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표준 응급의학(4판)

표준 응급의학(4판) 4판

  • 일본 응급의학회
  • |
  • 가본의학
  • |
  • 2011-04-20 출간
  • |
  • 692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9200687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55,000원

즉시할인가

49,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9,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목차

1 응급의학과 응급의료
A. 응급의학의 개념
1. 응급의학의 중요성
2. 응급의학이란 무엇인가
3. 응급의학 교육과 진단·치료의 표준화
4. 응급의학과 병원전 구호
5. 응급의학과 응급의
B. 응급 의료 시스템
1. 병원전 구호시스템
2. 응급진료 시스템
3. 응급의료 정보 시스템

2 응급의료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법적인 문제
1. 진료의 의무
2. 비밀을 지킬 의무
3. 진료기록부(chart) 기재의 의무
4. 진단서를 교부할 의무
5. 사망 진단서와 사체검안서
6. 이상사체의 신고 (의사법21조)
7. 검시와 검안
8. 설명의 의무와 동의서
9. 각종 신고의 의무
10. 의료 분쟁
11. 사망판정과 뇌사
12. 장기 이식에 관한 법률
13. 검체의 제출
14. 신원 불명의 응급 환자

3 스트레스와 생체 반응
A. 스트레스의 종류와 생체의 반응
1. 관찰에 근거한 스트레스와 생체 반응의 이해
2. 분자생물학에 의한 생체 반응의 분류
3. 스트레스의 종류와 치료 전략
B. 스트레스에 의한 생체 반응
1. 스트레스에 의한 생체 반응의 역사
2.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내분비계의 변화
3. 대사의 변화
4. 체액의 변화
5. 사이토카인의 변화
6. 「스트레스와 생체 반응」 이론을 응용한 프레임
C. 스트레스에 의한 중요 장기 기능의 변화
1. 면역계
2. 혈관 내피·응고 섬유소 용해계
3. 호흡기능

4응급 진단
A. 응급 진단의 목적과 특수성
1. 응급 환자의 특징
2. 응급 환자 진찰·진단의 기본
3. 활력징후의 체크
4. 긴급도·중증도의 판단
5. 환자의 분류(triage)
B. 응급 진단의 우선 순위와 순서
1. 응급 진단의 우선 순위
2. 응급 진단의 순서
C. 응급 검사의 방법과 평가
1. 응급 검사의 의의
2. 혈액형 판정, 교차 적합 시험
3. 동맥혈 가스 분석
4. 전해질 측정
5. 혈액 및 뇨의 일반 검사
6. 응급 내시경 검사
7. 생리기능 검사

5 응급 영상진단과 치료에의 응용
A. 응급 영상진단
1. 영상진단법의 발전
2. 각 영상 진단법의 특성
3. 각 질환계에 있어서의 영상 진단의 선택
B. 치료에의 응용
1. IVR의 정의
2. 응급 IVR

6 응급처치
A. 기도 확보
1.기도
2 기도 폐색의 원인
3 기도 폐색의 징후
4 기도 확보의 방법
B. 정맥로의 확보
C. 중심 정맥 카테터의 삽입
1.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2.중심 정맥압(CVP) 측정
D. 동맥 삽관술 (cannulation)
E. 위관·위세척
l. 위관의 삽입 위치
2. 위세정
F. Sengstaken-Blakemore 관, 장폐색관의 삽입
1. Sengstaken-Blakemore 관 (S-B튜브)
2. 장폐색관의 삽입
G. 요도 유치 카테터 (Foley catheter) 삽입
H. 심낭천자·배액술
I. 흉강천자·흉강 배액술
J. 복막천자, 복막 세정
1. 복막 천자
2. 복막 세정법
K. 요추 천자 (척수액 검사)
L. 방광 천자·방광루 조성술
M. 지혈, 소절개, 배농, 봉합
1. 지혈
2. 소절개
3. 배농
4. 봉합
N. 괴사 조직 제거술 (D?ridement)
O. 골절의 견인요법

7 심폐 소생법
A. 용어에 대하여
B. 기도 확보
C. 인공 호흡
D. 흉골 압박
E. 전기적 제세동, 응급 심장 조율(pacing) 응급 전흉부 타격
F. CPA (뇌소생도 포함)
G. 2차 구명 처치시 필요한 약제와 사용법
H. 2차 구명 처치의 순서
I. 예후

8 응급의약품
A.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제
l. 순환기계란
2. 심혈관계 작용 약제
3. 항부정맥제
B.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제
1. 진정·수면제
2. 진통제
3. 항경련제
C. 그 외의 약제
1. 이뇨제
2. 알칼리화제
3. 기관지 확장제
4. 항응고제·혈전 용해제·항혈소판제
5. 단백 분해 효소 저해제·그 외
6. 근이완제
7. 고칼륨혈증 치료제

9 수액·수혈
A. 수액
1. 수액의 목적
2. 수액 요법의 지침
3. 체액 구분과 수액제
4. 수액 계획
B. 수혈
1. 전혈 수혈
2. 성분 수혈
3. 대량 수혈
4. 수혈의 부작용·합병증

10 쇼크
A. 쇼크의 개념
1. 쇼크의 개념의 시대적 변천
2. 쇼크의 정의
B. 쇼크의 분류와 원인
1. 순환 장애의 발생 요인에 의한 쇼크의 분류
2. 그 외의 쇼크의 분류
C. 쇼크의 병태
1. 순환 동태
2. 호흡기계(혈액 가스)의 변화
3. 신경내분비계와 대사의 변화
D. 임상 증상과 진단
1. 증상
2. 진단
E. 쇼크의 치료
1. 쇼크 치료의 기본
2. 응급 처치
3. 순환 모니터와 임상 검사
4. 각종 쇼크의 치료
F. 쇼크 이탈 후의 합병증
1.장기 장애의 발생 기전
2. 쇼크 후 다장기 부전 대책

11 중증 응급질환의 병태
A. 급성 호흡부전
1.정의
2 .호흡 생리
3. 급성 호흡부전의 병태 생리
4. 병태 생리로 본 급성 호흡부전의 치료 방침
5.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와
ALI(급성 폐손상, 급성 폐장애)
B. 급성 심부전
1. 정의
2. 정상적인 심장 펌프 기능
3. 급성 심부전의 분류
4. 급성 심부전의 원인과 악화 인자
5. 급성 심부전의 진단
6. 치료 방침과 치료 수단
7. 급성 심부전 치료의 순서도
C. 급성 신부전
1 정의
2. 분류
3. 임상 경과
4. 소변량 감소시의 감별 진단
5. 급성 신부전의 진단
6. 치료 방침
D. 급성 간부전
1. 정의
2. 원인
3. 진단 기준
4. 임상 소견
5. 검사
6. 치료 방침
E. 파종성 혈관내 응고 증후군
1. 개념
2. 병태 생리
3. 기초 질환과 분류
4. 증상과 검사 소견
5. 진단
6 .치료
F. 다장기 부전
1. 개념·정의
2. 원인 질환과 발생 기전
3. 중증도 평가
4. 치료
5. 향후의 전망

12 중증 응급 환자 관리
A. 순환 관리
l. 모니터링과 평가
2. 관리 방침
3. 출혈 시의 관리
4. 순환 관리에 필요한 기계 보조
B. 호흡 관리
1. 산소 요법
2. 그 외의 호흡 관리
3. 인공 호흡법
C. 의식 장애 환자의 관리
1. 의식 장애의 정의와 판정 방법
2. 특수한 의식 장애
3. 의식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
4. 초기 관리의 순서
5. 입원 후의 관리
D. 체액 관리
1. 체액량 이상의 평가와 보정
2. 전해질 이상의 평가와 보정
3. 신장 기능의 평가와 급성 신부전 대책
4. 산염기평형 이상의 평가와 교정
E. 혈액 정화
1. 혈액 정화란
2. 혈액 정화법의 종류
3. 급성 혈액 정화법의 적응 질환
4. 각종 혈액 정화법
5. 혈액 정화에 필요한 vascular access와 항응고제
6. 혈액 정화 요법 중의 관찰
F. 혈액 응고·섬유소 용해의 관리
1. 응고·섬유소 용해의 평가
2. 응고·섬유소 용해에 관련된 분자 표지자
G. 영양 관리
1. 영양 물질의 대사
2. 영양 요법

13 응급 일차 치료
A. 발열
B. 의식 장애
C. 두통
D. 현기증
E. 경련
F. 실신
G. 심계항진, 부정맥
H. 호흡 곤란, 천명
J. 복통
K. 구토, 설사
L. 객혈, 토하혈
M. 빈뇨, 무뇨, 요정체
N. 이물
O. 자교창 (자상, 교상)
P. 귀의 통증
Q. 눈의 통증

14 감염증
A. 응급 의료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감염증
1. 응급 영역에서의 감염증의 특성
2. 감염증의 증상과 감별 진단
3. 응급 영역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감염증
4. 주목해야 할 감염증
B. 감염 대책
1. 응급 의료에 있어서의 감염 방어 대책
2. 직무 감염과 감염 대책
3. 바이오 테러리즘과 감염 대책
C. 특수 감염증
1. 가스괴저
2. 파상풍

15 패혈증
1. 정의
2. 발생기전
3. 생리적 및 대사적 반응
4. 병태
5. 치료
6. Surviving sepsis campaign

16 외상
A. 외상 총론
1. 외상의 발생 기전
2. 외상역학
3. 외상의 병태
4. 외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
5. 환자의 분류(triage), 중등도 분류
B. 초기 진료
1.외상 환자에 대한 초기 진료의 기본
2. 초기 진료의 이론
3. 초기 진료의 구체적인 순서
C. 두부 외상
1. 기본 해부
2. 병태 생리
3. 두부 외상의 분류
4. 중증도 두부 외상의 초기 진료
5. 중등도 두부 외상의 초기 진료
6. 경증 두부 외상의 초기 진료
D. 안면 경부 외상
1. 안면 경부의 해부학적 특징
2. 안면 외상
3. 경부 외상
E. 흉부 외상
1. 흉부 외상 총론
2. 병태 생리
3. 증상·징후와 진단
4. 치료
5. 흉부 외상 각론
F.복부 외상
1. 복부 외상 총론
2. 복부 외상 각론
G.골반 외상
1. 골반·관골구 골절
H. 사지·척추 외상
1. 사지 외상
2. 척추·척수 손상
I. 다발성 외상
1. 정의
2. 다발성 외상의 특징과 병태 생리
3. 수상 기전 4.증상
5. 진단 6.치료
7. 중증도의 평가
8. 예후
J. 데미지 컨트롤
1. 외상사의 3징후
2. 적응 3. 데미지 컨트롤의 실제
4. 합병증
K. 광범위좌손상처
1. degloving injury
2. crush syndrome
3. compartment syndrome
4. reperfusion syndrome
5. 특수 합병증

17 화상, 화학 손상, 전기 손상
A. 화상
1. 열이 생체에게 주는 영향
2. 수상 후 24시간까지의 병태와 응급진료
a. 화상 환자 진료 전의 준비
b. 진료 시작와 중증도 판정
c.국소 관리
d.전신 관리
3. 수상 1주 이후의 병태와 진료
B. 화학 손상
1.화학 손상의 병태 생리
2. 급성기의 진료
C. 전기 손상
1. 전기 손상의 병태 생리
2.급성기의 진료

18 급성 중독
A. 급성 중독 환자의 발생 빈도와 원인 물질
1. 발생 빈도
2. 중독 원인 물질과 중증도
B. 진단
C. 독극물의 체내 분포
D. 치료
1. 미흡수 독물의 제거
2. 흡수된 독물의 제거
E. 각각의 급성 중독에 대해
1. 일산화 탄소 중독 (CO 중독)
2. 의약품 중독
3. 농약 중독
4. 가정용품 중독
5. 공업용품 중독
6. 자연독
7. 끝으로

19 환경 이상, 익수, 질식, 그 외
A. 열사병
1. 일사병
2. 열경련
3.열피로
4.열사병
B. 우발성 저체온
1. 병태
2. 항장
3. 진단
4. 치료
C. 동상
1. 병태 2. 상태 3. 진단 4. 치료
D. 급성 방사선 장애
1. 병태
2. 증상
3. 진단
4. 치료
E. 감압병
1. 병태
2. 병형과 증상 3. 진단 4. 치료
5. 예후
F. 질식
1. 병태와 원인 2. 경부 압박에 의한 질식
3. 치료·예후
G. 익수
1. 병태 2. 진단
3. 치료
H. 고산병
1. 고소순화 (acclimatization)
2. 고산병의 병형과 증상
3. 치료
I. 산소결핍증
1. 발생 원인
2. 병태와 증상 3. 진단과 치료
J. 피학대아 증후군과 가정내 폭력
1. 피학대아 증후군
2. 가정내 폭력 (domestic violence ; DV)

20 근중추 신경계 응급 질환
A. 뇌혈관 장애
1. 뇌경색
2. 뇌내 출혈
3. 지주막하 출혈
B. 중추 신경계 감염증
1. 화농성 수막염
2. 바이러스성 수막염·바이러스성 뇌염
3. 급성뇌앙
4. 패혈증성 뇌증
5. 전염성 해면상 면상뇌증
6. 뇌농장
7. 경막하 농양
8. 경막외 농양
9. 뇌결핵종
10. 화농성 척추염
11. 척수경막외 농양
12. Guillain-Barr?증후군
13. 급성 산재성 뇌척수염
C. 경련
1. 개념과 병태 생리
2. 원인 질환
3. 분류(국제 가이드라인)
4. 진단과 원인검색
5. 치료와 경련 지속상태의 치료 가이드라인
D. 열성 경련
1 개념 2.대응과 예후

21 심혈관계 응급 질환
A.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1. 병태
2. 발생 기전
3. 분류
4. 급성기 진단
5. 급성기 치료
6. 예후
B. 심부전
1. 심부전의 병태 2. 만성 심부전
3. 급성 심부전 4. 급성 심부전의 진단
5. 급성 심부전의 치료
C. 치명적 부정맥
1. 치명적 부정맥의 원인
2. 임상적 심장정지
3. 즉시 처치를 필요로 하는 빈맥성 부정맥
4. 즉시 처치를 필요로 하는 서맥성 부정맥
5. 심실세동(VF)을 일으키기 쉬운 부정맥
D.급성 동맥혈전색전증
1. 사지의 급성 동맥혈전색전증
2. 상장간막 동맥폐색증
E. 가슴·복부 대동맥 응급 질환
1. 대동맥통파열
2. 급성 대동맥 박리
F. 고혈압 긴급증

22 호흡기계 응급 질환
A. 기관지 천식 (천식지속상태)
B. 폐렴
C. 연하성 폐렴
1. 흡인성 폐렴
2. Mendelson 증후군
D.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의 급성 악화
E. 이산화탄소 혼수
F. 폐부종
1. 병태 생리
2. 진단
G. 폐혈전색전증
1. 병태 생리
2. 증상, 신체 소견 3. 진단
4. 치료
H. 기흉
1. 분류 2. 진단
3. 감별 진단 4. 치료
I. 무기폐
1. 원인 2. 진단
3. 치료

23 소화기계 응급 질환
A. 급성 복통
1. 급성 복통을 주소로 하는 질환
2. 복통의 종류와 발생기전
3. 분류
4. 복통 진단의 포인트
5. 급성 복통을 초래하는 주된 질환
6. 치료 방침
B. 소화관 출혈
1. 소화관 출혈의 병태와 초기 대응
2. 소화관 출혈을 초래하는 질환과 치료

24 그 외의 각과 응급
A. 신장 비뇨기계 응급 질환
1. 혈뇨
2. 통증 (요로 결석)
3. 요정체
4.급성 음낭증
5. 요로 감염
6. 요로 성기 외상
B. 부인과계 응급 질환
1. 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하는 질환
2. 대량 성기 출혈을 주소로 하는 질환
C. 산과계 응급 질환
1. 유산 2. 자궁외임신
3. 임신 중기부터 분만 시에 걸친 산모의 응급 질환
4. 산과 쇼크와 DIC의 치료
D. 소아과계 응급 질환
1. 소아의 특징 - 성인과의 차이점·해부와 생리
2. 소아의 심폐 소생
3. 응급 질환 각론
E. 대사 내분비계 응급 질환
1. 당뇨병의 고혈당 위기
2. 저혈당증
3. 티아민(비타민 B1) 결핍증
4. 급성 부신부전
5. 갑상선 발작 (thyroid crisis)
6. 점액부종성 혼수
7. 고칼슘혈증 위기
F. 정신과 응급 질환
1. 초기치료단계에서
정신증상을 진단하는 방법
2. 발관 각성 후의 정신 증상
3.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신과 관련 신체질환과 그 증상
4. 전문적 개입과 응급의에 요구되는 작업
5. 구명 정신 의료에 있어서의 법적 문제

25 뇌사
A. 정의
B. 뇌사와 지연성 식물상태
C. 뇌장애로부터 뇌사에 이르는 경과
1. 전기 생리학적 검사법
2. 뇌순환에 관한 검사법
3. 뇌대사에 관한 검사
D. 판정 기준
1. 뇌사 진단과 뇌사 판정 기준의 관계
2. 일반 진료와 판정 기준의 사용
3. 판정방법
E. 척수 반응
F. 뇌사의 발생과 이식 의료
G. 뇌사에 관한 법적 문제
1. 법의 해석과 문제점
2. 뇌사 판정에 관련하는 설명과 법적 문제

26 재해 의료
A. 재해 의료의 개념과 대책
1. 집단 재해의 정의와 분류
2. 인위 재해
3. 자연재해
4. 재해 의료에 관한 법규(재해 대책 기본법 등)와 방재 계획
5. 재해 의료 체제
6. 재해 거점 병원
7. 광역 재해·응급의료 정보시스템
8. 재해 특별 구조대
B. 재해 의료의 실제
1. 일본과 세계의 재해
2. 정보의 중요성
3. 재해 의료와 재해의 규모
4. 재해 구호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5. 환자분류
6. 처치 7. 이송
8. 재해 거점 병원
9. 재해 파견 의료 팀
10. 국제 구조 조직
11. 국제 긴급 지원대
12. 특수한 재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