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생각을 함께 나누는 독자들이 생긴다는 것이 얼마나
설레는 일인지를 경험하고 있기에 행복감이 밀려온다.”
“스스로를 짓누르는 심리적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울증인지도 모른 채 시간이 지나서 병이 더 심해진다면 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마음의 건강도 나 자신이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스스로를 짓누르는 심리적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이 책은 우울증이 의심되는 사람이나 그 가족들에게 필요한 책이 될 것이다.
내 나이 36살. 세상을 향해 ‘나 죽고 싶어.’ 이 한마디를 꺼내기가 어려웠다. 물론 현재도 쉽지 않다. 말하고 싶었지만 말할 수가 없었다. 그 누구에게도 부정적인 말은 듣고 싶지 않았기에. 가슴에 돌덩이가 있는 것 같았다. ‘혼자서 짊어지고 가야 하는구나.’ 마음속으로 되새겼다. 하지만 이제는 용기를 내야 한다. 지금껏 답답한 마음이 들 때마다 나의 생각들을 블로그에만 풀어내었었는데 감사하게도 기회가 되어 책으로 낼 수 있게 되었다. 나와 생각을 함께 나누는 독자들이 생긴다는 것이 얼마나 설레는 일인지를 경험하고 있기에 행복감이 밀려온다.
나는 블로그에서 헤바(heba)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떠올리기 싫은 트라우마, 외면받아야 했던 나 자신, 죽고 싶은 심정 등 어두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런데 의외로 ‘진심으로 공감했어요.’, ‘부모를 계속 원망하게 돼요.’, ‘비슷한 환경에서 자랐어요.’, ‘지금 울고 갑니다.’, ‘저도 죽고 싶어요.’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댓글을 받으며 생각했던 것보다 우울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도 그 댓글들에 감동해서 장문의 댓글을 달아 소통했다. 솔직하게 기록한 것이 공감을 받을 수 있었으며 위로가 될 수 있었다. - 에필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