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Ⅰ 행정학 총론
제1장 행정의 본질 … 2
01 행정의 개념 /2 05 정부(행정)규제 /12
02 행정개념에 관한 학설 /3 06 행정지도 /24
03 정부관 : 정부의 범위에 대한 견해 /6 07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26
04 작은 정부 /10 08 행정의 변수 /28
제2장 행정과 환경 … 29
01 행정과 정치 /29 05 정부실패의 교정 방안 /42
02 행정과 경영 /31 06 행정과 시민사회 /45
03 행정과 법 /34 07 행정문화 /54
04 행정과 경제 /35
제3장 행정가치(이념) … 61
01 의의 /61 03 수단적 가치 /70
02 본질적 가치 /62 04 행정가치의 구현 /83
제4장 미국 행정학의 전개과정 … 85
제5장 행정학의 주요이론(접근방법) … 91
01 역사적 접근과 법률·제도적 접근방법 /91 10 후기행태주의 : 신행정론 /110
02 과학적 관리론 /91 11 공공선택론 /113
03 인간관계론 /93 12 신제도주의 /122
04 행태론적 접근방법 /95 13 신공공관리론 /133
05 생태론적 접근방법 /97 14 탈신공공관리론 /140
06 체제론적 접근방법 /101 15 뉴 거버넌스론 /142
07 현상학적 접근방법 /104 16 신공공서비스론 /147
08 포스트모더니티이론 /107 17 딜레마 이론 /151
09 발전행정론 /109 18 시차이론 /152
PART Ⅱ 정책학
제1장 정책학의 기초이론 … 156
01 정책학의 의의와 유형 /156 02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참여자 /168
제2장 정책의제 설정 … 185
01 의의 /185 04 정책의제설정이론 /190
02 정책의제 설정 과정 /195 05 의제설정과정 모형 /193
03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 설정 과정 /188 06 정책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195
제3장 정책분석 … 198
01 정책분석의 의의 /198 04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및 선택 /214
02 정책문제 인지·분석·정의, 정책목표의 설정 /200 05 소득분배(불평등도) 기준 /222
03 정책대안의 탐색, 개발 및 결과 예측 /205 06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약요인 /225
제4장 정책결정 … 228
01 정책결정의 의의 /228 02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229
제5장 정책집행 … 249
제6장 정책평가 … 266
01 정책평가의 의의와 유형 /266 03 정책평가의 방법 /279
02 정책평가의 논리 /273 04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285
제7장 정책변동 … 290
01 정책변동의 의의와 유형 /290 02 정책변동 모형 /293
제8장 기획 … 296
01 기획의 의의 /296 03 기획의 제약요인 /298
02 국가기획과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관한 논쟁 /298
PART Ⅲ 조직론
제1장 조직일반론 … 301
01 조직의 의의와 유형 /302 02 조직이론의 전개과정:D. Waldo의 조직이론 분류 /308
제2장 조직문화 … 317
01 조직문화의 의의 /317 02 조직문화의 접근방법: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318
제3장 조직의 목표관리 … 319
01 조직의 목표 /319 05 균형성과표(BSC) /333
02 조직목표와 달성과 효과성 평가모형 323 06 미션·비전·전략 /338
03 목표관리(MBO) /327 07 성과관리 /340
04 총체적 품질관리(TQM) /330 08 전략적 관리 /342
제4장 조직구조론 … 344
01 조직구조의 의의 /344 04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357
02 조직구조의 설계 /349 05 조직구조의 설계 모형 /364
03 조직구조의 기본변수 /353 06 조직구조의 형태 /374
제5장 조직행태론 … 401
01 개인차 /401 04 리더십 /424 07 행정 PR /441
02 인간관과 조직관리 /402 05 권 력 /436 08 갈등관리론 /442
03 동기부여 /405 06 의사전달(의사소통) /437 09 조직 내의 집단 /451
제6장 조직과 환경 … 455
01 조직환경의 의의 /455 03 임의론적 관점 /463
02 환경결정론적 관점 /457 04 제도주의 /465
제7장 조직발전 … 466
01 의의 /466 03 조직발전의 특징 /468 05 조직혁신 /469
02 조직발전의 기법 유형 /467 04 적용상 문제점 /468 06 다양한 모형들 /471
제8장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 473
01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473 03 정보화에 의한 새로운 조직 형태 /476
02 혼돈이론 /474 04 지식 패러다임의 등장 /479
PART Ⅳ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 … 484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 486
01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486 02 인사행정 담당기관 /499
제3장 공직구조의 형성 … 503
01 공직구조 형성의 원칙 /503 02 직위 분류의 방법 /508
제4장 임용 … 524
01 외부임용(신규채용) /524 03 내부임용 /538
02 한국 공무원의 구분 /531
제5장 능력발전 … 548
01 경력개발 /548 03 공무원 평정제도 /555
02 교육훈련 /549
제6장 동기부여 … 571
제7장 평가·환류 : 규범과 통제 … 586
01 공무원의 충성 /586 03 공무원단체 /588
0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586 04 신분 보장과 신분의 제약 /595
PART Ⅴ 재무행정론
제1장 예산의 본질 … 604
01 예산의 의의 /604 03 재정 관계 조직 /616
02 재정과 법률 /611
제2장 예산의 원칙 … 619
제3장 예산의 종류 … 625
01 세입·세출의 성질에 따른 유형 : 일반회계, 특별회계 /625 04 예산 불성립시 예산집행을 위한 장치 /634
02 기금 /628 05 재정정책을 위한 예산제도 /636
03 예산의 성립 시기별 분류 /632
제4장 예산 내용의 분류 … 645
01 예산 분류의 의의 /645 04 품목별 분류(지출 대상별 분류) /647
02 기능별 분류 /645 05 경제 성질별 분류 /655
03 조직별(소관별) 분류 /646 06 우리나라 예산의 과목구조 /649
제5장 예산결정이론 … 650
01 합리적 분석에 의한 과정 : 총체주의 혹은 합리모형 /651 03 기획과 예산 /654
02 정치적 과정에 의한 결정 : 점증주의 혹은 점증모형 /668 04 예산결정과 이론 /655
제6장 예산 과정 … 659
01 예산 주기 /659 03 예산 심의 /665 05 결 산 /679
02 예산 편성 /659 04 예산 집행 /668 06 회계검사 /682
제7장 예산 및 회계제도의 개혁 … 687
01 정부회계제도의 개혁 /687 03 결과 지향적 예산개혁·신성과주의 예산
02 전통적인 예산제도 개혁 /693 : 성과주의예산의 부활 /711
제8장 재정혁신과 시민참여 … 717
01 중앙예산부서의 사업예산관리 혁신 /717 02 예산과 시민 /722
제9장 조달행정과 정부계약 … 725
PART Ⅵ 공공서비스
제1장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 730
01 공공서비스의 의의 /730 03 공공서비스의 유형 /734
02 공공서비스 공급의 가치 지향 변화 /730
제2장 공공서비스의 공급방식 … 734
01 Savas의 공공서비스공급유형 /734 04 민관협력공급 /745
02 정부에 의한 서비스 공급 방식 /735 05 사회적 기업 /746
03 민간에 의한 서비스 공급 /739 06 공공서비스 성과평가 /748
제3장 공공재의 과소공급설과 과다공급설 … 749
01 과소공급설 /749 02 과다공급설 /750
PART Ⅶ 행정윤리와 행정통제
제1장 행정윤리 … 754
01 행정윤리의 의의 /754 03 신뢰적자의 문제 /775
02 행정권의 오용 /774 04 공무원 부패의 접근방법과 유형 /776
제2장 행정통제 … 780
01 행정통제의 유형 구분 /780 03 내부통제 /786
02 외부통제 /783 04 행정통제력 향상 방안 /789
제3장 행정책임 … 792
01 의의 /792 03 적극행정과 면책제도 /796
02 행정책임의 유형 /792
제4장 행정개혁 … 797
01 행정개혁의 의의 /797 04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과 극복방안 /801
02 행정개혁의 촉진 요인 /798 05 주요 국가의 행정개혁 내용 /804
03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798
PART Ⅷ 전자정부론
제1장 전자정부론의 기초이론 … 808
제2장 전자정부 … 811
01 전자정부의 의의 /811 04 전자정부의 추진전략 /815
02 전자정부의 목표 /813 05 전자정부법 /821
03 전자정부의 발전 단계 /814
제3장 정보행정과 정보행정 서비스 … 824
01 정보화정책의 추진 /824 05 보편적 정보서비스정책 /836
02 행정 업무의 전자적 처리 /825 06 다양한 개념들 /837
03 전자정부와 유비쿼터스 정부(U-Government) /833 07 4차 산업 혁명 /838
04 빅데이터 /835 08 데이터기반 행정 /839
PART Ⅸ 지방자치론
제1장 지방자치의 기초 … 842
01 지방행정의 의의 /842 03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846
02 지방자치의 의의 /843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구조와 구역 … 848
0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848 03 지방자치단체 구역 /853
02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850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 855
01 주민의 의의 /855 02 주민참여 /855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 868
01 지방자치권 /868 03 기능(사무)배분 /877
02 지방사무 /873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883
0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883 03 집행기관 /890
02 지방의회 /886
제6장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 … 898
01 정부 간 관계 /898 04 광역행정 /906
02 정부 간 갈등 및 분쟁조정 /900 05 특별지방행정기관(일선기관) /913
03 중앙통제 /902
제7장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 … 915
01 지방재정의 의의와 기능 /915 05 지방채 /920
02 지방세입의 기본 구조 /916 06 지방재정조정제도(의존재원) /922
03 지방세(자주재원) /916 07 지방재정관리 /928
04 세외수입(자주재원) /919 08 지방공기업 /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