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음을 훔치는 것은 무엇일까. 가장 믿음직한 도둑은 책이요, 가장 좋은 중독은 독서 중독이 아닐까.”
○ 소설가 19인 : 이문열, 김원일, 한승원, 조성기, 이승우, 박범신, 성석제, 박상우, 정영문, 방현석, 심상대, 권여선, 권지예, 정이현, 정미경, 조경란, 하성란, 편혜영, 강영숙.
『내 마음을 훔친 명작』은 국내 대표 소설가 19인을 인터뷰한 책이다. 한 편의 소설에는 작가의 살아왔던 것에 대한 통찰, 살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분별, 살아보지 않은 것에 대한 지각들이 별처럼 빛을 내며 속닥속닥 전하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사건, 배경을 두고 독자들은 각각 다른 시각에서 보기도 하고, 등장인물의 행동을 옹호하거나 옹호하지 못하여 갑론을박을 하기도 하고, 각각의 행동과 시대적 배경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 분석한 비판도 쏟아낸다. 그 과정에서 독자들은 자기 내면의 존재를 살피고 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통찰한다.
저자 이재은은 숭실대 문창과를 대학원까지 6년을 다녔다. 수필을 쓰다, 시를 쓰다, 소설이 너무 쓰고 싶어 뒤늦게 문창과를 들어갔다. 글을 쓰기 위한 다양한 훈련 중에 기성작가 작품을 읽고 분석하는 수업이 적성에 맞고, 국내 대표문학상을 받은 작품을 읽고 서평을 쓰고 그룹별로 앉아 토론을 하면서 단편소설 한 편을 놓고도 다양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대표문학상을 받은 작품을 읽고 토론하며 실력있는 작가들을 만나고 싶었다. 그들의 소설을 읽다가 마음을 훔친 문장을 만났다. 그 문장을 써야만 했던 소설가의 생각을 듣고 싶었다. 작가들은 그 작품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어떤 감정을 투영하고 싶었을까. 세상에 어떤 주제를 전하고 싶었을까. 자신의 고뇌와 아픔을 전하고 싶었을까, 아니면 타인의 이야기를 자신의 감정적 투영 없이 그냥 풀어놓고 싶었을까. 독자들과 언론, 평론가들의 비평을 또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그가 구상하는 작품 세계는 무엇일까. 다시 어떤 작품을 위해 몰두하고 있을까. 평범하지 않을 그들의 생각과 세계가 궁금했다.
열심히 소설 탐구를 했던 탓인지 저자에게 그분들과 인터뷰를 할 기회가 주어졌다. 저자는 꿈을 꾸듯 19명의 소설가를 만났다. 한 분 한 분 소설 속에서나 존재할 법한 소설가를 만나 책 이야기를 듣는 자체로도 획기적이었다. 저마다 다른 꽃이 저마다 다른 멋과 향기가 풍겨 나오듯 소설가들의 모습도 그러했다. 초록 꽃의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 분홍 꽃의 러블리하고 따스한 느낌, 감사와 배려를 느끼는 노란꽃, 빨간꽃의 열정과 냉정, 마치 꽃들의 합창처럼 저자는 그분들을 만날 때마다 색다른 특색을 경험했다. 은하철도를 타고 우주정거장을 날며 그 별나라의 비밀을 알지 않고는 못 배길 소중한 말들을 들었다. 역시 소설 읽기에서 얻은 쾌락은 소설가의 생각을 알고 난 후에야 더 커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소설가의 이야기들은 저마다 다른 별빛과 같았다.
이 책을 읽으며 독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우주정거장에 들르는 맛도 있을 것이다. 19명 그들이 사는 별자리에는 다양한 사건과 사연이 숨어 있다. 우리의 내면이 그 사건, 그 사연 어느 지점을 관통하여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는 기적이 생겼으면 좋겠다. 삶의 깊은 이해가 필요한 독자들에게 명철한 조언과 해답을 주는 책이 될 것이다.
모든 통증은 신호를 보낸다. 그만 아프고 낫게 해달라고, 낫고 싶다고, 그럴 때마다 사람은 알약을 먹거나 간접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한다. 소설에도 치유와 치료가 있다. 그러자면 책을 읽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지만, 백일기도를 하듯 그것도 ‘정성’이기 때문이다. 소설가의 이야기가 자신의 이야기처럼 전해오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으로 통증이 가라앉는 느낌이 든다면 당신은 알약보다 강한 처방전을 알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책장을 천천히 넘기면서 읽어야 한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설가의 어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주옥같은 문장을 글로 썼던 것만큼, 주옥같은 말이 촘촘하게 수놓아져 있다. 구도자적인 자세로 살아가는 소설가지만 인간적인 모습도 들여다볼 수 있다. 그들이 사는 곳, 글쓰기 외에 하는 일, 평범하지 못한 가족사에서 연예사도 담겨 있다. 독자로서 궁금했던 작가의 사적인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그러면서 이 시대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정신적인 힘이 되어 줄 심리학적인 즐거움도 안겨줄 것이다.
글쓰기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꼭 읽어봐야 할 소설가의 철학적인 사유가 담겨 있다.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삶의 조언은 필수로 실려 있다. 햇살 좋은 날 좋아하는 소설가를 카페에서 만난듯한 기쁜 해후가 될 것이다.
현대인으로 산다는 것은 무수히 많은 것에 마음을 뺏기고 산다. 티비 채널은 수십 개이고 스마트폰은 하루 종일 들고 있어도 지루하지 않다. 가장 심각한 마음 뺏김은 중독이다. 게임중독 도박중독 알콜이나 약물중독은 고치기가 힘든 불치병이다. 마음을 빼앗겨서 나쁘지 않다면 그건 당연히 독서다. 자녀와 자신이 독서에 중독된다면 얼마나 괜찮은 일일까. 『내 마음을 훔친 명작』으로 몸과 마음, 영혼까지 성숙하게 하는 책읽기에 빠져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