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내부감사학 3 실무편

내부감사학 3 실무편

  • 김용범
  • |
  • 행복에너지
  • |
  • 2022-03-01 출간
  • |
  • 728페이지
  • |
  • 190 X 255 mm
  • |
  • ISBN 9791156029694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핵심에는 기업이라는 경제주체가 있으며, 기업의 활동이 주주, 경영진, 감사 간에 서로 협력하고 견제하는 공정한 게임의 룰에 따라 정직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진다면 자본주의의 경제체제는 번영을 구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활동이 외부의 인위적 규제로 자유롭지 못하거나, 인간의 탐욕과 이에 대한 적정한 통제의 결여로 공정하고 투명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시장경제체제의 붕괴는 물론 한 기업의 계속적인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최근 대기업 및 재벌의 거액회계부정 사건과 저축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자금횡령 사건, 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투자실패 사건을 통해 우리가 절실하게 깨달은 사실은 최고경영진, 지배주주 등 기업의 경영을 지배하는 주체들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道德的 解弛(Moral Hazard)」와 이에 대한 부적절한 통제 또는 견제 장치의 부재가 해당 기업의 沒落과 더불어 시장경제시스템의 崩壞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미국 「공인부정감사인협회(ACFE)」의 2014년 보고서에 의하면 부정은 내부제보, 내부통제 및 내부감사 등 내부감사시스템에 의해 86.9%가 적발되고 있음에도, 최근 정부의 감사 제도의 개혁은 경영주체들의 도덕적 해이를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상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인 내부감사제도의 개혁보다는 부정적발에 3.0% 정도밖에 기여하지 못하는 외부감사인 제도의 선진화에 집중 노력하여 왔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현실이 하루빨리 打開되고, 내부감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사회 전체로 확산이 필요한 시점에 감독당국에서 다년간 근무하면서 지도했던 지식과 상장회사의 감사 및 대학의 교수로서 경험하고, 고민하고, 연구했던 내용을 정밀하고 자세하게 풀이해 새로이 출간하고자 하는 「내부감사학Ⅰ(이론편)」, 「내부감사학Ⅱ(법무편)」 및 「내부감사학Ⅲ(실무편)」의 3권의 책에 수록하였습니다.
아울러 이번 출간하는 3권의 「내부감사학」에서는 모든 회사에 적용되는 「상법」의 회사편 부분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IIA의 「국제내부감사기준」, 금융회사에 적용되는 「금융지배구조법」과 「금융회사 감사업무를 위한 실무지침서」, 공공기관에 적용되는 「공공 기관운영법」, 「공공감사법」, 「공공감사기준」, 그리고 주권상장법인 및 일정 규모 이상 회사에 적용되는 「신외감법」, 「회계감사기준」 등의 내부감사 관련 부분을 서로 融合시켜 내부감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Ⅲ. 내부감사학 Ⅲ(실무편)에서는 다음 사항을 强化하였다. 첫째, 내부감사 일반기준 부문
주요내용은 ① 내부감사의 독립성과 객관성, ② 내부감사의 숙달과 전문성, ③ 내부감사인의 복무수칙과 정당한 주의의무, ④ 내부감사에 대한 조정과 통제, ⑤ 내부감사의 보안과 공개 등이다.
둘째, 내부감사 조직 및 감사위험 부문
주요내용은 ① 내부감사 자원 관리, ② 내부감사 정책 및 절차, ③ 감사업무 조정 및 의존, ④ 감사위험(감사위험 구성요소, 감사위험과 감사계획) ⑤ 중요성(중요성의 기준, 중요성수준의 설정 및 적용), ⑥ 중요성과 감사위험과의 관계 등이다.
셋째, 내부감사 기초 업무 부문
주요내용은 ① 감사정보의 수집 방법, ② 정보의 분석 및 평가, ③ 내부감사의 성공요소, ④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요소,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특징, 내부감사인의 신뢰성을 추락시키는 행동,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이 되기 위한 방법,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성과 모델) 등이다.
넷째, 내부감사 업무 계획 부문
주요내용은 ① 리스크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② 감사활동 관련한 리스크 평가, ③ 내부 감사 계획의 반영할 주요 위험평가 요소, ④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고려사항, ⑤ 내부감사업 무계획의 수립 등이다.
다섯째, 내부감사 수행 업무 부문
주요내용은 ① 내부감사의 전략적 사고, ② 감사수행방법, ③ 표본감사 기법, ④ 위급상황 대응조치, ⑤ 회계감사의 종류(기중내부회계감사, 기말내부회계감사, 내부회계관리감사), ⑥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관리 업무 등이다.
여섯째, 감사증거 확보 부문
주요내용은 ① 감사증거의 수집원칙, ② 감사증거의 수집방법, ③ 감사증거의 관리방법, ④ 감사증거의 증거능력 검증, ⑤ 감사 증거능력의 보강방법, ⑥ 감사 조서/문서, ⑦ 감사결과 강평 등이다.
일곱째, 내부감사 결과 보고 부문
주요내용은 ① 감사결과보고서의 이론적 배경, ② 감사보고서의 작성 원칙, ③ 감사결과 보고서의 종류, ④ 감사결과 보고서 작성 요령, ⑤ 내부통제제도의 평가 및 보고 업무, ⑥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및 보고, ⑦ 내부감시장치의 가동현황의 평가 및 보고 등이다.
여덟째, 내부감사 품질평가 부문
주요내용은 ①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프로그램에 대한 내부평가(상시점검, 주기적 자체 평가), ②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프로그램에 대한 외부평가(외부평가의 일반 및 범위, 외부평가자의 자격), ③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 평가(직무수행실적평가의 대상, 조직 및 방법)와 ④ 동 직무수행실적평가의 활용 등이다.
아홉째, 내부회계감사 부문
주요내용은 ① 회계감사의 개요(회계감사의 대상, 감사의 회계기준), ② 회계감사의 기본(중요성 수준 결정, 회계감사의 위험, 평가위험의 대응), ③ 회계감사 절차(회계감사의 자세, 회계감사의 계획, 회계감사 수행의 기본, 회계감사 수행의 절차), ④ 회계감사결과의 보고(회계감사보고의 종류, 회계감사보고서의 의견 형성, 회계감사보고서의 내용과 형식, 회계감사보고서의 사례) 등이다.
열째, 내부진단감사 부문
주요내용은 ① 진단감사의 개요(진단감사의 절차 및 체제, 조사 및 준비단계의 절차), ② 일반부문 진단감사(마케팅부문 진단감사, 인사·조직부문 진단감사, 생산부문 진단감사), ③ 재무부문 진단 감사(재무비율분석 진단감사, 경영지표분석 진단감사, 손익분기점분석 진단감사), ④ 전략 및 경영부문 진단감사, ⑤ 진단감사 결과 보고(진단감사 체크리스트, 부문별 경영관리지표, 진단보고서 작성) 등이다.

아무쪼록 지난 저의 著書에서 부족한 부분과 監査現場에서 이슈가 된 사항을 이번 「내부 감사학」 Ⅰ, Ⅱ, Ⅲ에서는 감사현장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대폭 강화하였는바, 기업의 내부감사 종사자인 감사/감사위원, 감사보조자 등은 물론 내부감사의 정책 당국자 및 감독 당국자 그리고 이해관계자인 기업의 경영진, 지배주주, 채권자 등 내부감사 관계자 모두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내부감사는 형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질서의 유지와 조직가치의 증진 및 개선에 있다. 잘못된 것을 찾아내서 구체적으로 제재하기 보다는 ‘이건 이렇게 하는 것이다’고 지도 또는 기준을 제시해 줌으로써 모든 사람이 따라 하게 하는 것이다. 그게 비용이 적게 든다. 누군가를 위반하게 해서 제재하는 것보다, 모두 위반하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필자는 본 책자가 이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추천사]

|윤증현|
2022년 2월
(전) 기획재정부 장관
(전)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
(현) 윤경제연구소 소장

오늘날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하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경제주체 중의 하나인 기업은 그 생산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부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나라의 경제발전을 주도한다. 따라서 자본을 제공하는 주주는 물론 금융 기관, 거래기업, 경영진, 채권자, 종업원,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기업의 건전한 성장은 국가경제의 발전 및 이해관계자의 부와 직결되어 있다 하겠다.
하나의 자동차가 운송수단으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강력한 성능을 가진 엔진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엔진을 유효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동장치가 완비되어 있어야 하듯이, 기업이 많은 이익을 창출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예리한 통찰력과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경영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의 업무집행 상황을 수시로 감시하며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감시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감시기관의 핵심의 위치에 있는 중요한 존재 즉 기관이 바로 내부감사기관이다. 따라서 시장경제체제의 발전을 위하여 내부감사의 역할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아니하다. 즉,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전제로 한 자본단체인 주식회사에 있어 내부감사는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회사운영의 적법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고,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최근 대기업 및 재벌의 거액회계부정 사건과 저축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자금횡령 사건, 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투자실패 사건을 통해 우리가 절실하게 깨달은 사실은 최고경영진, 지배주주 등 기업의 경영을 지배하는 주체들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道德的 解弛(Moral Hazard)」와 이에 대한 부적절한 통제 또는 견제 장치의 부재가 해당 기업의 沒落과 더불어 시장경제시스템의 崩壞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간 대형 회계부정 사건과 거액 자금횡령 사건 그리고 거액 투자실패 사건은 기업에서 내부감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급변하는 국·내외적인 경제여건에 보다 능동적이고, 진취적이며, 다양화된 감사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경제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감사의 역할에 대한 최고경영진 및 대주주들의 인식 전환과 취약한 각종 감사제도가 合理的으로 改善되어야 한다.
미국 「공인부정감사인협회(ACFE)」 의 2014년 보고서에 의하면 부정은 내부제보, 내부통제 및 내부감사 등 내부감사시스템에 의해 86.9%가 적발되고 있음에도, 최근 당국의 감사제도의 개혁은 경영주체들의 道德的 解弛를 효과적으로 牽制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상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인 內部監査制度의 改革보다는 부정적발에 3.0% 정도밖에 기여하지 못하는 外部監査人制度의 先進化에 集中努力해 왔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현실이 하루빨리 打開되고, 내부감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사회 전체로 확산이 필요한 시점에 감독당국에서 감사업무에 대한 정책을 담당하였고, 대형 코스피와 소형 코스탁 상장회사의 감사, 감사위원 및 감사위원장 으로서 실제 감사업무를 담당했던 고위 감사 책임자였던 저자가 그간 경험과 대학의 겸임교수 시절에 심혈을 쏟아 연구한 내부감사 관련부문 내용을 集大成하여 책으로 出刊한 것은 이 분야의 先驅者이며 시기적으로도 매우 適切한 것으로 評價된다.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업의 내부감사에 대한 이론, 법무 및 실무를 연구하여 체계화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저술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책자는 내부감사학을 「내부감사학이론」, 「내부감사학법무」, 「내부감사학실무」로 구분하여 별도의 책자로 기술한 내부감사학의 精髓이자, 내부감사학의 指針書로서 우리나라의 내부감사제도 및 내부감사학문의 발전에 크게 寄與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대상도 기존 일반회사와 상장회사 중심에서 금융회사, 공공기관을 총망라하였으며, 내용 면에서도 기존 저서들에서 부족했던 ‘내부감사의 자격과 역량’, ‘4차 산업혁명의 위험성’, ‘내부감사의 법적위험’, ‘내부감사 증거확보의 적정성’, ‘외부감사인 선정 및 감독권’, ‘내부감사 위험과 중요성’ ‘감사정보의 수집 및 관리’ ‘내부감사인의 덕목과 신뢰성’, ‘내부회계감사’, ‘내부진단감사’ 등의 주제를 모두 包括하고 있어 가히 내부감사학의 叢書이자 내부감사인들에게 제시하는 하나의 里程標라 하겠다.
본 책자는 감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이론, 법무와 실무를 3권의 책을 통해 상세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함으로써 법률전문가, 회계전문가는 물론 비전문가에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기된 문제점은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양당사자 입장에서 공평하게 비평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읽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도록 하였다. 이는 저자의 오랜 감사 관련 분야에 대한 실무경험과 연구에서 우러나온 現場 感覺에 기인한바 매우 크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무쪼록 기존 저자의 저서들보다 내용면에서 대폭 강화된 이 책을 통해서 내부감사 종사자인 감사, 감사위원, 감사요원 등은 물론, 내부감사 정책 및 감독 당국자, 내부감사학 연구자 및 교수자 그리고 경영진, 지배주주, 소수주주, 채권자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 등 내부감사 관련 모든 분들은 내부감사시스템 및 내부감사학문에 대해 再點檢을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내부감사제도와 자본시장체제 그리고 내부감사학문이 더 한층 發展하는 契機가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최근 사회적으로 감사관련 문제가 되고 있는 대주주, 경영진 등의 배임·횡령 등 불법행위와 분식회계·부당배당 등 회계부정 그리고 주가조작·미공개정보 이용·부정거래·시장질서교란 등 불공정거래 등의 고질적인 우리사회의 병폐현상이 내부감사제도 및 내부감사학문의 발전으로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고, 시장경제체제가 信賴性을 回復하여, 우리 기업들이 더 한층 發展하고 順航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 문태룡 |
2022년 2월
한국감사협회 회장

최근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회계부정, 공금횡령, 투자실패 등을 통하여 우리가 절실히 깨달은 사실은 최고경영진, 지배주주 등 기업경영을 지배하는 주체들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도덕적 해이(Moral」Hazard)」와 이에 대한 부적절한 통제 또는 견제장치의 부재가 단순한 이해관계자의 손실을 넘어 해당 기업의 몰락은 물론, 나아가서 시장경제 체제의 붕괴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기업 경영 주체들의 도덕적 해이는 시장경제질서를 저해하는 큰 해악이므로 우리도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도입해 왔다. 그간 기업회계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외부감사인제도의 선진화와 경영주체들의 도덕적 해이를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 상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인 내부감사제도의 선진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뿌리 깊은 잘못된 기업경영 풍토 및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특히 지배주주 등 기업경영주체들의 내부감사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기업 내에 내부감사조직이 갖춰지지 못하거나 있더라도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 것이 엄연한 현실이고, 그 결과 감사제도의 形骸化 내지 無技能化가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최대 문제점의 하나라고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기업 현실이 하루빨리 타개되고, 내부감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사회전체로 확산이 필요한 시점에 저자가 감독당국에서 기업을 지도한 경험과 대형 코스피와 소형 코스탁 상장회사의 감사 및 감사위원, 감사위원장으로서 경험하고 고민하였던 내용은 물론 그간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내용을 집약하여 내부감사학 책으로 출간한 것은 매우 시의 적절하다.
사실 내부감사제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저술은 드물다. 본 책자는 저자의 「내부감사학 강의」를 더욱 보강하여 내부감사학을 「내부감사학이론」, 「내부감사학법무」, 「내부감사학실무」로 구분하여 별도의 책자로 기술한 내부감사학의 총서이자, 내부감사학의 바이블로서 우리나라의 내부감사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대상도 일반회사, 상장회사는 물론 금융회사, 공공기관을 총망라하였으며, 내용면에서도 기존 「내부감사학 강의」에서 미흡하였던 ‘재산수호자로서의 내부감사인’, ‘4차 산업혁명의 위험성’, ‘감사의 법적위험(모니터링, 실재감사, 감사결과처리 단계)’, ‘감사증거의 확보’, ‘내부회계감사’, ‘내부진단감사’ 등의 주제를 모두 포괄하는 가히 내부감사학의 총서이자 내부감사인에게 제시하는 하나의 이정표라고 할 수 있다.
아무쪼록 이 내부감사학 관련 3권의 책자가 우리나라 기업들의 감사, 감사위원, 감사요원 등 내부감사인들은 물론, 내부감사 정책 및 감독 당국자에서 나아가 기업 경영진, 지배주주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 이르기까지 내부감사 관련자 모두에게 유익한 길잡이이자 참고서가 될 뿐만 아니라 내부감사제도를 더 한층 발전시킬 촉매가 되리라 믿으며, 한국감사협회회원 모두를 대표하여 저자의 노고에 감사를 드린다.

|홍휘식|
2022년 2월
상장회사감사회 회장

최근 대기업 및 재벌의 거액회계부정 사건과 저축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자금횡령 사건, 은행 및 대기업의 거액투자실패 사건을 통해 우리가 절실하게 깨달은 사실은 최고경영진, 지배주주 등 기업의 경영을 지배하는 주체들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道德的 解弛(Moral Hazard)」와 이에 대한 부적절한 통제 또는 견제 장치의 부재가 해당 기업의 沒落과 더불어 시장경제 시스템의 崩壞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道德的 解弛(Moral Hazard)」 상태인 경영주체들에 대한 통제와 견제의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存在 즉 기관이 바로 내부감사이다. 따라서 시장경제의 발전을 위해 내부감사의 역할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아니하다. 즉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전제로 한 주식회사에 있어서 내부감사는 주주,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운영의 적법성 확보와 경영의 투명성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 「공인부정감사인협회(ACFE)」 의 2014년 보고서에 의하면 부정은 내부제보, 내부통제 및 내부감사 등 내부감사시스템에 의해 86.9%가 적발되고 있음에도, 최근 당국의 감사제도의 개혁은 경영주체들의 도덕적 해이를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상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인 내부감사제도의 개혁보다는 부정적발에 3.0% 정도밖에 기여하지 못하는 외부감사인제도의 선진화에 집중 노력하여 왔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현실이 하루빨리 打開되고, 내부감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사회 전체로 확산이 필요한 시점에 감독당국에서 기업을 지도한 경험과 대형 코스피와 소형 코스탁 상장회사의 감사, 감사위원 및 감사위원장으로서 경험하고 고민하였던 내용은 물론이고 그간 저자가 대학교 겸임교수 시절에 심혈을 쏟아 연구해 왔던 내용을 集約하여 내부감사학 책으로 출간한 것은 매우 시의 적절하다.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업의 내부감사에 대한 이론, 법무 및 실무를 연구하여 체계화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저술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책자는 내부감사학을 「내부감사학이론」, 「내부감사학법무」, 「내부감사학실무」로 구분하여 별도의 책자로 기술한 내부감사학의 定石이자, 내부감사학의 바이블로서 우리나라의 내부감사제도 및 내부감사학문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대상도 일반회사, 상장회사는 물론 금융회사, 공공기관을 총망라하였으며, 내용면에서도 감사이론에서 내부감사의 대상 및 범위, 내부감사의 조직 및 보조조직, 내부감사와 회계제도, 감사법무에서 감사의 권한, 의무와 책임, 감사의 법적 위험, 감사 실무에서는 내부감사의 계획, 수행 및 보고, 내부감사의 특수업무 등을 모두 포괄하는 내부감사학의 叢書이자 내부감사인 들을 인도하는 하나의 案內書라고 할 수 있다.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해서 내부감사 종사자인 감사, 감사위원, 감사요원 등은 물론, 내부감사 정책 및 감독 당국자 그리고 최고경영진, 지배주주, 채권자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유익한 案內者가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내부 감사제도 및 내부감사학문을 한층 발전시킬 促進劑가 되리라 믿으며, 상장회사감사회회원 모두를 대신하여 저자의 내부감사 발전에 대한 熱情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목차


제3편 | 감사 실무

제1장 내부감사 실무 개관 17

제1절 내부감사 일반기준 17
Ⅰ. 내부감사의 일반 17
1. 내부감사의 정의 17
2. 내부감사의 역할 18

Ⅱ. 내부감사의 헌장 18
1. 내부감사의 직무규정 18
2. 내부감사의 윤리강령 20
3. 내부감사의 복무수칙 21
4. 국제내부감사의 헌장 22

Ⅲ. 내부감사의 독립성과 객관성 23
1. 개요 23
2. 내부감사 조직의 독립성 25
3. 개별 내부감사인의 객관성 30
4. 외부로부터의 독립성 31
5. 독립성과 객관성의 손상 32
6. 비감사업무의 수행 제한 36
7. 감사정보 등에 대한 접근권 40

Ⅳ. 내부감사의 숙달과 전문성 41
1. 개요 41
2. 내부감사의 숙달 42
3. 내부감사의 전문성 43
4. 내부감사의 외부전문가 활용 46
5. 내부감사의 직무능력 개발 49

Ⅴ. 내부감사의 자격요건과 필수역량 52
1. 내부감사의 자격요건 52
2. 내부감사의 필수역량 52

Ⅵ. 내부감사의 복무수칙과 주의의무 59
1. 내부감사의 복무수칙 준수의무 59
2. 내부감사의 정당한 주의의무 61

Ⅶ. 내부감사에 대한 조정과 통제 66
1. 개요 66
2. 내부감사에 대한 조정·통제제도의 운영 67
3. 내부감사에 대한 조정·통제제도의 점검 67
4. 내부감사에 대한 조정·통제제도의 평가 68

Ⅷ. 내부감사의 보안과 공개 69
1. 개요 69
2. 감사정보의 보안 유지 69
3. 감사정보의 공개 범위 69
4. 감사정보의 공개 한계 69

Ⅸ. 내부감사 관련 법령 및 규정 70
1. 내부감사 관련 법령 71
2. 내부감사 관련 규정 71

Ⅹ. 내부감사의 종류 및 구분 72
1. 내부감사의 기능별 구분 72
2. 내부감사의 형태별 구분 72
3. 내부감사의 방법별 구분 72
4. 내부감사의 시기별 구분 72

제2절 내부감사 조직 체계 73
Ⅰ. 내부감사 조직체계 개요 73

Ⅱ. 내부감사 조직체계 내용 73
1. 감사/감사위원회 73
2. 감사보조기구 74
3. 내부통제부서 74
4. 외부감사인 75

Ⅲ. 감사조직 간 협력체제 구축 76

제3절 내부감사 조직 관리 77
Ⅰ. 내부감사 조직 형태 77
1. 감사보조기구 77
2. 감사요원의 자격 77
3. 감사요원의 인사 및 대우 78
4. 감사요원의 신분 보장 79
5. 감사요원의 행동 규범 79

Ⅱ. 내부감사 자원관리 79
1. 내부감사 자원관리의 개요 79
2. 내부감사 자원관리의 내용 80
3. 내부감사 자원관리의 고려사항 81

Ⅲ. 내부감사 정책 및 절차 82
1. 내부감사 정책 및 절차의 개요 82
2. 내부감사 정책 및 절차의 내용 82
3. 내부감사 정책 및 절차의 고려사항 83

Ⅳ. 감사업무 조정 및 의존 84
1. 감사업무 조정 및 의존의 개요 84
2. 감사업무 조정 및 의존의 내용 85
3. 감사업무 조정 및 의존의 고려사항 88

Ⅴ. 외부감사 서비스 이용 89

Ⅵ. 감사위원회 및 이사회에 보고 89
1. 개요 90
2. 도입 배경 90
3.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91

제4절 감사위험과 중요성 93
Ⅰ. 개요 94
Ⅱ. 감사위험 94
1. 감사위험의 개요 94
2. 감사위험의 구성요소 95
3. 감사위험 구성요소 간의 관계 97
4. 감사위험과 감사계획 97

Ⅲ. 중요성 103
1. 개요 103
2. 중요성 기준에 대한 판단 105
3. 일반적인 중요성의 기준 105
4. 중요성 수준의 구체적 설정 106
5. 중요성 수준의 구체적 적용 106

Ⅳ. 중요성과 감사위험의 관계 108

제2장 내부감사 기초업무 110

제1절 감사정보의 수집 및 관리 110
Ⅰ. 감사정보의 일반 110
1. 감사정보의 의의 110
2. 감사정보의 요건 110
3. 감사정보의 종류 111

Ⅱ. 감사정보의 수집방법 112
1. 관찰 112
2. 인터뷰 113
3. 서류·DB 검토 117
4. 문헌 탐색 118
5. 벤치마킹 119
6. 감사정보 수집 시 유의사항 121

Ⅲ. 감사정보의 분석 및 평가 122
1. 분석적 감사절차의 유용성 122
2. 분석적 감사절차의 주요 내용 123
3. 분석적 감사절차의 주요 수단 123
4. 분석적 감사절차의 활용시기 및 정도 124
5. 예상치 못한 감사결과에 대한 조사 및 평가 125

Ⅳ. 감사정보의 기록 및 보존 125
1. 내부감사 정보의 기록 125
2. 내부감사 수행기록의 통제 129
3. ?내부감사 수행기록의 접근허용에 대한
법률적 고려사항 130
4. 내부감사 수행기록의 보존 133

제2절 내부감사의 개인정보 이용 133
Ⅰ. 개인정보의 일반 134
1. 감사업무 수행 중에 취득한 개인정보 보호 134
2. 감사업무 수행 중에 취득한 개인정보 종류 134

Ⅱ. 개인정보의 사용 제한 134
1. 감사 중 취득한 개인정보의 목적 외 사용 금지 134
2. 개인정보 사용에 관한 모든 법률 이해 및 준수 134
3. 개인정보 접근에 대해 사전 법률고문과 협의 135

제3절 내부감사업무에 대한 감독 135
Ⅰ. 내부감사업무의 감독 개관 135
1. 감사업무 수행에 대한 적절한 감독 135
2. 감독의 적절한 증거에 대한 문서화 136

Ⅱ. 내부감사업무의 감독 내용 136
1. 내부감사최고책임자의 책임완수와 수단 136
2. 감사수행 절차 및 결과에 대한 검토 137
3. 검토과정에서 제기된 의문점의 기록 137

Ⅲ. 내부감사업무에 대한 감독범위 확장 137

제4절 내부감사의 주요 성공 요소 137
Ⅰ. 개 요 137
Ⅱ. 내부감사 성공요소의 핵심 내용 138
1. 업무수행 가치 증진과 개선에 초점 138
2. 이해관계자 관심사항 파악 및 고려 139
3. 리스크 등을 반영한 감사계획 수립 140
4. 감사계획과 경영계획과의 연계성 142
5. 리스크에 기반을 둔 내부감사 수행 142
6. 효과성 측면의 내부감사 성과 평가 144
7. IT리스크에 대한 적극적 감사 활동 145
8. 외부의 압박으로부터 공정성 유지 147
9. 「국제내부감사직무수행기준」의 활용 148
10. 내부감사 직원의 교육 및 훈련 확대 150
11. 내부감사 직원의 동기부여 및 경력관리 154
12. 감사관련 임무해태자에 대한 제재의 엄정화 156
13. 내부감사업무 수행의 이성과 감성의 융합화 156

Ⅲ. 맺는말 157

제5절 내부감사인의 덕목 및 신뢰성 157
Ⅰ. 개 요 157
Ⅱ.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요소 157
1. 내부감사인의 조건 158
2. 내부감사인의 덕목 161

Ⅲ.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특징 161
Ⅳ. 내부감사인의 신뢰성을 추락시키는 행동 162
1. 내부감사인의 금지행동 162
2. 내부감사인의 나쁜 행동 162

Ⅴ. 내부감사인의 진단감사 활동 강화 163
Ⅵ.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이 되기 위한 방법 163
Ⅶ. 신뢰받는 내부감사인의 성과 모델 164

제3장 내부감사 계획업무 165

제1절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개요 165
Ⅰ. 내부감사계획의 의의 165
1. 내부감사계획의 정의 165
2. 내부감사방침의 결정 167
Ⅱ. 내부감사 업무의 목표 168
1. 내부감사 업무목표의 의의 168
2. 내부감사 업무목표의 수립 169
3. 내부감사 업무목표의 내용 169

Ⅲ. 내부감사 업무의 범위 170
1. 내부감사 업무범위의 충분성 170
2. 내부감사 대상 업무 및 부서 170

제2절 내부감사 대상 업무에 대한 상시감시 수행 172
Ⅰ. 내부감사 대상 업무에 대한 상시감시 개요 172
Ⅱ. 내부감사 대상 업무에 대한 상시감시 수단 172
Ⅲ. ?내부감사 대상 업무에 대한
상시감시업무 수행절차 173
1. 전담감사인(RM)체제의 도입운영 173
2. 감사대상 업무에 대한 정보 수집 173
3. 감사대상 업무에 대한 정보 분석 173
4. 상시감시 결과 조치계획 및 실행 173
5. 상시감시 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 173

제3절 내부감사 계획의 반영을 위한 리스크 평가 174
Ⅰ. 감사활동 관련 경영진 평가 및 주변 정보 수집 174
1. ?내부감사인의 감사대상 활동과 관련된
경영진 평가 174
2. ?내부감사인의 감사대상 활동에 관한
주변정보 취득 174

Ⅱ. 감사활동 관련 설문조사 및 발견사항 검토 175
1. ?내부감사인의 감사대상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 175
2. ?내부감사인의 주요 발견사항에 대한 검토 및 요약 176

Ⅲ. ?내부감사인의 감사대상 활동과 관련된
리스크 평가 176
1. 리스크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176
2. 감사계획에 반영할 주요 위험평가 요소 177
3. 감사활동 관련한 리스크 평가 178

제4절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수립 및 보고 180
Ⅰ.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수립 180
1.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일반 180
2.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수립 원칙 180
3.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대상 기간 181
4.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효과 182
5.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고려사항 183
6. 내부감사 업무계획의 수립 183

Ⅱ. 내부감사 대상의 선정 187
1. 감사대상 일반적인 선정방법 187
2. Risk Based Approach에 의한 감사대상 선정방법 187
3. 감사대상 선정 시 고려할 사항 188

Ⅲ. 내부감사 업무의 수행을 위한 감사자원 배분 189
Ⅳ. 내부감사계획의 승인 및 보고 190

제4장 내부감사 수행업무 191

제1절 내부감사 수행 공통사항 191
Ⅰ. 내부감사의 일반적 사항 191
1. 내부감사 요원 191
2. 감사반/팀 운영 191
3. 감사요원 준수사항 192
4. 사고적발 책임 192
5. 내부감사 대상 193
6. 내부감사 방법 193

Ⅱ. 내부감사의 전략적 사고 194
1. 전략적 사고 개요 194
2.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 194
3. 전략적 사고가 감사에 미치는 영향 194
4. 전략적 사고의 개발 195
5.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적 사고 모델 196
6. 전략적 사고를 내부감사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 요소 197

제2절 일상 감사 198
Ⅰ. 일상감사의 정의 198
Ⅱ. 일상감사의 종류 198
1. 사전감사 198
2. 사후감사 198
3. 사후공람 198

Ⅲ. 일상감사의 대상 198
1. 사전감사 198
2. 사후감사 200
3. 사후공람 201

Ⅳ. 일상감사의 절차 201
1. 일상감사 문서접수 201
2. 일상감사 문서검토 202
3. 일상감사 주요내용 202
4. 일상감사 문서결재 202
5. 일상감사 결과통보 202
6. 일상감사 일지작성 203
7. 일상감사 사후관리 204

제3절 일반감사 204
Ⅰ. 일반감사의 정의 204
Ⅱ. 일반감사의 대상 204
Ⅲ. 일반감사의 사전준비 204
1. 일반감사 실시 품의 204
2. 일반감사 자료 징구 205
3. 일반감사 사전 검토 205

Ⅳ. 일반감사의 현장실행 206
1. 감사명령서 제시 206
2. 현장감사 착수 206
3. 감사수행 방법 207
4. 표본감사 기법 211
5. 감사실시 시간 216
6. 감사실시 협력 216
7. 현장 조사 216
8. 타 부서/타 기관 감사 216
9. 감사실시 변경 216
10. 위급상황 대응조치 217

제4절 업무감사 217

제5절 회계감사 218
Ⅰ. 회계감사의 의의 217
Ⅱ. 내부회계감사의 종류 219
1. 기중내부회계감사 219
2. 기말내부회계감사 219
3. 내부회계관리감사 219

Ⅲ. 내부회계감사의 대상 219
1. 기중내부회계감사 219
2. 기말내부회계감사 220
3. 내부회계관리감사 220

Ⅳ. 내부회계감사의 기술 220
1. 일반회계감사기술 220
2. 개별회계감사기술 221

Ⅴ. 내부회계감사의 절차 222
1. 예비조사 절차 222
2. 거래기장의 감사절차 222
3. 계정잔액의 감사절차 222
4. 결산기장의 감사절차 223

Ⅵ. 내부회계감사의 방법 223
1. 기중내부회계감사 223
2. 기말내부회계감사 223
3. 내부회계관리감사 223

제6절 기타 감사 224
Ⅰ. 서면감사 224
1. 서면감사의 정의 224
2. 서면감사의 방법 224

Ⅱ. 특별감사 224
1. 특별감사의 정의 224
2. 특별감사의 방법 225

Ⅲ. 화상감사 225
1. 화상감사의 개요 225
2. 화상감사의 개념 225
3. 화상감사의 운영 체계 225
4. 화상감사의 업무 프로세스 227
5. 화상감사의 절차 및 방법 227
6. 결어 229

Ⅳ. 진단감사 230
1. 진단감사 일반 230
2. 진단감사 수행원칙 231
3. 진단감사 수행방법 233
4. 진단감사 수행결과 보고 238
5. 진단감사에 대한 문서화 238
6. 진단감사에 대한 사후관리 239

제7절 중요회의 출석 239

Ⅰ. 중요회의의 개요 239
Ⅱ. 중요회의 출석 목적 239
1. 의사결정의 적법성 검증 239
2. 경영판단의 합리성 검증 239

Ⅲ. 중요회의 출석과 의견진술 240
1. 이사회 출석과 의견진술 240
2. 이사회에 대한 감사의 감사 241
3. 임원회의 등 출석과 의견진술 242

Ⅳ. 중요한 서류의 열람 242

제8절 감사증거의 확보 및 강평 243
Ⅰ. 감사증거의 의의 243
Ⅱ. 감사증거의 종류 244
Ⅲ. 감사증거의 수집원칙 244
1. 개요 245
2. 충분성 245
3. 적합성 245
4. 소결 246
Ⅳ. 감사증거의 수집방법 247
Ⅴ. 감사증거의 관리방법 247
Ⅵ. 감사증거의 증거능력 검증 249
Ⅶ. 감사증거능력의 보강방법 250
1. 확인서 250
2. 문답서 251
3. 질문서 253
4. 경위서 254
5. 문서 및 장표의 사본 257

Ⅷ. 감사 조서/문서 257
1. 감사 조서/문서의 개요 257
2. 감사 조서/문서의 목적 258
3. 감사 조서/문서의 기능 259
4. 감사 조서/문서의 작성시기 259
5. 감사 조서/문서의 내용/범위 259
6. 감사 조서/문서의 보안 261

Ⅸ. 감사결과 강평 261

제5장 내부감사 보고업무 262

제1절 내부감사 결과 보고의 개요 262
Ⅰ. 내부감사 결과 보고의 방법 262
1. 감사결과 보고서의 개요 262
2. 감사결과 보고서의 주요 내용 262
3. 감사결과 보고서의 작성 배경 263
4. 감사결과 보고서의 작성 원칙 264
5. 감사결과 보고서의 종류 266
6. 감사결과 보고서 작성 요령 267

Ⅱ. 내부감사 결과 지적의 구분 274
1. 문책사항 274
2. 주의촉구사항/경고사항 274
3. 변상사항 274
4. 개선사항 274
5. 시정사항 274
6. 주의사항 274
7. 현지조치사항 275
8. 권고사항 275
9. 현지지도사항 275
10. 통보사항 275

제2절 내부감사 결과 처리의 방법 275
Ⅰ. 내부감사 결과 보고 275
Ⅱ. 위법·부당 행위 처리 275
1. 위법·부당 행위자가 등기이사의 경우 276
가. 이사회 소집 및 보고
나. 주주총회 소집 및 보고
다. 유지청구권
라.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마. 회사와 이사 간의 소대표권
바. 감사보고서 기재 및 주주총회 보고
2. 위법·부당 행위자가 비등기 임원 및 직원인 경우 285

제3절 내부감사 결과 조치의 방법 285
Ⅰ. 내부감사 결과 조치기준 285
1. 제재대상자의 분류 286
2. 행위자의 판단기준 286
3. 감독자의 감면기준 287
4. 임직원의 조치기준 287
5. 제재의 양정 기준 288
6. 제재의 가중 및 감면 289
7. 형사적 고발 및 고소 289
8. 제재 조치의 효과 290

Ⅱ. 내부감사 결과 조치방법 291
1. 내부감사 결과 처분요구 291
2. 내부감사 결과 직접조치 291

제4절 내부감사 결과 의사소통 292
Ⅰ. 내부감사 결과 민감 정보의 보고 292
1. 민감 정보의 개요 292
2. 민감 정보의 보고 체계 292
3. 경영진 해태에 대한 처리 292
4. 불법 행위에 대한 처리 293
5. 민감 정보에 대한 내부감사인의 책임 293

Ⅱ. 내부감사 결과의 조직 내·외부에 전달 293
1. 내부감사 결과의 조직 내부 전달 293
2. 내부감사 결과의 조직 외부 전달 294

Ⅲ. 내부감사 결과 보고에 있어서 법률적 고려사항 296

제6장 내부감사 사후업무 297

제1절 내부감사 사후관리 297
Ⅰ. 내부감사 사후관리 의의 297
Ⅱ. 내부감사 사후관리 일반 297
1. 내부감사 사후관리 진행 297
2. 내부감사 사후관리 절차 298

Ⅲ. 지적사항 정리 및 보고 299
1. 개요 299
2. 지적사항 정리 및 보고 299
3. 지적사항 정리보고서 처리 300

Ⅳ. 장기 미정리사항 처리 300
Ⅴ. 재심청구사항 처리 301
Ⅵ. 임무해태자에 대한 제재 301

제2절 주요 사고 및 사항의 관리 302
Ⅰ. 주요 사고의 보고 및 처리 302
1. 사고의 의의 302
2. 사고보고의 대상 302
3. 사고보고의 시기 및 방법 302
4. 사고 관련자의 징계 303
5. 사고금의 정리 303
6. 사고금의 변상기준 303
7. 변상 불이행 시 조치 304
8. 퇴직직원에 대한 사고피해 처리 304
9. 사고자 고발조치 304
10. 사고 사후처리 상황보고 305

Ⅱ. 주요 사항의 보고 및 처리 305
Ⅲ. 사고예방대책의 수립·시행 306
1. 개요 306
2. 사고예방대책 수립 306
3. 자점감사 수립시행 306
4. 자점감사 실태점검 306

제7장 내부감사 특수업무 307
제1절 내부감사의 평가·보고 업무 307
Ⅰ. 내부통제제도의 평가 및 보고 307
1. 내부통제제도의 평가 개요 307
2. 내부통제제도의 평가 방법 308
3. 내부통제제도의 평가 보고 313

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및 보고 314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개요 31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방법 316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보고 322

Ⅲ.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의 평가 및 보고 324
1.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의 평가 개요 324
2. 내·외부감시장치의 구분 및 종류 324
3.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의 평가 보고 325
4. ?내부감시장치의 가동현황에 대한
평가보고서 제출 325

제2절 감사보고서 작성·제출 및 보고 업무 326
Ⅰ. 감사보고서의 개요 326
1. 감사보고서의 의의 326
2. 감사보고서의 기능 327

Ⅱ. 감사보고서의 기재사항 327
Ⅲ. 감사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 331
1. 감사보고서 작성 및 제출의 개요 331
2. 지적사항이 없는 경우 감사보고서 331
3. 지적사항이 있는 경우 감사보고서 333
4. ?감사를 위하여 필요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경우 감사보고서 338

Ⅳ. 감사보고서의 비치 및 공시 338

제3절 주주총회의 감사·보고 업무 339
Ⅰ. 개요 339
Ⅱ. 주주총회 前의 감사업무 339
1. 총회 소집절차 전에 확인할 사항 339
2. 총회 관련 주요 사항의 확인 344
3. 법정 비치서류의 비치 상황의 확인 345
4. 총회 제출 의안·서류의 조사 345
5. 외부감사인 선임 347
6. 이사회 결의로 재무제표 등의 승인 347
7. 이사회 결의에 의한 이익배당 347
8. 주주의 질문에 대한 설명준비 347
Ⅲ. 주주총회 當日 감사업무 348
1. 주주총회 출석의무 348
2. 주주총회 운영의 적법성 확인 348
가. 보통결의사항
나. 특별결의사항
다. 특수결의사항
3. 주주총회 보고사항 351
가. 제출한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 및 보고
나. 영업보고서 보고
다. 주요 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보고
라. 외부감사인 선임 내용 보고
마. 이사회 결의로 재무제표 등의 승인 보고
바.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 보고
사. 회계 및 업무에 대한 감사보고
4. 위법·부당사항에 대한 주주총회 진술의무 359
5. 주주총회 출석 및 설명 의무 359

Ⅳ. 주주총회 終了 後의 감사업무 361
1. 주주총회 의사록의 확인 361
2. 주주총회 결의사항의 이행상황 확인 362
3. 비치서류의 확인 362
4. 사업보고서에 대한 감사 362

제4절 부정·위험의 감사·조치 업무 366
Ⅰ. 이사의 중대 손해발생 위험보고에 대한
수령 및 조치 366
1. 보고 개요 366
2. 보고 의무자 366
3. 보고 사항 및 시기 366
4. 보고 위반의 효과 366
5. 보고에 대한 감사의 조치 366

Ⅱ. ?외부감사인의 부정 및 위법행위 통보에 대한
수령 및 조치 367
Ⅲ. 회계부정행위 고지자로부터 고지에 대한
수령 및 조치 367
Ⅳ. 외부감사인에 대한 부정 및 위법행위 통보 조치 367

제5절 외부감사인의 선임·관리업무 367
Ⅰ. 외부감사인의 선임업무 367
1. 외부감사인의 선임시기 367
2. 외부감사인의 일반선임 367
3. 외부감사인의 예외선임 367

Ⅱ. 외부감사인의 관리업무 367
1. 외부감사인의 보수 등 관리 368
2. 외부감사인의 보수 등 확인 368
3. 외부감사인의 선임보고 368

Ⅲ. 외부감사인의 해임업무 368
1. 「공인회계사법」 위반에 따른 외부감사인 해임 368
2. 감사인 직무상 의무위반에 따른 외부감사인 해임 368
3. 감사계약 해지나 감사인 해임에 따른
외부기관 보고 369

제8장 내부감사 평가업무 370

제1절 내부감사 품질평가 일반 370
Ⅰ.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개관 370
1.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개요 370
2.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설치 370
3.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성격 및 범위 371
4.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 371

Ⅱ.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평가의 요건 372
1. 내부감사 품질관리 프로그램 평가의 개요 372
2. 내부감사 품질관리 프로그램 모니터링 373
3. 내부감사 품질관리 프로그램 평가의 내용 373
4. 내부감사 품질관리 프로그램의 상시적 개선 373
5. 내부감사 품질관리 프로그램 평가 결과의 보고 373

제2절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 374
Ⅰ.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내부평가 374
1.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내부평가의 개요 374
2.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상시 점검 375
3.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주기적 자체평가 375

Ⅰ-2. 내부감사부서의 성과검토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 376
1. 서론 376
2. 성과측정 프로세스 수립 377
3. 중요한 성과평가 범주 확인 377
4. 성과평가 범주 전략과 측정 확인 377
5.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인 378
6. 내부감사 프로세스 378
7. 혁신 및 능력 379
8. 효과적인 성과측정 실행 및 보고 프로세스 380

Ⅰ-3. 독립적인 검증을 수반하는
내부감사의 자가평가 381
1.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자가평가의 개요 381
2. 독립적인 검증을 수반하는 내부감사
자가평가의 내용 381
3. ?독립적인 검증을 수반하는 내부감사
자가평가팀의 평가 382
4. ?독립적인 검증을 수반하는 내부감사
자가평가 보고서의 보고 382

Ⅱ.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외부평가 383
1.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의 개요 383
2.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의 일반 383
3.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의 범위 384
4.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자의 자격 384
5.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자의 독립성 385
6.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자의 객관성 386
7.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자의 전문성 386
8.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의 범위 387
9. 내부감사 품질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
외부평가 결과의 보고 387

Ⅱ-2.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실적 평가 388
1.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평가의 개요 388
2.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평가의 대상 388
3.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평가의 조직 388
4.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평가의 방법 388
5.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직무수행
실적평가의 활용 389

제3절 내부감사 품질 보증 및
개선 프로그램의 보고 390
Ⅰ. 보고의 개요 390
Ⅱ. 내부 및 외부평가의 범위 및 빈도 390
1. 내부평가 390
2. 외부평가 391

Ⅲ. 평가자 또는 평가팀의 자격과 독립성 391
Ⅳ. 평가자의 결론 391
Ⅴ. 수정조치 계획 392



제9장 내부감사 실무 관련 주요 이슈 393

제1절 질문서/문답서 작성 요령 393
Ⅰ. 개요 393
1. 작성 대상 393
2. 작성 목적 393

Ⅱ. 문답 필수항목 393
1. 행위의 동기 및 배경 393
2. 위법·부당행위의 정도 394
3. 관련자의 책임소재 395
4. 의견진술의 기회부여 등 395

Ⅲ. 문답 준비 396
1. 자료 준비 396
2. 환경 조성 397

Ⅳ. 문답 실시 398
1. 문답에 임하는 자세 398
2. 상황별 대처요령 398

Ⅴ. 문답 마무리 400

제2절 확인서 작성 요령 404
Ⅰ. 확인서의 개요 404
1. 확인서의 의의 404
2. 확인서의 용도 404

Ⅱ. 확인서 작성 과정 및 형식 405
1. 확인서의 작성 과정 405
2. 확인서의 작성 형식 405

Ⅲ. 확인서 작성 관련 의문점 406
1. 확인서 작성 의무자 406
2. 확인서 제목 표기 406
3. 확인서 사실 관계 406
4. 확인서 징구 대상자 407
5. 의견서를 첨부한 확인서의 효력 407

제3절 회계감사업무 407
Ⅰ. 회계감사의 개요 407
1. 회계감사의 의의 407
2. 회계감사의 대상 408
3. 감사의 회계기준 410

Ⅱ. 회계감사 기본 411
1. 중요성수준 결정 411
2. 회계감사의 위험 425
3. 왜곡표시의 위험 431
4. 평가위험의 대응 434
5. 재무회계의 이해 439

Ⅲ. 회계감사 절차 447
1. 회계감사의 자세 448
2. 회계감사의 계획 450
3. 내부통제의 평가 452
4. 부정위험의 평가 453
5. 회계감사 수행의 기본 453
6. 회계감사 수행의 절차 471
6-1. 회계감사의 기본적 실증절차 471
6-2. 회계감사의 계정별 실증절차 517
6-3. 회계감사 실증절차의 완료 552

Ⅳ. 회계감사 결과의 보고 587
1. 회계감사보고의 개요 587
2. 회계감사보고의 종류 589
3. 회계감사보고서의 의견 형성 590
4. 회계감사보고서의 내용과 형식 596
5. 회계감사보고서의 사례 597

제4절 진단감사업무 598
Ⅰ. 진단감사의 개요 598
1. 진단감사의 일반 598
2. 진단감사의 대상 및 종류 602
3. 진단감사의 절차 및 체제 608
4. 조사 및 준비단계의 절차 610

Ⅱ. 일반부문 진단감사 610
1. 마케팅부문 진단감사 611
2. 인사·조직부문 진단감사 616
3. 생산부문 진단감사 623

Ⅲ. 재무부문 진단감사 632
1. 재무비율 분석을 활용한 진단감사 632
2. 경영지표 분석을 활용한 진단감사 648
3. 손익분기점 분석을 활용한 진단감사 668
4. 재무부문 진단 체크리스트 674

Ⅳ. 전략부문 진단감사 678
1. 전략경영의 배경 678
2. 전략부문 진단감사 679
3. 경영부문 진단감사 690

Ⅴ. 진단감사 결과보고 692
1. 진단감사 체크리스트 692
2. 부문별 경영관리지표 698
3. 진단감사보고서 작성 70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