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영의정 실록 3

영의정 실록 3

  • 박용부
  • |
  • 지식공감
  • |
  • 2022-01-13 출간
  • |
  • 526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56226437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조 시대, 예종 시대, 성종 시대, 중종 시대에는 어떤 사람들이 영의정에 올랐을까?

조선왕조 519년 동안 영의정에 오른 173명 중 제3권에서는 세조 시대 최항, 조석문, 이준, 예종 시대 박원형, 홍윤성, 성종 시대 윤자운, 윤필상, 이극배, 연산군 시대 노사신, 신승선, 한치형, 성준, 유순, 중종 시대 박원종, 김수동, 유순정, 성희안, 송질, 정광필, 김전, 남곤, 장순손, 한효원, 김근사, 윤은보까지 25명의 영의정을 다루고 있다.

173명의 영의정 중 세종 시대 황희 정승처럼 이름을 만세에 남긴 정승도 있지만 세조의 조카로 29세에 영의정에 올랐다가 30대에 죽은 이준, 포악무도했던 예종 시대 홍윤성, 중종 시대 조광조를 모함했다가 흉인이 된 남곤처럼 오명을 남긴 정승도 많다. 오늘날도 호랑이가 가죽을 남기듯 이름 석 자를 남기기 위해 억척스럽게 권력을 향해 일로 매진하고 있지만 권력 후의 결과는 칭송받는 자보다는 감옥을 가거나 악명을 남긴 자가 더 많다.

저자의 저술에 따르면 조선왕조와 대한민국 간의 기간은 가깝게는 100년 전의 일이고 길게는 628년 전의 일이다. 역사를 통해 배우는 것은 지난 과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보다 나은 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인데, 농경시대였던 500~600년 전의 인재 등용 정책과 2020년대의 인재 등용 정책을 보면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보고 있다.

저자는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고위직 관료들은 어떤 철학을 갖고 관직에 임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철학도 없이 권력을 손에 쥐었던 자들의 말로는 대한민국 수립 이후의 대통령의 모습에서 ?O아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조선왕조 519년 동안 최고의 벼슬인 173명의 영의정의 벼슬경력과 업적과 그 졸기 평가를 저술함으로써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권력의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목차


일러두기 12
[서언] 조선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인수대비와 한명회 14

세조 시대 二
28. 최항 -거사 당일 숙직한 일이 공신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3대공신(정난·좌익·좌리공신) 31
장수가 지켜야 할 본분 어제유장을 짓다 36
최항의 졸기 39
29. 조석문 - 4대공신 출신에 회계전문가
영의정이 된 근원 - 4대공신(좌익·적개·익대·좌리공신) 44
조석문의 졸기 53
30. 이준 - 28세의 최연소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임영대군의 아들,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다 58
세조가 극진히 총애한 귀성군 이준 67
28세에 영의정이 되다 69
친구 남이장군, 역모에 몰려 죽다 70
세조가 죽자 귀성군 이준도 역모에 몰리다 77
졸기없는 이준의 죽음 89

예종 시대
31. 박원형 - 곧고 정직하며 청렴했던 충신
영의정이 된 근원 - 좌익·익대공신 95
상급자마다 박원형을 찾다 98
중국 사신이 인정한 박원형의 예의범절 101
경복궁의 명당설과 쇠잔설 3 107
박원형의 졸기 146
32. 홍윤성 - 장비 같은 세조의 측근 장수
영의정이 된 근원 - 세조의 측근, 정난·익대·좌익·좌리공신 150
규수를 강제로 범하려다 탄핵을 받다 154
끊이지 않았던 홍윤성의 권력형 비리 159
33세된 관찰사를 과음시켜 죽게 하다 168
홍윤성의 졸기 170

성종 시대
33. 윤자운 - 신숙주의 처남,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공신(좌익·좌리공신)에 신숙주의 처남 177
이시애의 난에 치욕을 당하고 살아 돌아오다 178
중국사신 접대요령과 대처방법 179
사신의 북경 행차시 사치를 금하는 조항 181
사대부집 자녀의 혼인 연한을 정하다 183
윤자운의 졸기 184
34. 윤필상 - 무오사화를 주도하고, 갑자사화로 죽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재치있는 답변으로 세조의 총애를 입다 189
권신들의 인사권개입으로 이조판서직을 내던지다 191
어우동과 간통한 관리들의 처리 192
사림파의 탄핵을 받고 사림파와 등을 지다 195
무오사화를 주도하다 198
갑자사화를 당하다 200
윤필상의 졸기 204
35. 이극배 - 여주 세종왕릉 자리를 물려준 이인손의 아들
영의정이 된 근원 - 청백리에 좌익·좌리공신 209
수령의 범법행위 조사를 위한 항목 212
상피제도와 4명의 형제들 213
이극배의 졸기 216

연산군 시대
36. 노사신 - 세종의 처조카로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탄탄한 실력에 왕실과의 인척 225
세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은 노사신 227
명나라 사신 접대와 건배 횟수 229
영의정 소임과 탄핵상소 232
노사신의 졸기 235
37. 신승선 - 연산군의 장인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 공신(익대·좌리공신)에 연산군의 장인 241
연산군이 즉위하여 대간의 말을 문제삼다 243
사간이 3정승을 논평하며 요순 같은 임금이 될 책략을 올리다 245
신승선의 졸기 252
38. 한치형 - 공녀로 바쳐진 고모가 중국 황실의 후궁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좌리공신 3등, 인수대비의 사촌오빠 257
명나라에 오는 사신은 한씨로 보내라고 요구하다 259
연산에게 소비절약과 시정폐단을 건의하다 264
한치형의 졸기 267
사후에 연산에 앙갚음을 당하고 중종에 의해 복관되다 268
39. 성준 - 세종이후 사림 출신 첫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예종·성종·연산군의 곧은 스승 275
세종조에도 없던 공신 수여의 부당함을 아뢰다 276
지방에 원정가서 부정시험을 치룬 임사홍의 아들을 적발하다 278
폐비윤씨 문제로 갑자사화를 당하다 282
성준의 묘비명 291
40. 유순 - 주상의 말씀이 윤당하시옵니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임금의 비위를 잘 맞추어 윤당재상이 되다 296
종친의 과거응시 문제와 부녀자의 사찰 출입문제를 논하다 298
사직서 제출과 유순에 대한 평가 301
유순의 졸기 305

중종 시대
41. 박원종 -중종반정의 주역, 무관출신 영의정
월산대군의 처남으로 성종과 연산군의 총애를 받다 313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의 주역 321
박원종의 졸기 334
42. 김수동 - 연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시류를 잘 타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에 가담한 정국 2등공신 338
연산의 총애를 받았던 김수동 339
김수동의 졸기 342
43. 유순정 - 문무 겸비한 인재, 사림파로 공신에 들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46
문관이면서 무관 장수로 추천받았던 문무겸비한 인재 348
연산군이 강요한 충성 서약문(경서문) 353
연산군 폐위와 중종 즉위에 대한 명나라 승인 대처방안 356
연산군이 죽자 장례식 범위를 정하다 357
죄수의 보석금 제도를 곡식으로 대체하다 358
지방관청 각종 폐단 대처방안 359
유순정의 졸기 361
44. 성희안 - 연산조에 좌천되어 중종반정에 앞장서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65
연산군에게 지어 바친 시, 중종반정의 씨앗이 되다 368
공신책정 과정의 사연과 연산군의 처남 신수근의 처결 370
승승장구한 승진가도 373
성희안의 졸기 375
45. 송질 - 중종의 사돈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등, 중종의 사돈 380
공신자의 부모 승급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다 381
백성들이 홍색 옷을 입는 것에 대해 논하다 382
잦은 천재지변의 원인이 각 관서의 다스림에 관련한다고 하다 383
사치스런 장례 풍속에 대해 꼬집다 392
탐욕스런 송질을 탄핵하다 393
송질의 졸기 394
사림들의 배척 395
46. 정광필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 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한 실력파 398
위훈삭제 처리와 재상의 역할 405
기묘사화의 발발 411
정광필의 졸기 427
47. 김전 - 청렴결백했던 영의정, 김안로의 삼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 후 정승에 오르다 433
장원급제자를 목민관에 발령한 데 대한 논란 435
연산군과 단종의 후사를 세우는 문제와 점술에 대한 논의 439
서민들의 삼년상 시행 문제에 대한 논의 445
김전의 졸기 447
48. 남곤 - 기묘삼흉으로 조광조를 무함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로 승진하다 452
남곤의 졸기 458
남곤 사후 41년에 밝혀진 조광조 모해사실 461
49. 장순손 - 김안로의 오른팔로 영의정에 오르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오른팔, 일마다 탄핵받다 466
삭탈당한 관작 478
장순손의 졸기 479
50. 한효원 - 감안로의 이웃사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이웃사촌 483
나라를 다스리는 치국의 요도 484
왕세자 교육법 485
한효원의 졸기 494
51. 김근사 - 김안로의 6촌형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6촌형 499
연산군 후궁의 집터 확장에 대해 간언하다가 유배당하다 501
권력의 끝 502
김근사의 졸기 508
52. 윤은보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영의정이 된 근원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513
임금에게 전복을 진상한 유자광을 뇌물죄로 틴핵하다 515
삼흉 김안로·허항·채무택의 파직 518
조선의 풍속에 대해 걱정하다 520
윤은보의 졸기 52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