑자도 훨씬 지난 2010년 11월 1일, 차상찬 선생은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제45회 잡지의 날을 맞아 한국잡지협회의 주선으로 수상하게 된 문화훈장은 선생의 유덕을 흠모해 온 천도교인들과 잡지계의 후배들 그리고 후손자제 차웅렬의 노력이 반 세기 만에 맺은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차상찬 선생 개인의 영광일 뿐만 아니라, 선생이 필생의 업으로 여겨왔던 개벽사의 운영과 개벽을 비롯한 수많은 ‘개벽사 잡지’들에 대한 복권의 신호탄이라고 할 만한 일이었다.

차상찬은 『개벽』을 비롯하여 8개의 잡지를 만든 편집자
차상찬의 목이 달아나면 달아났지 그에게서 바른 말을 막을 수 없다
『개벽』지는 우리나라 종합잡지의 효시嚆矢요, 민족지로서도 탁락하여 군계群鷄의 추종을 불허하는 일학一鶴이다. 청오 차상찬은 개벽지의 창간동인이자, 이돈화李敦化, 김기전金起田, 방정환方定煥의 뒤를 이어 1931년부터 개벽사의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취임, 그때부터 개벽사가 문을 닫을 때까지 17년간을 온갖 고초 속에 잡지를 이끌어왔다. 『개벽』을 위시하여 「혜성」, 「부인」, 「어린이」, 「신여성」, 「학생」, 「제일선」, 「별건곤」 등 개벽사 간행 잡지 매호마다 청오 차상찬 선생의 투철한 계몽사상과 민족정신이 깃들이지 않은 곳은 없다.
청오의 힘은 해학과 직필直筆에서 나온다고 할 만큼 특유의 기지를 발휘한 매서운 필치로 당대 저명 인사들의 일거수일투족과 세태를 기사화했고, 이로써 독자들을 웃기고 울리며 항일 사상을 고취시켰다. 당시 사람들의 입담에 “차상찬의 목이 달아나면 달아났지 그에게서 바른 말을 막을 수 없다.”고 하던 말이 그것이다. 그것이 일제 당국의 비위를 거슬려 옥고를 치르기도 했고, 풍자거리가 된 인사들의 항의도 끊이지 않았으나, 청오는 오불관언吾不關焉의 꿋꿋한 자세로 피를 토하듯이 필봉筆鋒을 휘둘렀다.

차상찬은 30개에 달하는 필명으로 글을 쓴 문재
애국과 계몽으로 일관된 청오의 의지와 신념은 쌀 한 되 없는 가난에도 오히려 청빈낙도淸貧樂道하면서 잡지 언론의 사명을 다하는 대들보 역할을 해 왔던 것이다. 1인 10역의 필봉을 휘둘렀던 선생은 본명과 호 외에도 가회동인嘉會洞人, 월명산인月明山人, 삼각산인三角山人, 강촌생江村生, 사외사인史外史人, 차돌이, 차천자車賤者, 풍류랑風流郞, 수춘산인壽春山人, 각살이 외 30개에 달하는 필명을 가지고 온갖 글을 써 냈던 문재文才였다. 『개벽』에는 72개 호까지 2,074개의 기사가 실렸으며, 그 가운데 1,071개의 기사를 청오를 비롯한 개벽사의 직원들이 직접 집필하였다. 이 중 필명을 확인할 수 있는 기사는 모두 636개인데, 차상찬은 그 중 118개의 기사를 작성하였다. 이는 박달성의 136개 기사에 이어 두 번째이고, 그 뒤를 김기전(108개), 이돈화(84개), 박영희(57개), 방정환(27개) 등이 잇고 있다. 그러나 개벽사 기자가 집필한 것은 확실하나 필자를 명확히 알 수 없는 기사 435개 가운데 청오의 기사가 비교적 많았으리라는 것은 청오의 다양한 필명으로 보나, 청오의 집필 경향으로 보아 분명할 것이다. 이는『개벽』지에서도 청오의 역할이 이돈화, 김기전, 박달성에 필적하거나 그 선두에 서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