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셰일가스 개발 및 해외진출 동향과 신재생에너지 ESS사업화 전략분석 (양장) (학술)

셰일가스 개발 및 해외진출 동향과 신재생에너지 ESS사업화 전략분석 (양장) (학술)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4-02-11 출간
  • |
  • 513페이지
  • |
  • 213 X 301 mm
  • |
  • ISBN 978899411176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Ⅰ편 셰일가스
제1장 셰일가스 산업 개요
1. 셰일가스(Shale Gas)의 개요
1) 셰일가스 정의 및 특징
(1) 셰일가스 정의
(2) 셰일가스의 특징
2) 셰일가스의 채굴방법 및 매장량
(1) 셰일가스의 채굴방법
(2) 셰일가스 분포 및 매장량
가. 셰일가스 매장량
나. 셰일가스 지역별 분포
3) 셰일가스가 주목받는 이유
2. 셰일가스 산업의 현재와 미래
1) 셰일가스 추출 공법
(1) 수평시추법(horizontal drilling)
(2) 수압파쇄법
2) 셰일가스 산업 현황 및 전망
(1) 국가별 동향
가. 미국
나. 캐나다
다. 중국
라. 유럽 및 폴란드
(2) 개발 현황 및 전망
가. 미국을 선두로 유럽, 중국 등 셰일가스 개발에 박차
나. 환경문제 등 논란 불구, 셰일가스 개발과 생산 가속화
3. 셰일가스 붐이 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천연가스 상대가격 및 시장의 질서 변화
(1) 대량 공급으로 인한 천연가스 가격 하락
(2) 천연가스 시장의 기존 질서 변동
2) 천연가스 가격 하락으로 인한 개발사업 수익성 악화 극복 과제 발생
(1) 미국은 LNG 생산 및 동북아 시장으로의 수출에서 개발사업의 활로 모색
(2) 천연가스의 가격 하락은 셰일가스만이 아닌 셰일오일을 겸한 개발 유도
3) 셰일가스 개발 붐이 경제 및 산업 활성화를 선도
(1) 개발지역의 경제 활성화
(2) 셰일가스 붐은 우리나라 조선, 발전, 철강 산업 활성화에 기여
4. 세계 천연가스 시장 동향
1) 세계 천연가스 시장 현황
(1) 국내 시장 현황
(2) 세계천연가스의 수급 및 교역
가. 소비
나. 생산
다.?교역
(3) 세계천연가스의 가격
2) 세계 천연가스 시장 전망
(1) 수급 전망
가. 소비
나. 생산
다. 수급 상황
(2) 교역 전망
가. 지역 간 교역규모 확대
나. LNG 수급구조 변화
(3) 가격 전망
가. 천연가스 가격
나. LNG가격
제2장 셰일가스 개발 및 해외 진출 동향
1. 주요국의 셰일가스 개발 동향
1) 북미 지역 개발 동향
(1) 미국
(2) 캐나다
(3) 북미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파급 효과
가. 미국 내 전 산업의 경쟁력 향상
나. 국내 각 산업별 직?간접적인 영향
(4) 북미 에너지 시장 동향
가. 북미 에너지 소비
나. 셰일가스 개발/수급 동향
다. 셰일가스 수요 동향
라. 셰일가스 용도별 수요동향
마. 셰일가스 개발 확대가 에너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
(5) 정부 정책 및 주요 개발 프로젝트
가. 정부 지원제도
나. 정부 규제 및 관련 제도
다. 오바마 정부와 셰일가스 개발
라. 주요 업체별 미국 내 셰일가스 관련 활동
마. Royal Dutch Shell
바. Statoil
사. ExxonMobil-XTO Energy
아. Total
자. BP
차. Chesapeake Energy Corp.
카. Atlas Energy Inc.
타. SH Energy & Chemical
(6) 향후 전망
가. 긍정적 요인
나. 부정적 요인
2) 중국의 개발 동향
(1) 개발 현황 및 전망
(2) 대응 방향
3) 유럽의 개발 동향
(1) 개발 현황 및 전망
(2) 대응 방향
2. 셰일가스 개발붐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기회요인 및 위기요인
(1) 기회요인
(2) 위기요인
가. 경쟁력 약화 문제
나. 국내 도입가격 문제
2)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고유가 대응과 자원 안보를 위한 셰일가스 개발 본격화
(2) 환경오염이 셰일가스 개발과정의 최대 난제
(3) IEA에서도 낙관론과 비관론 제시
(4)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개발을 적극 추진
(5) 셰일가스 개발로 에너지 관련 산업의 변화 예상
(6) 셰일가스 개발 급증에 따라 국내 산업에 큰 영향
(7) 셰일가스 개발붐과 파급효과에 적극적 대응 필요
3) 북미 셰일가스 개발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정유
가. 셰일가스 도입에 따른 정유업종의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
나.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 최종 영향은 중립적
(2) 석유화학
가. 국내 에틸렌계 석유화학 제품의 가격 경쟁력 하락
나. 국내 석유화학 기업에 미치는 영향
(3) 도시가스 발전 및 전기장치
가. 저가의 셰일가스 도입에 따른 도시가스업종의 원가 부담 완화가 가능
나. 화력발전 및 전기장치 생산업체는 셰일가스 도입에 따른 수혜 예상
(4) 조선
가. 셰일가스 개발은 향후 LNG선 수요를 촉진
나. 해양플랜트 부문에는 부정적으로 작용
다. 국내 조선사 및 관련 기업에 미치는 영향
(5) 건설 EPC
가. 국내 LNG 관련 시설에 대한 건설 수요의 제한적 확대
나. LNG플랜트 수주 확대 및 해외건설 시장의 다변화 효과
(6) 철강
가.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
나. 국내 철강업체에 미치는 영향
(7) 기계
가. 셰일가스 개발을 위한 기계류의 수출 증가 예상
나. 피팅, 공작기계 관련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
(8) 태양광 산업
가. 미국과 중국의 태양광발전 산업 위축으로 국내 태양광 소재 산업에 부정적 영향
나. 폴리실리콘, 잉곳웨이퍼 태양광 소재업체들의 직접적 타격 예상
3.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동향
1) 경쟁국 해외 진출 동향
(1) 중국
(2) 일본
2) 국내 기업 진출 현황
3) 북미 지역의 국내 기업 진출 현황 및 전략
(1) 국내 기업 진출 현황
가. 미국
나. 캐나다
(2) 진출 유망 산업
가. 미국
나. 캐나다
(3) 진출 전략
가. 미국
나. 캐나다
제3장 셰일가스가 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셰일가스가 에너지시장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고유가와 에너지 안보 문제의 대안으로 셰일가스의 부상
2) 셰일가스 개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 대두
3) 각국의 셰일가스 개발 현황과 세계 에너지 믹스의 변화
2. 셰일가스가 화학/석유화학/천연가스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셰일가스 개발이 화학산업에 미치는 영향
(1) Feedstock 비중변화
(2) Cracker Cash Cost 및 Margin 변화
(3) On-Purpose 기초유분 확대
(4) 중장기적 석유화학 경쟁구도 변화
2) 셰일가스가 석유화학 산업에 미칠 단기적 영향
(1) PE, PVC 생산 확대
(2) PP 등 非에틸렌계 석유화학 제품 시장 위축
3) 셰일가스가 석유화학 산업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
(1) 천연가스 기반 에틸렌계 확대
(2) 천연가스 이용 非에틸렌계 생산 확대
(3) 본격적인 천연가스 화학 시대 도래
4) 셰일가스가 천연가스 시장에 미치는 영향
(1) 천연가스 가격 하향 안정화에 기여
(2) 에너지 자원의 무기화 약화
(3) 천연가스 활용에 대한 재평가
3. 셰일가스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동향
(1)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가. 세계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나.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다.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2)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미국
나. 중국
다. 독일
라. 기타
(3) 셰일가스 사용 확대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미치는 영향
2) 국내 셰일가스 도입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미치는 영향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목표
가. 국내 에너지 수요 전망
나.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향
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목표
(2) 국내 유망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망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연료전지
4. 셰일가스 개발 관련 수처리 산업 동향
1) 셰일가스 개발과 물 산업의 관계
2) 셰일가스 산업 관련 물 관리 및 처리 공법
3) 셰일가스 개발 관련 수처리 산업 전망
5. 셰일가스 개발 확대가 기후변화 대응에 미치는 영향
1) 셰일가스에 의한 온실가스 발생에 대한 논의
(1) 채굴/생산 시 온실가스 발생
가. 맨체스터 대학 틴달 센터
나. 코넬대학 Robert W. Howarth
다. 유럽 의회
(2) 지구온난화지수를 감안한 연료별 온실가스 발생량 비교
가. 코넬대학 Dr. Robert W. Howarth
나. 캐나다 에너지 정책 연구보고서
다. 미국 신탄소연구소
(3) 종합
2) 셰일가스 사용과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영향
(1)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국제적 논의
(2) 셰일가스 사용과 기후변화 대응
3) 셰일가스 사용과 우리나라 기후변화 정책
(1) 국내 셰일가스 도입 전망
(2)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
(3) 셰일가스 도입의 기후변화 정책에의 영향

제Ⅱ편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제1장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및 활성화 방안
1.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개요
1)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정의
2) 범위
(1) 전기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소
라. 연료전지
마. IGCC
바. 소수력
사. 해양
(2) 열
가. 지열
나. 폐기물
다. 바이오
라. 태양열
2. 주요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및 국내 대응방안
1) 태양광 산업
(1) 국내외 산업동향
(2) 주요 이슈 및 문제점
(3) 대응방안
2) 풍력 산업
(1) 국내외 산업동향
(2) 주요 이슈 및 문제점
(3) 대응 방안
3) 바이오에너지 산업
(1) 국내외 산업동향
(2) 주요 이슈 및 문제점
(3) 대응방안
가. 국내 바이오에너지 보급정책 추진
나. 대·중소기업 협력과제의 적극적인 추진과 제도개선
다. 바이오에너지 원료 수급 경쟁력 확보
라. 대·중소기업의 공생발전 환경 조성
3.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시장 동향
1) 태양광
(1) 해외 시장 동향
가. 세계 태양광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다. 박막 태양전지
(2) 국내 시장 동향
2) 풍력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수소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4) 연료전지
(1) 해외 시장 동향
가. 수송용 연료전지
나. 건물용 연료전지
다. 발전용 연료전지
라. 휴대용/특수목적용 연료전지
(2) 국내 시장 동향
가. 수송용 연료전지
나. 건물용 연료전지
다. 발전용 연료전지
라. 휴대용/특수목적용 연료전지
5) IGCC
(1) 해외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규모
나. 향후 시장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6) 소수력
(1) 해외 시장 동향
가. 소수력 개발 가능 용량
나. 소수력 시장 현황
다. 소수력발전 보급 현황
라. 해외 소수력발전의 전망
마. 정책 및 제도 현황
(2) 국내 시장 동향
가. 수력 잠재량
나. 소수력 시장 현황
다. 소수력발전 보급 현황
라. 정책 및 제도 현황
7) 해양
(1) 해외 시장 동향
가. 세계 해양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세계 조력발전 시장의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8) 지열
(1) 해외 시장 동향
가. 해외 지열 냉난방 시스템 시장 및 보급 현황
나. 해외 지열 발전 시장 및 보급 현황
(2) 국내 시장 동향
가. 국내 지열 냉난방 시스템 시장 및 보급 현황
나. 국내 지열 발전 시장 및 보급 현황
9) 폐기물
(1) 해외 시장 동향
가. 폐기물고형연료(RDF)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나. 가스화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열분해 유화 시장 현황 및 전망
라. 소각열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가. 폐기물고형연료(RDF)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나. 가스화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다. 열분해 유화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라. 소각열회수 시장의 현황 및 전망
10) 바이오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11) 태양열
(1) 해외 시장 동향
가. 태양열 건물활용기술
나. 산업분야 활용 기술
다. 세계 태양열 발전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가. 태양열 건물 활용 기술
나. 태양열 발전기술
4.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기술 및 기업 동향
1) 태양광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2) 풍력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3) 수소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4) 연료전지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5) IGCC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6) 소수력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7) 해양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업체 현황(기업)
나. 해외 업체 현황(대학, 연구소)
다. 국내 업체 현황
8) 지열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9) 폐기물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10) 바이오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11) 태양열
(1)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 기업 현황
가. 해외 기업 현황
나. 국내 기업 현황
5.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방안
1)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방안 주요내용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개선
(2) 신재생 공급 신규제도 도입 및 적용 확대
2) 주요 추진과제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 개선
가. 태양광 의무공급량 확대
나. 에너지시설 주변 주민발전소 확산
다. 태양광 소규모 사업자 지원 강화
라. 태양광 대여사업 추진
마. 비태양광 활성화를 위한 REC 가중치 개선
바. 공급의무자의 의무이행 유연성 강화
사. ESS 설치 시 REC 가중치 우대
(2) 신재생 공급 신규 의무화제도 도입 및 적용 확대
가. 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도입
나. 대규모 수용가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권고
다.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의무비율 상향조정
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규제개선
마. 보급사업 개편
바. 민간주도형 A/S 체제구축
3) 기대효과
4)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
제2장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분석
1.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및 에너지 분권화 과제
1) 에너지 수급 위기와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1) 전력수급 위기 해결
(2) 중앙집중형 발전 시스템은 공급 안정성과 효율성에서 의문
(3) 중앙정부 중심의 하향식 에너지 정책
2) 지역 에너지 소비 현황과 특성
(1) 에너지 소비 상위 지역
(2) 전력 생산과 소비의 지역 간 격차 발생
(3) 대도시 지역은 고효율 고탄소, 광역도는 저효율 저탄소 유형으로 분류
3) 에너지 수요관리와 분권화의 과제
(1) 사용자 중심의 수요관리 강화 및 에너지 효율 향상 투자 확대
(2) 지역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지자체 권한과 역할 강화
(3) 신재생에너지, 미활용에너지 등 분산형 친환경에너지 보급 확대
(4) 민관 파트너십에 의한 지역 에너지 거버넌스 활성화
2.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현황
1) 기술사업화의 정의
2) 국내 기술사업화 현황
(1) 관련 법률
(2) 관련 제도
(3) 관련 조직
(4) 추진 현황
3) 기술사업화 관점에서 바라본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위상
4)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부 개입의 필요성
(1) 시장 실패
(2) 시스템 실패
3.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분석 및 국내외 사례 분석
1) R&D 지원에 대한 사업화 성과 분석 방법론 및 결과
(1) Propensity Score Matching
가. 분석 1 : 지원 받은 신재생에너지 기업 vs. 일반 제조업 기업
나. 분석 2 : 지원 받은 신재생에너지 기업 vs. 지원 받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기업
다. 분석 3 : 지원 받은 태양광 기업 vs. 일반 제조업 기업
라. 분석 4 : 지원 받은 태양광 기업 vs. 지원 받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기업
마. 분석 5 : 지원 받은 비태양광 기업 vs. 일반 제조업 기업
바. 분석 6 : 지원 받은 비태양광 기업 vs. 지원 받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기업
(2) 타 산업과 비교 분석
(3)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문제점 분석
(1) 에너지 기술의 특징
(2)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장애 요인
가. 에너지 기술사업화 매개 기관 부재
나. 연구기관의 구조적 문제
다. 사업화 자금 부족
라. 사업화 전문 인력 부족
마. 연구 성과 평가 체제의 문제
3) 국내 및 해외 사례 분석
(1) 국내 성공 사례(CDMA 기술사업화)
(2) 해외 사례
가. 영국 : BTG(British Technology Group)
나. 독일 : 프라운호퍼 응용연구소(FhG, Fraunhofer Gesellschaft)
다. 독일 : 슈타인바이스 재단 444
라. 이스라엘 : T3 테크니온 기술이전센터(T3 Technion Technology Transfer Center)
4) 정책 제언
(1) 에너지 기술사업화 매개기관 신설 및 기존 조직과 연계 방안
가. 기술사업화 매개기관의 신설
나. 대학, 출연(연) TLO의 역량 강화
다. 기술사업화 전문기업의 역할
(2) 연구기관의 효율화
(3) 기술사업화 자금 활성화
(4) 기술사업화 전문 인력 양성
(5) 기술사업화에 중점을 둔 평가체제
제3장 신재생에너지-ESS 융복합 동향
1. ESS(에너지저장장치) 개요
1) ESS 개념 및 범위
2) 스마트그리드 ESS 핫이슈
3) 주요 에너지저장기술 및 특징
2. 스마트그리드 ESS 기술
1) ESS 종류에 따른 특성
(1) 리튬이온전지
(2) 레독스흐름전지
(3) NAS(나스-황전지)
(4) SC(Supper Capacitor)
(5) 압축공기 저장 발전 시스템(CAES,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6)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FESS)
(7) 에너지저장 전력관리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2) 해외 현황
(1) LIB
(2) NaS
(3) RFB
(4) 플라이휠
(5) 수퍼캐패시터
가. 전력안정화 시스템
나. 전력 회생용 에너지 저장
(6) CAES
3) 국내 현황
(1) LIB
가. 삼성SDI
나. LG화학
다. SK이노베이션
라. 메가배스
(2) NaS
(3) RFB
가. 에너지기술연구원(KIER)
나. 호남석유화학
(4) 플라이휠
(5) 수퍼캐패시터
(6) CAES
(7) Zn-Br Flow Battery
4) ESS 계통 운영 방안
(1) 신재생발전원 출력보상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적용
(2) 신재생 에너지저장장치로의 활용가능 ESS 종류 및 특징
(3) 전력계통의 에너지저장장치의 주파수조정서비스
5) ESS 적용분야별 연계운용 방안
(1) 배전계통운영자
(2) 일반수용가
(3)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설치자
3. 에너지저장시설 시장 현황 및 전망
1) 에너지저장시설 시장
(1) 개요
가.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
나. 리튬이온 배터리 투자 현황
(2) 에너지저장시설의 수요 범위
가. Utility 애플리케이션(부하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나. 전력품질(power quality)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라. 분산형 전력저장 애플리케이션
2) 에너지저장시설 시장 규모 및 전망
(1) 해외 시장
(2) 국내 시장
가. 기술개발 현황
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 현황
다. 향후 전망
3) 에너지저장장치 유형별 시장 전망
4. 에너지저장시설의 장점 및 장애요인
1) 에너지저장시설의 장점
(1) 수요자 입장-비상용 전원으로 활용
(2) 계통운영자 입장-비상시 전력수급자원으로 활용 가능
(3) 저장시설 활용에 따른 기술적 장점
2) 에너지저장시설 구축의 장애요인
(1) 설치비용의 과다
(2) 전력저장시설에 대한 통일된 정의의 미비
(3) 소방법상 비상용 발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가비용 발생
5. 주요 국가별 대응정책 및 비즈니스 모형
1) 국가별 대응정책 및 비즈니스 모형
(1) 미국
(2) 일본
(3) 유럽
(4) 호주
(5) 러시아
(6) 중국
(7) 한국
2) 민간주도 경쟁체제 구축 예측
6. 신재생에너지-ESS 융복합 동향
1) 세계 신재생-ESS 시장 동향
2) 전지형 ESS 동향
3) 국내 신재생-ESS 실증 동향
통계(도표) 목차

도서소개

최근 발간된 ‘OECD 환경전망 2050’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세계 인구는 현재의 70억에서 90억으로 증대되고 세계 경제는 약 4배 이상 성장하여 에너지를 현재보다 80% 더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많은 전문가들이 이러한 미래의 에너지 부족 문제와 온실가스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면서 유력한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거론하고 있다. 더불어 신재생에너지가 오지 전력보급 원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ESS 복합설비가 디젤발전보다 경제성이 높다는 보고는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ESS 시대 개막을 앞당겼다. ESS 시스템은 다양한 전력망에서 신재생 전력의 투입율(Penetration)을 증가시키는 진화하는 지능형 전력망 역할로서 에너지저장장치(ESS) 솔루션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대체에너지로서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아직도 기술적·경제적으로 불확실한 대안들이다. 이런 상황에 고무적인 일은 최근 5년간 미국 등에서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셰일가스가 부족한 석유 에너지를 크게 보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점이다. 실제로 셰일가스는 단순한 석유 보완의 기능을 넘어 새로운 산업혁명을 유발할 엄청난 존재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 정부는 셰일가스가 국내 에너지 및 유관 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국내 에너지 업계는 셰일가스에 대해 조금이라도 더 많은 정보와 글로벌한 시각을 확보하여 다가올 미래의 변화와 도전을 기회로 삼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셰일가스 개발 및 해외진출 동향과 주요 신재생에너지 실태분석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분야 전반에 대한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셰일가스 개발 및 해외진출 동향과 신재생에너지/ESS사업화 전략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셰일가스의 개발 및 해외 진출 동향, 그리고 셰일가스 개발붐이 에너지/산업의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국내외 동향 및 ESS시스템의 기술 및 시장 현황, 신재생에너지-ESS 복합설비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미력이나마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