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유가사지론 강의 상

유가사지론 강의 상

  • 남회근
  • |
  • 부키
  • |
  • 2021-11-25 출간
  • |
  • 488페이지
  • |
  • 147 X 219 mm
  • |
  • ISBN 9788960518964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유가사지론은
유식학의 대표적 논서다

『유가사지론』은 대승 후기 불학에 속하는 유식법상 계통의 대표적 논서다. 전기 불학에 속하는 용수보살의 반야중관 계통과 함께 대승의 두 축이다. 4세기 인도에서 저술되고 7세기 당나라 현장법사가 인도 유학 후 귀국길에 가져와 20여 명의 학승과 함께 1년여를 한역했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이 논서는 부파불교와 대승경전에 설해진 여러 교의를 수집 분류 종합하여 대승의 교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 편찬된 것이라 평가한다.
『유가사지론』은 요가 수행으로 성취를 이룬 유가사瑜伽師의 실천 범위地를 17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이 강의는 그중 가장 중요한 성문지와 삼마희다지에 집중했다.
‘성문지’에서는 소승 성문의 조건과 수행의 전 과정이 펼쳐진다. 성문이 무엇인지, 바른 출가란 어떤 것인지, 어떤 인연과 자질이 있어야 하는지, 수행의 조건은 무엇이고 수행자의 위의는 어떠해야 하는지부터 사마타와 비발사나는 어떻게 닦는지, 사선팔정은 어떤 경계이고 번뇌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지 등 출가자나 재가자의 수행에 필요한 갖가지 개념이 논리 정연하고 치밀하게 전개된다.
‘삼마지’에서는 삼매(삼마지, 定)를 닦을 때 일어나는 각종 마음의 장애부터 지관 수행의 원리와 방법을 하나하나 드러낸다. 경문을 해석하는 강의를 따라가다 보면 내면에 깃들어 있는 욕망을 보게 되고, 자기 마음이 왜 불안한지, 어리석고 믿지 못하는 마음의 원인이 무엇인지, 일을 하든 수행을 하든 왜 이틀은 물고기 잡고 사흘은 그물을 말리는 상황이 되풀이되는지 저절로 되돌아보게 만든다.

유가사지론은
수행과 증득을 위한 교리다

저자는 이 대론이 “사람의 생명에서부터 물리세계 및 물질세계와 온 우주까지” 심층적으로 언급하고, 또 한 사람이 “어떻게 심신을 수지하여 무상(無上)의 도를 증득하는지를” 논증한다고 말한다. 그 과정에서 “소승과 대승의 수지 방법을 나누었으며, 성불에 이르기까지 총 백 권으로 된 논서”라고 『유가사지론』의 의의를 밝혔다. “한 권을 손에 넣으면 한평생의 수지가 충분”하다고 하며 『유가사지론』을 모른다면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것과 같으니 수행은 “아무렇게나”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계한다. “교리도 보기 귀찮아하고 오로지 타좌만 하려고 하면서 그것이 바로 수행이라고 여기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백 권의 경전을 분명하게 연구하면 전체 불법의 체계와 이론과 수지, 현교와 밀교의 수행법까지 모두 들어 있음을 알게” 된다. 이것이 저자가 『유가사지론』을 강의한 이유이겠다. 교리와 수행은 별개가 아니다.

수행해도
왜 삼매를 이루지 못하는가

이 강의는 “왜 여러분은 수행하고 타좌를 해도 정(삼매)을 이루지 못하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 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스무 가지 잘못이 없어야 한다. ‘도반이 없고 밝은 스승이 없고 마음이 부족한 잘못, 듣기만 하고 공경해 주기를 바라고 족함을 모르는 잘못, 쓸데없는 일에 바쁘고 나태한 잘못, 트집 잡고 성질부리고 마음을 쓰지 않는 잘못, 함부로 먹고 많이 자고 눈 귀 코 혀 몸 뜻을 지키지 못하는 잘못, 지관 수행의 방법을 몰라 일으키는 잘못’ 등이다. 이 중 하나는 고사하고 거의 모든 게 문제다. 더욱이 이 스무 가지를 다 갖추었어도 정을 이룬 것이 아니다. “이 정의 경계는 초선정의 전주(前奏)”일 뿐이니 그래서 “정을 수행해서 성취하고자 하면 초선정이 그처럼 어렵다”고 한 것이다. 저자는 어느 종파를 불문하고 “진정으로 초선정을 이룬 사람은 수십 년 이래 아직 한 사람도 보지 못했다”고도 한다.
강의 청중의 다수를 차지하는 젊은 출가승들을 분발시키기 위한 반어법이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이런 것입니다. 두렵지요? 이 길을 걸어가기란 너무도 어렵습니다”라고 거듭 강조한다. 깨달음이 지나치게 대중화된 시절, 동서양 할 것 없이 각종 명상이 상업화된 오늘날, 수행이 무엇인지에 대한 참된 지식을 『유가사지론 강의』로 만나게 될 것이다.

작의, 영상소연,
지관 수행이 핵심이다

이번 강의에서 공들여서 기본부터 설명한 개념이 작의와 영상소연, 이를 통한 지관 수행이다. ‘작의作意’는 의식 집중, 주의력과 같은 의미다. ‘영상소연’은 영상影像이 있는 인식 대상이고, ‘지관止觀’은 알려진 대로 사마타와 위파사나 수행이다.
모든 수행은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 시작이고, 마음이 어지럽지 않도록 오롯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이치에 맞는[如理]’ 작의여야 한다는 것. 무엇이 이치에 맞는 것인가. 빛을 대상으로 진언을 대상으로 불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화두나 십이연기 같은 법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염불, 관상, 호흡, 화두, 선정 수행 등이 모두 이치에 맞는 작의이고 이것이 모든 수행법의 원리다. 여기서 대상으로 하는 영상의 분별 유무에 따라 지와 관 수행법으로 나뉜다. 지와 관을 함께 닦아야 정과 혜에 이를 수 있다.
저자는 “수행의 첫걸음은 먼저 작의”에서 시작한다고 했다. “불가에 귀의한 사람은 왜 계율을 받아야 합니까? 일개 범부가 계율의 약속을 받지 않으면 마음속에 계(戒)가 없기 때문에 나쁜 짓을 저지르고도 스스로 알지 못합니다. 계를 받으면 의식으로 하여금 계의 종성을 심게 하는데, 그것이 바로 작의”라는 것이다. “염불을 하면 아미타불 한마디를 외우는 것 혹은 진언 하나를 외우는 것이” 모두 작의이고, “수식관(數息觀)을 수행하는 것 역시 작의이며, 팔만사천법문의 수행법이 모두 작의로부터 시작”된다. “작의심을 세울 수 있습니까? 첫째로 먼저 작의하고 거기다가 작의라는 이 일념이 견고해야” 수행의 기초가 마련된 것이다. 그런데 이치도 참구하지 않고 경전도 읽지 않고 망상 속에 있기 때문에 수행이 힘을 얻지 못한다.

수행으로
대승의 이치를 드러낸다

여기서 의문이 들 수 있다. 작의로 만든 영상과 정신병적 환상이나 약물에 의한 환각은 무엇이 다를까. “당연히 같지 않습니다. 하나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고, 하나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자신이 만들기 때문이고,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은 영문도 모르게 찾아와서 자신도 어떻게 된 일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의문도 일어난다. 자신의 의식에서 만들어 낸 영상이 어떻게 몸과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유분별영상을 사용하는 관법(觀法)은 아주 많습니다. 자신이 병에 걸렸다면 약사여래 혹은 백의관음보살을 관하면 됩니다. 어떤 고지식한 사람들은 제가 아무리 말해도 관음의 영상조차 없습니다. 그러면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의 제육의식에 있는 분별영상의 관음, 의식의 경계로 떠오른 관음의 영상을 관하는 것입니다. 버들가지를 든 관음이 정수(淨水)를 여러분의 정수리에 뿌리는 것을 관하면 낫지 않는 병이 없습니다.”
이처럼 의식을 바꿈으로써 일어나는 변화가 구두선처럼 여겼던 이치와 부합하게 된다. “여러분이 ‘이것은 저의 작의인데 관음보살과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라고 말한다면 저는 이렇게 답합니다. ‘자타불이(自他不二)이지 않습니까!’ 여러분이 바로 관음보살이고 관음보살이 바로 여러분입니다. 그뿐 아니라 여러분 스스로 그러한 관음보살이나 약사여래를 작의해서 관(觀)하기만 하면, 물을 뿌리기만[灌] 하면 불보살의 힘이 여러분을 가피(加被)해서 낫지 못할 병이 없습니다. 이렇게 대단하다고 아무리 말해 주지만 여러분의 신심(信心)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알아두십시오. 그것에 공(空)하라고 하면 공이 되고 유(有)하라고 하면 유가 되어야 연기성공(緣起性空) 성공연기(性空緣起)라고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여러분은 그저 입으로만 떠드는 법사일 뿐 쓸모가 없습니다.”
이것이 성문의 수행이 “연기의 본성은 공이고 공의 본성은 연기”라는 대승의 이치로 드러나는 과정이다. 저자의 이번 강의는 출가나 재가 수행자에게는 ‘바른 수행의 길’로 나아가는 지침을, 불법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수행의 실제 모습’을 기초부터 성불의 과정까지 경험과 논리와 증거로 펼쳐진다.


목차


옮긴이 말|출판 설명|『유가사지론』 구성과 내용

제1강
『유가사지론』에 관하여|유가사와 오승도|〔제20권 本地分中修所成地第十二〕 수행해도 왜 정을 이루지 못하는가|도반이 없고 밝은 스승이 없고 마음이 부족한 잘못|듣기만 하고 공경을 바라고 족함을 모르는 잘못|쓸데없는 일에 바쁘고 나태한 잘못|트집 잡고 성질 부리고 마음을 쓰지 않는 잘못|함부로 먹고 많이 자고 육근을 지키지 못하는 잘못|지관 수행의 방법을 몰라 일으키는 잘못|방법을 모르고 가행이 느슨하거나 잘못되어서이다|악업이 무거우면 정을 이루지 못한다|〔제21권 本地分中聲聞地第十三初瑜伽處種性地品第一〕 무엇을 성문지라고 하는가|무엇이 종성인가

제2강
수행의 좋은 인연과 좋지 않은 인연|당신의 몸은 선하게 얻은 것입니까|어떻게 하는 것이 바른 출가인가|음식은 큰 문제이다|깨어 있거나 잠들어 있거나 마음이 청명한 경계|〔제22권 本地分中聲聞地第十三初瑜伽處出離地品第一〕 왜 계를 받고 지키고 닦아야 하는가|참된 수행자는 이런 잘못이 없어야 한다|당신이 출가한 동기는 무엇인가|〔제11권 本地分中三摩?多地第六之一〕 네 가지 정려, 여덟 가지 해탈|정혜등지

제3강
성인의 정의 경계|입정에 잘 이끌어 들이는 등인지|초정려를 이루어 다섯 가지 심리에서 벗어나다|선정 수행의 기쁨이 일으키는 마장|기쁨 때문에 근심 때문에 짓는 악업|청정한 환희, 안락한 경안을 얻어야 진정한 출가인|소연을 자세하고 바르게 사유하라|선정을 먼저 닦는가 공성을 먼저 관하는가

제4강
정을 닦을 때 마음의 다섯 가지 장애|자기 마음의 탐욕을 점검하라|여러분도 성깔이 대단하십니까|누가 번뇌하지 않고 혼침하지 않는가|마음이 흐리멍덩하고 어둡고 어리석으며|마음이 흔들리고 돌이켜 후회하고

제5강
마음에 의혹이 많아 망설이고 의심하고 재고|탐욕은 바르지 않은 사유를 먹고 자란다|아름답고 훌륭한 태도에 마음이 일어나다|어떻게 탐욕을 없애는가|왜 수행의 첫걸음이 작의인가|일곱 가지 근본 작의와 나머지 사십 가지 작의|의식이 하나의 경계를 만들어 내는 비발사나 수행법|왜 백골을 관하지 못하는가|일념을 비워 공의 경계에 머무는 사마타 수행법|지 위주의 수행, 관 위주의 수행

제6강
영상작의를 수습하는 관건|여러분은 경안을 얻었습니까|덮이고 묶인 마음이 청정을 따라 해탈에 이른다|반주삼매 수행, 괴로움을 스승으로 삼다|성문중의 여러 가지 작의|독각승과 보살승의 작의|사십 가지 작의를 사유하여 귀납하다|수행에도 자본이 필요하다|정 수행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제7강
심신의 안팎이 더러워졌다|색신에 의지하여 작의하다|작의는 색신에 영향을 준다|세상의 사유 습성을 버리고 자기 심리를 점검하라|일체 번뇌가 뒤따르고 얽어매고 있으니|정방편상 사방편상 광명상 관찰상에 대하여|모든 탐욕상을 다스릴 수 있는 현선정|정에 들어가고 정에 머무르고 정에서 나오다|정을 닦는 삼십이상을 귀납하면 소연상 하나

제8강
〔제12권 本地分中三摩?多地第六之二〕 바른 수행의 길은 모두 작의이며 정사유|정을 이루는 네 가지 힘, 인력 방편력 설력 교수력|선정 수행을 좋아하나 출리의 방편을 모르는 수행자|외도의 지견으로 선정을 닦는 수행자|교만하고 의심에 기대어 선정에 들어가는 수행자|선정 수행의 근기가 다르다|어떻게 무루과의 정의 경계를 수행하는가|수련에는 진퇴가 있고 방법에는 결택이 있다

제9강
심성의 청정이 원만해지고 다시 정을 닦다|정려를 훈수한다는 것은 무엇인가|정에 들어가고 자재해도 과를 얻은 것은 아니다|해탈해도 업의 과보는 남아 있다|약간의 애와 욕이라도 떠나지 않으면|해탈에는 여덟 가지가 있다|팔해탈의 첫 번째, 욕계의 욕은 떠났으나 색계의 욕은 남아 있다|욕계의 빛과 색을 이용해 욕을 떠나는 수행|팔해탈의 둘에서 여덟까지|수련이 경계에 도달했을 때의 능력|무엇이 공성을 증도하는 것인가

제10강
심력이 전화하기만 하면 완성된다|역시 부동심이다|망념이 없고 상에 집착이 없는 수행법|무상정에 들어가는 두 가지 방법|무상 평정에 이를 때까지 채찍질하고 면려한다|과위를 증득하였음을 알다|공, 무상, 무원, 심사를 다시 말하다|유심유사, 무심유사, 무심무사의 삼마지|〔제13권 本地分中三摩?多地第六之三〕 비구 성문도의 필수 과목, 삼매 지관의 경계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