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란
■손해평가사 자격시험제도 도입 배경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농어업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농어민의 소득안정을 위한 농어업재해보험의 중요성과 필요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이로 인해 신속하고 공정한 손해평가 제도를 운영하여 농어민을 보호하고자 하는 재해보험을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손해평가인력의 양성 및 자격제도가?도입되었습니다.?2015년 첫 시행된 손해평가사 자격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손해액산정과 보험금지급을 위하여 전문적인 손해평가를 수행하는 자를 양성하고, 농업재해보험에 적용되는 작물 종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앞으로 전문인 수요가 증가할 것에 따라 국가전문자격으로 신설되었습니다.
■손해평가사의 전망농업의 재해보험 선택 대상품목이 전에 비해 품목수가 확대됨에 따라 보험가입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중이며, 전보다 더 많은 농어업인구들의 재해 피해보상이 개선되었다. 그에 따라 보험 필요성에 대한 인식들이 점차 바뀌게 되면서 가입농어민 수가 증가했고 정부의 지원 규모도 증가 추세이다. 농업재해로 인한 피해평가는 손해평가인의 전문적인 견해에 따른 공정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게 되어 전문성을 갖춘 손해평가사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농업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7~8월에는 집중적으로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분야가 상승하는 시기이며 그에 따라 높은 소득을 기대해볼 수 있다.
■자격시험 개요
▶자격명: 손해평가사
▶자격구분: 국가공인
▶관련부처: 농림축산식품부(재해보험정책과)
▶운용기관 : 농업정책보험금융원
▶근거법령 : 농어업재해보험법
▶시험시행기관:?한국산업인력공단
■손해평가사 주요수행직무
▶피해사실의 확인
▶보험가액 및 손해액의 평가 그 밖의 손해평가에 필요한 사항
▶자연재해, 병충해, 화재 등 농업재해로 인한 보험금 지급사유 발생 시
신속하고 공정하게 그 피해사실을 확인하고 손해액을 평가하는 일을 수행
▶ 보험분쟁 해결을 위한 소송진행 및 관리
■손해평가사의 진로
-농협·금융회사 -보험회사 -농산물생산관련단체, 조합 등
-농산물 지자체 환경농산물 관리 -농협·농산물 품질개발업체
-농산물 브랜드 개발업체 및 연구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