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

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

  • 배종우
  • |
  • 신흥메드싸이언스
  • |
  • 2012-09-10 출간
  • |
  • 468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6498026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58,000원

즉시할인가

55,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5,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Part 1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의 역학
1장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1-1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4

2장 한국의 출생통계
2-1 출생통계(1981~2010) 14
2-2 15년간 산모 및 신생아 관련 통계 지표의 변화(1995~2010) 28
2-3 출생통계의 변화 추이(1970~2010) 37
2-4 출생아의 임신나이, 출생체중별 분포와 미숙아,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3~2010) 47
2-5 과체중아(거대아)의 출생통계(1993~2000) 52
2-6 출산 산모나이 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5~2010) 62
2-7 다태아의 빈도 및 주산기 관련 사항(1991~2010) 69
2-8 삼태아의 출생통계(1998~2007) 77
2-9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에 의한 출산과 다태아(1996~2007) 80
2-10 저체중출생아와 이에 관계된 인자의 변화양상(1995~2007) 88

3장 한국의 영아, 신생아, 주산기사망률
3-1 신생아, 영아사망률 변화 추이: 일본, 미국, OECD 국가와의 비교(1921~2010) 92
3-2 주산기사망률 및 OECD 국가와 비교(1959~2010) 104
3-3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사망률의 비율 관찰(2005~2010) 116

4장 한국의 신생아, 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4-1 저체중출생아, 극소체중출생아, 초미숙아의 생존율(1960s~2009)과 미국, 일본과의 비교 126
4-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의 생존율 분석(2009) 135
4-3 영아사망의 출생 자료 연계 분석(2005~2009) 138



5장 한국의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
5-1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2000~2004) 146

6장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 모성사망 원인의 변화
6-1 신생아, 영아사망 원인의 변화(1983~2009) 154
6-2 영아사망 원인 통계(2000~2010) 166
6-3 주산기(출생전후기)사망 원인 통계(2007~2010) 170
6-4 모성사망비, 모성사망 원인 통계(2002~2010) 172

7장 한국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
7-1 시도별 미숙아,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2009) 178
7-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실태조사(2009) 184
7-3 한국에서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현황(1995, 1999, 2006) 193
7-4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이송관계 분석(2010) 198
7-5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현황 및 입원비용 분석(2006) 203
7-6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자의 퇴원 후 재입원빈도와 의료비용(2005~2006) 214

8장 한국의 선천성이상 빈도
8-1 한국의 선천성이상아 조사분석 연구(2005, 2006 출생아) 222

Part 2 미숙아, 신생아 관련 질환의 임상
9장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의 역학,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
9-1 RDS의 역학과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1990~2007) 244
9-2 RDS에서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2010) 256

10장 신생아 기관지폐형성이상(BPD)
10-1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전국적인 발생빈도: 다기관 설문조사(2007~2008) 260
10-2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임상양상: 다기관연구(2005~2007) 264
10-3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른 임상적 특징(2004~2007) 267
10-4 기관지폐형성이상(BPD)에서 폐동맥고혈압(PN)(2004~2008) 274
10-5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을 가진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폐고혈압(2000~2007) 279

11장 신생아 태변흡인증후군(MAS)
11-1 중증 태변흡인증후군(MAS)의 임상적 특성 및 MAS에서 폐 표면활성제 투여 결과(2004~2007) 286

12장 신생아 동맥관개존(PDA)
12-1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발병에 관련된 인자(1989~1995) 294
12-2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수술적 결찰 결과(1994~2006) 297
12-3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 결찰술 후 혈역동학적 변화(2002~2008) 301

13장 신생아 괴사장염(NEC)
13-1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역학적 고찰(1994~2003) 306
13-2 신생아 괴사장염(NEC)과 국소성장천공의 전국 조사(2001~2004) 309
13-3 신생아 괴사장염(NEC)으로 수술한 초미숙아의 예후인자 분석(2001~2008) 315
13-4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수술 경험(1997~2007) 318

14장 신생아 뇌실내출혈(IVH)
14-1 미숙아에서 뇌실주위, 뇌실내출혈(PVH, IVH)의 위험인자(2003~2008) 322

15장 신생아 감염증, 패혈증(sepsis)
15-1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에 대한 전국조사(1997) 328
15-2 26년간 신생아 패혈증 역학의 변화추이(1980~2005) 333
15-3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조기패혈증의 원인균과 예후인자(1994~2007) 337
15-4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신생아 패혈증 환자의 분석(2003~2008) 342
15-5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Synagis? 접종의 RSV 감염 예방과 재입원 감소(2005~2007) 347
15-6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병원감염 패혈증의 위험인자(2002~2009) 351

16장 미숙아망막증(ROP)
16-1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미숙아망막증(ROP)의 발생빈도와 위험인자(1997~2002) 358
16-2 미숙아망막증(ROP)의 역학과 주산기 위험인자(1995~1997) 362

17장 신생아 폐동맥고혈압(PPHN),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흡입치료
17-1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 흡입(iNO)치료의 예후인자(1998~2002) 368
17-2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의 치료성적 변화(1994~2001) 372
17-3 신생아 지속적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반응인자(1997~2002) 376
17-4 1,250g 미만 극소저체중출생아의 호흡부전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효과(2006~2010) 380

18장 신생아 기흉(pneumothorax)
18-1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의 관련 질환과 예후(2003~2008) 386
18-2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에 대한 임상적 연구(2002~2005) 389
18-3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기흉 환아의 임상적 특징(2001~2010) 392

19장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 추적결과, 뇌성마비 발생률
19-1 한국에서 극소 및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예후(1980~2008) 400
19-2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장애의 감소(1994~2004) 412
19-3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치료성적 및 추적관찰(2003~2006) 415
19-4 고위험 신생아에서 Bayley발달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예후인자(2002~2005) 421
19-5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따라잡기성장 및 발달평가(2000~2001) 425
19-6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2002~2003) 429

부록(Appendix)
1 이해관계 선언 434
2 논문 출처 목록 436
3 주요 통계 및 임상결과 요약 모음 440

찾아보기(Index) 453

도서소개

『한국 신생아 역학』은 한국의 출생, 미숙아, 신생아, 영아, 주산기에 관한 통계지표의 변화를 살펴보는 책이다. 지난 10년 간의 데이터들을 지속적으로 보고해 온 저자의 소산으로, 각각의 수치는 어떠한가에 관한 질문에 관한 답을 정리하였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지난 20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한국 신생아학을 논문 중심으로 정리되어있다. 1, 2부에 걸쳐 출생, 미숙아, 신생아, 영아, 주산기에 관한 각종 통계지표를 정리했으며 신생아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어떻게 발전하였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