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제 외무성 경찰의 임정 항일지사 조사 기록

일제 외무성 경찰의 임정 항일지사 조사 기록

  • 김구재단김구포럼
  • |
  • 태학사
  • |
  • 2021-12-31 출간
  • |
  • 664페이지
  • |
  • 153 X 225 mm
  • |
  • ISBN 9791168100367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외무성경찰사』, 항일 독립운동 1차 사료의 보고(寶庫)

『외무성경찰사』 중부 중국[中支] 편에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사료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는데, 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다.

첫째, 『외무성경찰사』 중부 중국 편에 담긴 재(在)중국 한인들에 대한 일제 외무성 경찰의 탐문ㆍ동향보고ㆍ취조ㆍ조사보고서ㆍ품의서ㆍ서한 등은 한국인들의 항일 독립운동,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 무정부주의운동에 관심을 두는 연구자들에게는 물론이고, 한일관계사ㆍ중일관계사 연구자들에게도 1차 사료로서 다양한 ‘사실’들과 ‘추정’, 그리고 침략의 주체였던 일제의 행적에 대한 ‘견해’와 ‘이해’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외무성경찰사』 중부 중국 편에는 일제 외무성 경찰이 첩자ㆍ이중첩자ㆍ매수자ㆍ고용인 등의 정보망을 활용해 조사 파악한 문건들이 매우 많다. 여기에는 임정 내부 사정, 즉 김구ㆍ안창호ㆍ김규식ㆍ김원봉 등 지도자들의 활동과 동향, 그리고 한국독립당ㆍ한국민족당 등의 정당들을 비롯하여 한인들 간의 알력, 마찰 갈등, 대립을 가늠할 수 있는 기록들도 다수 발견된다. 특히 김구ㆍ안창호ㆍ김규식ㆍ김원봉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두 동생을 포함한 임정 한인 지도자들의 활동과 동향 등에 관한 독립운동 관련 자료는 여러 권에 걸쳐 산재해 있다.

셋째, 『외무성경찰사』 중부 중국 편은 전전(戰前) 일본 근대사의 한 부분으로서 일제 외무성 경찰 자체의 역사뿐만 아니라 일제의 대외관계사와 중일관계사 연구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침략 과정에서 수행한 외무성 경찰의 역할을 소상하게 기록한 자료들은 새로운 연구 주제들이 될 것이다. 외무성 경찰의 각지 개설 및 폐쇄 과정, 경찰관의 부임과 전근, 임무와 활동, 교육과 포상에서부터 작게는 경찰관 개인의 문제 및 건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사 기록들이 수록돼 있다. 게다가 일본 민관군의 중국 침략 및 ‘진출’과 연동돼 중국 내 일본 거류민의 인구수에서부터 거류와 이동, 본국 철수, 아편 밀매, 밀수, 도박, 매춘과 방화 등의 각종 범죄와 무역, 상공업 종사, 기업 운영, 언론기관 운영 같은 여러 동향을 소상하게 조사한 자료들이 적지 않다.

넷째, 중국 사회와 중국인의 동향, 특히 국공(國共) 관계, 중국공산당 및 코민테른과의 관계 등을 주제로 한 중국현대사 연구에 필요한 자료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 관내 각지의 사정들이 자세하게 조사돼 있어 지방지(地方誌)를 중시하는 중국의 지방사(향토사) 연구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부분이 적지 않다. 구체적으로 중국 내 일본인ㆍ한인ㆍ소련인ㆍ유태인 등 외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자체의 지역별 인구 및 이동, 생활환경, 사회적 조건, 정치적ㆍ군사적 상황 등을 살필 수 있는 사료가 적지 않다. 한편, 타이완에 대한 각종 조사 보고서도 적지 않게 수록돼 있어 일제강점기 타이완 현대사와 대외관계사 연구나 일본-타이완 관계사 연구에도 1차 사료로서 활용될 부분이 많다.


번역 수록된 주요 문건 9점 소개

1. 이강(李堈) 공 전하 경성 탈출 사건
고종 황제의 둘째 아들 의친왕 이강은 조선총독부를 상대로 항일 성향을 숨기지 않았던 인물이었다. 그가 상하이 임시정부의 항일운동에 합류하기 위해 출국을 기도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동안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는 찾기 어려웠다. 이 문건은 이를 충족시키는 중요 문건이다. 의친왕은 1919년 11월 상하이의 임정으로 가기 위해 경성을 탈출하여 의주까지 갔다가 일본군 헌병에게 체포되어 서울로 돌아와야 했다. 이 미수 사건을 주도한 전협(全協) 등 관련 인물들이 조사받은 내용이 이 문건에 들어 있다.

2. 상하이에서의 다나카(田中) 대장 저격 사건
1922년 3월 29일, 일본군의 다나카 기이치 육군대장에 대한 폭탄 저격 사건이 실패해 체포된 의열단 대원 김익상과 오성륜 두 사람의 공술 내용을 토대로 상하이 총영사관 외무성 경찰이 본국 우치다 고사이 외무대신에게 보고한 문건이다.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는 필리핀 정부에 파견되었다가 3월 28일 우쑹항(?淞港) 입항의 기선 ‘파인트리 스테이트’로 귀국 도중에 상하이에 도착했다. 다나카 기이치는 메이지 시대 천황제 국가주의 체제를 수립하여 대외 팽창 정책을 주도한 조슈(長州) 육군 세력의 우두머리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겐로(元老)로 하라 다카시 내각에 육군대신으로 추천한 인물이다. 조슈 출신의 마지막 육군대신이었다. 그는 1927년 4월 입헌정우회(立憲政友會)를 배경으로 총리대신에 지명되어 부임하자마자 제1차 산둥 출병을 단행하여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꺼져 가던 대외 팽창주의에 불을 다시 지폈다. 의열단에서 이런 인물의 동정을 살펴 제거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주목할 점이 많다.

3.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의 상황에 관한 건
상하이 총영사 시게미쓰 마모루가 외무대신 시데하라 기주로에게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의 상황을 보고한 문건이다. 보고자는 그에 대해 “치안유지법 위범(違犯) 피의자로 조선에 이송된 공산계 조선인 수령 구연흠(具然欽)이 1925년 조선공산당 사건 또는 1926년 6ㆍ10운동 사건에 관련하여 체포된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산청년회 조직 전후의 과정부터 운동의 경과와 관헌의 단속 및 검거 상황을 상술(詳述)한 것으로, 조선 공산주의운동의 상황 연구에 좋은 자료임과 동시에 금후 단속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라고 했다.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에 관한 자세한 자료로, 사료 가치가 높다. 1926년 6월 10일 순종 황제의 국장을 기하여 제2의 3ㆍ1독립만세운동을 기도한 6ㆍ10만세운동에 사회주의 세력이 깊이 관여한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4. 상하이 훙커우공원에서의 폭탄 투척 사건
김구가 주도한 한인애국단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공원 폭탄 투척 사건의 전모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사건 후 김구와 그 외 한국인 지도자들의 동정 및 김구의 도피, 독립운동자들 사이의 불화와 파벌 투쟁, 이 사건에
사용된 폭탄 및 자금의 출처, 당시 반(反)김구 움직임의 대두와 김구의 광둥 여행설, 한국 혁명 단체의 연합 및 중ㆍ한의 항일운동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5. 폭탄 사건 후의 김구 일파 및 그 외의 동정
훙커우공원 윤봉길 의거 후, 김구는 군무부장 김철(金澈)과 행동을 같이하여 당지(當地) 교통대학 체육 교사 조선인(중국 국적을 보유) 신국권(申國權)의 주선으로 김철과 면식이 있는 당지 외국인기독교청년회 주사 미국인 피치의 비호를 받아 모(某) 목사의 사택에 잠복했다. 이 문건은 군무부장 김철을 ‘후테이센진(不逞鮮人)’으로 검거하여 취조하면서 획득한 ‘김구 일파의 동정’에 대한 보고문이다.
김철 자신의 범죄 사실을 비롯해 1931년 7월 만주에서 발생한 만보산(萬?山) 사건, 이로 인한 한ㆍ중 민중들 간의 충돌 사건, 당시 개최될 중국 측 시민대회에 대표로서 안창호가 파견된 사실, 이봉창의 도쿄 사쿠라다몬가이 폭탄 투척 사건, 김구의 지시에 따른 유상근(柳相根) 사건(1932) 등 관련 내용이 들어 있다. 보고문은 매우 구체적이고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사료 가치가 높다.

6. 불령선인 김석(金晳)의 검거
1933년 11월 31일 임시정부 김구계의 김석을 검거하여 오랜 취조 끝에 획득한 사실들에 관한 보고문이다.
김석은 1923년 숙부 김철(金澈, 나중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따라 상하이로 가서 영국계 중학교를 다니고 상하이 법정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이해 학생 신분으로 대한교민단의경대 간부가 되고, 1931년 박창세(朴昌世)ㆍ이수봉(李秀峰) 등과 상하이 교포들의 치안 유지 목적으로 상하이한인정위단을 조직하여 친일 주구 숙청에 앞장섰다. 이어 한중민족항일대동맹의 선전부장이 되고, 1932년 1월 서재현(徐載賢)ㆍ유상근(柳相根) 등과 함께 상하이한인독립운동자청년동맹을 개조하여, 한국독립당 청년 부문 별동대 ‘상하이한인청년당’을 조직하였다. 같은 해 3월 당원인 이덕주(李德柱)ㆍ유진만(兪鎭萬)에게 조선 총독 암살 임무를 주고 국내로 밀파하였다. 4월에는 최흥식(崔興植)ㆍ유상근을 다롄으로 밀파하여 관동군사령관 등 군부 요인을 저격하려 했다. 파견된 동지들이 모두 체포됨에 따라 자신도 수배 대상이 되어 상하이를 탈출하여, 같은 해 임시정부 외교부장 비서장이 되었다.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공원 의거와 관련해 상하이에서 일본 경찰에 잡혀 조사를 받게 되었다. 이 보고문은 그를 취조한 보고문이다.

7. 의열단 및 민족혁명당의 조직
‘불령선인단’으로 검문 체포된 안리돌(安李乭, 1913년생)은 함길도 길주군 출신으로, 하얼빈에 거주하다가 베이징을 거쳐 난징으로 와서 반해량(潘海亮)을 만나 난징 이탈리아 영사관 뒤편에 있는 중국인 가옥에서 의열단 단원에 합류했는데, 이후 본의 아니게 의열단 단원이 되어 내부 사정을 알게 된 것을 공술한 것으로 되어 있다.
1935년 3월 의열단에 입단하여 1936년 2월 검거되어 공술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의열단으로서 내부 사정을 숙지하는 기간은 10개월 정도가 된다. 의열단 소속 기간에 비하여 공술된 정보는 양적으로 과도한 느낌이 없지 않으나, 구체적인 내용이 많아서 사료로서 활용 가치는 있다.

8. 재(在)난징 민족혁명당의 행동
상하이 영사관의 내무부 소속 서기관 우에다가 상관인 가야바 경보국장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민족혁명당은 1935년 난징에서 조직된 독립운동 정당이다. 1919년 4월에 출범한 상하이 임시정부가 국제연맹, 워싱턴군축회의를 상대로 한 독립 쟁취 운동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활력을 잃고 코민테른의 영향으로 분파 이탈 현상이 일어났다. 1930년대에 접어들어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공원 의거 성공을 배경으로 만주사변과 상하이사변으로 중국의 항일운동과 접속하여 다시 활기를 찾으면서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일 방안이 모색되었다. 그 결과 김규식(金奎植)이 광복동지회 대표로서 조선혁명당의 최동오(崔東旿), 의열단의 한일래(韓一來), 한국독립당의 이유필(李裕弼)ㆍ김두봉(金枓奉)과 협의하여 1932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을 결성했다. 이 ‘동맹’은 보다 효과적인 항일 투쟁을 위해 1935년 7월 5일 한국독립당ㆍ의열단ㆍ신한독립당ㆍ조선혁명당ㆍ미주대한인독립당 등 5당 대표가 난징에서 민족혁명당을 결성하여 대당(大黨) 조직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김원봉이 이끄는 의열단 계가 당권을 장악함으로써 이에 불만을 느낀 조소앙(趙素昻)의 한국독립당계가 1935년 9월 하순 이탈하고, 1937년 3월 지청천(池靑天)계도 이탈하여 4월 조선혁명당을 결성함으로써 민족대당(民族大黨)으로서의 성격은 약화되었다.
문건은 바로 이 무렵 민족혁명당의 사정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각 사항의 보고는 각 부서의 내용이 관련 인명을 다수 제시하거나 교육 과정의 교재 및 교관 이름까지 밝혀 사료적 가치가 높다. 민족혁명당의 지부 소재지도 화중ㆍ화동ㆍ화남ㆍ화서ㆍ화북과 특별 제1(경성), 특별 제2(불명, 만주 지역?) 등으로 구체적으로 밝혔다.

9. 재(在)상하이 영사관의 특고경찰(特高警察) 사무 상황
상하이 영사관 경찰 제2과에서 보고한, 상하이 주재 일본 영사관의 ‘특고경찰’, 곧 ‘특별고등경찰’의 직무에 관한 기록이다. ‘특고경찰’은 ‘외무성 경찰’ 가운데 한국인ㆍ중국인 등의 반일ㆍ항일 단체를 감시하는 직무 수행 경찰에 붙여지는 명칭으로, 외무성 경찰의 핵심 역할에 해당한다. 이 문건은 ‘외무성 경찰’의 핵심 임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목차


화보

간행사 ─ 김호연

I. 기획ㆍ편찬의 변: 자료의 선택 경위와 성과 ─ 이태진
1. ‘김구포럼’의 발족과 초기 사업 구상
2. 『주한일본공사관기록』이 살아남은 사연
3. 『외무성경찰사』를 택한 까닭
4. 통감부 ‘고등경찰’에서 외무성 ‘특고경찰(特高警察)’로
5. 『외무성경찰사』 수록 기사 목록화 ─ 한국 항일운동 관련 기록 표시

II. 일본제국 『외무성경찰사』 해설 ─ 서상문
1. ‘외무성 경찰’의 창설과 자료의 생성
2. 『외무성경찰사』의 체제, 주요 내용과 사료적 가치

III-1. 번역 대상 주요 문건 9점 선정 경위 및 해설 ─ 이태진
1. 이강(李堈) 공 전하 경성 탈출 사건
2. 상하이에서의 다나카(田中) 대장 저격 사건
3.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의 상황에 관한 건
4.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에서의 폭탄 투척 사건
5. 폭탄 사건 후의 김구 일파 및 그 외의 동정
6. 불령선인(不逞鮮人) 김석(金?)의 검거
7. 의열단(義烈團) 및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의 조직
8. 재(在)난징 민족혁명당의 행동
9. 재(在)상하이 영사관의 특고경찰(特高警察) 사무 상황

III-2. 주요 문건 9점 번역 ─ 김흥수ㆍ최성희ㆍ김유비
1. 이강(李堈) 공 전하 경성 탈출 사건 (제44권)
2. 상하이에서의 다나카(田中) 대장 저격 사건 (제44권)
3.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의 상황에 관한 건 (제47권)
4.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에서의 폭탄 투척 사건 (제45권)
5. 폭탄 사건 후의 김구 일파 및 그 외의 동정 (4제5권)
6. 불령선인(不逞鮮人) 김석(金?)의 검거 (제46권)
7. 의열단(義烈團) 및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의 조직 (제48권)
8. 재(在)난징 민족혁명당의 행동 (제46권)
9. 재(在)상하이 영사관의 특고경찰(特高警察) 사무 상황 (제43권)

IV. 『외무성경찰사』(제41~51권) 권별 해설 및 목록 ─ 서상문ㆍ도리우미ㆍ유타카ㆍ심철기
1. 『외무성경찰사』 제41권
2. 『외무성경찰사』 제42권
3. 『외무성경찰사』 제43권
4. 『외무성경찰사』 제44권
5. 『외무성경찰사』 제45권
6. 『외무성경찰사』 제46권
7. 『외무성경찰사』 제47권
8. 『외무성경찰사』 제48권
9. 『외무성경찰사』 제49권
10. 『외무성경찰사』 제50권
11. 『외무성경찰사』 제51권

부록: 프랑스 외무부 낭트문서관 소장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관련 자료 조사 ─ 전정해

별책 DVD: 일본제국 『외무성경찰사』(제41~51권) 원본 사진 자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