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법원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민사소송법 과목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민사소송법 기본서, 판례교재 등을 통해 이론 및 판례공부를 하는 이유는 시험장에서 객관식(선택형)으로 치러지는 실제문제를 잘 풀고 좋은 성적을 획득함으로써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접근법은 법원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를 최대한 많이 풀어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 변호사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와 법원사무관승진시험 기출문제들을 보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편저자는 2022년에는 법원직 민사소송법 수험시장의 판도를 완전히 바꾼다는 신념으로 최강 법원직 객관식 민사소송법 1권에 이어 이번에 2권 교재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 교재는 법원직 민사소송법 시험에 필요 없는 각종의 학설들은 모두 제거하고, 철저하게 판례 및 실무의 태도를 중심으로 민사소송 절차를 쉽고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즉 완전히 새로운 법원직 민사소송법 강의의 연장선에서 기획되고 출간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교재는 법원직 수험생 여러분들을 민사소송법 고득점을 통한 법원직 시험 최종 합격의 길로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박효근의 최강 법원직 객관식 민사소송법 2권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2016∼2021년까지의 변호사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 중 2022년 법원직 민사소송법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을 엄선하여 수록하였습니다.
2.2017∼2021년까지의 법원사무관승진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 중에서도 동일한 관점에서 엄선하여 수록하였습니다.
3.법원주사보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는 마지막 시험이었던 2019년 기출문제만 반영하였습니다. 이는 법원주사보시험 기출문제의 특징이 법원 내부의 실무적인 논점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더 나아가 그 중에서 법원직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논점들은 대부분 법원사무관승진시험에 이미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4. 또한, 위에서 엄선한 문제들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해설을 수록하였고, 또한 관련된 조문과 논점 및 판례들을 비교하여 정리함으로써 공부의 효율성을 제고하였습니다.
5. 참고로 편저자의 「박효근의 최강 법원직 민사소송법」 시리즈 교재의 출간(예정)일을 소개합니다.
✵ 2022년 법원직(등기직) 시험 대비 「최강 법원직 민사소송법」 교재 시리즈
1. 「최강 법원직 민사소송법 1(총론+소송요건+제1심의 소송절차)」 (2021. 4. 12. 출간, 법학사)
2. 「최강 법원직 민사소송법 2(증거+소송의 종료+병합청구소송)」 (2021. 5. 15. 출간, 법학사)
3. 「최강 법원직 민사소송법 3(상소심절차+간이소송절차+공시최고절차)」 (2021. 6. 1. 출간, 법학사)
4. 「최강 법원직 객관식 민사소송법 1」 (2021. 8. 5. 출간, 법학사)
5. 「최강 법원직 객관식 민사소송법 2」 (2021. 11. 17. 출간, 법학사)
6. 「최강 법원직 최종정리 OㆍX 민사소송법」 (2022. 1. 30.경 출간예정, 법학사)
7. 「최강 법원직 최근 7개년 민사소송법 판례 정리」 (2022. 3. 30.경 출간예정, 법학사)
코로나 19로 힘든 상황에서도 본 교재를 통해 공부하는 수험생들에게 편저자의 이러한 노력들이 효율적으로 흡수되어, 본 교재만으로도 민사소송법시험에서 고득점을 하여 최종합격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마지막으로, 본 교재 및 수험공부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박효근의 최강 법원직 민사법 연구소(네이버 카페)’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https://cafe.naver.com/phglaw).
2021년 11월 11일
법검단기학원에서 박효근 법무사 드림
1. 2016∼2021년까지의 변호사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와 2017∼2021년까지의 법원사무관승진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 중 2022년 법원직 민사소송법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을 엄선하여 수록
2. 법원주사보시험 민사소송법 기출문제는 법원 내부의 실무적인 논점에만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마지막 시험이었던 2019년 기출문제만 반영
3. 위 엄선한 문제들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해설을 수록하였고, 또한 관련된 조문과 논점 및 판례들을 비교하여 정리함으로써 공부의 효율성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