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머리말
제1부 군 조직과 교육훈련
제1장 군 조직의 특징과 교육훈련의 개념
제1절 군 조직의 존재 목적
제2절 군 조직의 특징과 기능
제3절 군 교육훈련 개념 및 범주와 기능
제2장 국방교육훈련 체계와 환경
제1절 국방교육훈련의 체계
제2절 국방교육훈련 환경변화와 교육훈련 방향
제3절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국방교육훈련
제3장 군사전문가의 역량과 개발
제1절 군 간부 역량개발
제2절 교관의 역할과 자질 구비요건
제3절 교관의 태도 및 교수 기법
제2부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과 플립러닝
제4장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제1절 지식정보화사회의 교육 패러다임
제2절 군 학교교육 위기 담론과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제3절 학생 중심의 참여형 교육
제5장 플립러닝의 이해
제1절 플립러닝의 개념
제2절 플립러닝의 구조
제3절 플립러닝의 특징
제6장 학교교육에 적용된 교수-학습 방법
제1절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SDL)
제2절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제3절 플립러닝
제4절 동료교수학습(Peer Tutoring, PT)
제3부 플립러닝 실증사례 연구 및 발전방향
제7장 간부 양성교육과 플립러닝 적용 사례
제1절 장교 양성교육 과정과 교육방법
제2절 군 리더십 교과목의 플립러닝 사례
제3절 군사학 수업의 플립러닝 성과와 쟁점
제8장 학교교육 플립러닝의 학습성과
제1절 연구목적과 필요성
제2절 연구방법 및 측정도구
제3절 연구 결과
제4절 학술적 함의 및 시사점
제9장 플립러닝 교수학습모형(DePATuRe) 개발
제1절 교수학습모형
제2절 교수설계 절차
제3절 플립러닝 DePATuRe 모형 개발
제10장 교육평가의 개념과 군 학교교육평가의 실제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
제2절 교육평가의 분류
제3절 교육목표 및 영역별 평가방법
제4절 군 학교교육평가의 실제
제11장 군 학교교육 발전방향
제1절 야전과 연계된 학교교육
제2절 요망수준 성과측정기준 재정립
제3절 플립러닝 학습여건 및 방법 개선
제4절 군무원 교육체계 개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