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계획부터 논문 심사까지,
논문 작성을 위한 길라잡이 꿀~~팁!!
논문 작성자들의 필독서!!
월등한 논문을 위한 6C 대공개!!
Compare(비교) Critique(비평) Creative(창의)Clarity(명확) Comprehensive(포괄) Contribution(기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추천 교재!!
이 책은 석사와 박사 학위 논문을 쓰는 방법론이자 동시에 학위 논문을 쓰는 노하우를 담은 책이다. 세 명의 저자는 기존에 나와 있는 수많은 논문 작성법 책과는 다른 시점에서 이 책을 집필했다. 논문을 구성하는 모든 소제목을 다루기보다는, 논문을 완성하는 곳곳에 필요한 노하우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실 연구자들이 석 •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할 때 어떻게 하면 논문을 잘 쓸 수 있는지 이를 이끌어주는 실제적인 가이드가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 세 명의 저자 역시 논문을 작성할 때 이러한 어려움을 많이 느꼈기에, 같은 고민을 할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을 시작한 것이다. 이 책은 연구자들이 논문 주제를 선택하는 시점부터 논문 심사 단계까지 계속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길라잡이(꿀팁)이 될 것이다.
세 명의 저자는 서로 다른 학문 분야에서 공부하며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1저자 조민혜 박사는 법경제학, <기업 지배구조의 공시 및 감독관행의 제도화>로, 제2저자 조민재 박사는 고고학/유산학, <권위적 독재 담론이 헤리티지 관리에 미치는 영향>으로, 제3저자 조병호 박사는 역사신학, <기독학생 운동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로 세부 분야는 다르지만 석 • 박사 학위 논문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분은 일정 부분 같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분담하여 진행했다. 석 • 박사 학위 논문으로서 자격을 갖추어야 할 부분, 즉 논문의 구조, 비평적 참고 문헌 검토, 이론적 프레임워크, 방법론, 조사 결과 작성, 해석과 분석 등의 중요한 요소들을 구성해 나갈 때 연구자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부분과 오류를 범하기 쉬운 부분 등에 초점을 맞추어 노하우를 제공했다. 더 나아가 연구자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논문을 작성할 때 좋은 모범으로 참고할 수 있는 실례와 흔히 범할 수 있는 실수의 실례 등을 예시로 들어 설명했다.
이 책은 특히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석 • 박사 학위 논문을 쓰고자 준비하는 학생들과 현재 논문을 쓰고 있는 학생들, 그리고 논문을 지도하는 교수님들께도 도움이 되는 책이다. 세 명의 저자가 모두 한 가족 구성원(아버지와 두 딸)이기 때문에 논문이라는 딱딱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따뜻한 글을 쓰려고 노력했고, 영어와 한글 모두를 수록하여 책을 엮었다. 세 명 모두 영국 대학교에서 석사(런던 SOAS대학교, 런던 UCL대학교, 에딘버러대학교)와 박사(런던 SOAS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버밍엄대학교) 학위를 취득했기 때문에 특히 영어로 논문을 쓰는 분들에게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 : 본 도서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의 연구비 지원을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의 고길곤 교수, 나종민 교수, 김윤지 교수, 김봉환 교수, 이진수 교수의 감수를 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