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사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하며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직무입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대책의 하나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세제인 탄소세가 대한민국에서도 중요한 항목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CCS (Carbon Captured and Storage) 방식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방식은 화력발전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며 신재생에너지 관련분야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급속히 성장하여 태양광발전 및 관련분야가 국내 및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사가 각광을 받는 자격증이 되었습니다.
본서는 2021년 01월 01일부터 시행되는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내용을 반영하며, “태양광 발전 설비 시공기준,” “분산형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기준,” “전기사업법령,” “전기설비기술기준” 등 최근 개정된 부분에 대한 혼란이 없도록 집필되었습니다. 또한 2020년 01월 01일부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기사(태양광)의 출제기준 시험과목이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본 교재는 이론 및 예시문제를 최근 개정된 부분에 맞춰 구성되었습니다. 변경된 신재생 에너지 발전설비 기사(태양광) 출제기준에 맞춘 이론 및 문제, 최근 개정된 부분에 대한 이론 보강, 단원별 꼼꼼한 설명으로 이해 도움, 기출 및 출제 예상문제와 자세한 해설로 인해 완벽 이해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