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번역 교육을 위한 기본 개념과 모델

통번역 교육을 위한 기본 개념과 모델

  • DanielGile
  • |
  • HUINE
  • |
  • 2021-09-27 출간
  • |
  • 452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59018749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존 벤자민스 통번역 총서 01- 통번역 교육을 위한 기본 개념과 모델

지난 2, 30년 사이 통번역 관련 전문서적의 출간이 급격히 증가했다. 과거에 출간된 이론서에서는 불가역성이나 충실성, 문학과 문화에서 번역의 역할 등 통번역의 ‘철학적’ 개념을 중심적으로 다루었다면, 근래 들어서는 언어학, 언어심리학, 전문용어를 비롯하여 매우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통번역 능력과 관련된 주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번역 문헌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주제 중 하나는 바로 교육이다. 특히, 전문교육기관에서의 과정을 통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통역사를 훈련하고 검증된 인력에 대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불과 몇 십 년 사이 전 세계 곳곳에 통번역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의 설립이 급격히 증가했다. 카미나데와 핌(Caminade& Pym, 1995)의 조사에 따르면 약 60개국 250여 곳의 대학에 통번역교육과정이 개설되었고 90년부터는 그 수가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중국에서는 정부의 지원 하 통번역 석사과정(Masters in Translation and Interpreting)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통번역 능력의 본질이나 구성 요소, 통번역 능력의 습득에 관한 연구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와 발맞추어 교육방법론에 관한 연구도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안타깝게도 통번역 교육여건, 수요 및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나 조건이 각양각색이다 보니 특정 교육 방법이 우수하거나 적합한지 또는 부적절한지 실증적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단언적으로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런 연유에서 여전히 통번역교육은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전문통번역사의 경험, 직감, 자아성찰 그리고 교사들 사이에서 교육방법론에 대해 협의한 바를 적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더라도 교과과정에서 통번역학의 개념적, 이론적 그리고 철학적 기반에 대한 교육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는다(반면에 언어 교육을 목적으로 번역을 교육하는 전공의 경우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다). 실제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유럽의 주요 통번역 교육기관에서는 기능주의 이론이나 해석이론 등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이론을 통번역사 훈련의 중요한 개념적 근간으로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소개하고 있는 이론적 개념과 모델을 처음 개발한 계기는 전적으로 개인적인 필요 때문이었다. 다른 동료 통번역사들과 마찬가지로 필자 역시 어려서부터 몇 가지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성장했고 혼자서 터득한 바를 밑천삼아 번역 일을 시작했다. 약 10년쯤 후, 기회가 있어서 정식 교육기관에서 회의통역을 전공하면서 통, 번역 실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논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일을 하면서 가지고 있던 의문점 중 일부는 처음 통번역교육을 받으면서 수업시간에 그 답을 찾을 수 있었고 또 70년대 말 박사과정에서 공부하면서도 많은 궁금증을 해소했다. 그러나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단어가 달라졌음에도 충실한 번역이라고 주장 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궁금했다. 통역이라는 작업이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 교사들이 추천하는 학습 및 통역 전략이 정말 최선의 방법이라는 근거가 무엇인지 등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싶었다. 처음에는 교사들이 제시하는 답이 단순 명료하고 통번역 작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었기 때문에 수긍하기 쉬웠다. 그러나 때로는 답이 과장되고 논리나 근거가 빈약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정적으로, 자수성가형 통역사로서 실전에서 터득한 바와 한 곳의 교육기관에서 통번역 실무를 배우면서 또 후에는 다른 기관에서의 사례를 접하면서 느낀 바가 있었다. 실제 현장과 비교할 수 없는 교실이라는 교육 환경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통번역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데 대한 안타까움과 현행 교육방법이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생각이었다. 이에 내 나름대로의 답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먼저, 1978년 문헌연구를 하면서 원론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 후 1979년 일어-불어 과학기술번역 강의를 맡으면서 또 그 후에는 통역 강의도 하면서 나름의 교육 원칙과 방법을 체계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번역의 기본 개념, 모델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나의 생각을 구체화해 나갔고 완전히 발전시킨 단계는 아니지만 일불 통역, 번역 교수법을 주제로 한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질(Gile) 1984a)은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내용을 상당 부분 포함한다. 그 이후, 통번역 현장에서 실전 경험을 쌓는 한편, 계속해서 교실에서의 실험도 진행했다. 세계 유수 대학의 동료 학자들과 수차례 토론도 하고 통번역 전문서적을 연구하면서 관련 국제회의와 세미나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 결과, 필자 나름의 개념적 틀을 정립해 나갈 수 있었다. 1989년, 통번역 교육을 위한 기본 개념과 모델을 제시하는 짧은 논문을 한 편 쓰고 이 논문을 동료들에게 보내어 피드백과 평가를 부탁했다. 논문을 보내달라는 요청이 쇄도했을 뿐 아니라 일부는 논문을 통번역 강의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부탁했다. 부족한 점이 많았음에도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육방법은 누군가의 필요에 부합했고 그렇다면 연구결과를 책으로 출간한다면 더욱 유용하리라 생각했다. 그리하여 본인의 1989년 논문 내용을 상당 부분 발전시키고 수정 보완하여 이 책을 출간했다.
본서에서 제시하는 통번역에 대한 기본 개념과 모델은 오랜 시간동안의 연구, 특히 실제 현상을 분석한 관찰 결과이며 통제된 조건에서 연구자가 실시한 다양한 실험의 결과이다. 또한 통번역 분야의 이론 연구뿐 아니라 인지심리학이나 언어심리학 등 인접 분야의 연구를 접목한 연구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책을 단지 그 동안 실시한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보고서만으로는 보지 않았으면 한다. 이 책의 목적은 첫째, 통번역의 과정 못지않게 그 과정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는데 있다.
둘째,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결과에 기초한 합리적인 추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적인 증명이 가능할 정도로 실험결과가 확고하지는 못하지만 이론적 근거는 충분하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통번역의 실무에 적용 가능한 처방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서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처방에 대해서 서구 및 북미의 여러 통번역교육기관의 교사도 의견을 같이 한다고 알고 있다. 이러한 처방에 대해서 가능한 상세히 설명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받아들일지 거부할 지 결정은 독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특히 통번역교육에 종사하고 있으면서 현장에서 회의통역사나 번역사로도 활동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집필했다. 물론 교육에 관여하지 않더라도 일을 하면서 느꼈던 의문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기본 개념과 모델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대상 독자가 책에서 지적한 문제에 대해서 이미 어느 정도는 인식하고 있다고 전제한다. 다만 독자들이 친숙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는 이론적 개념에 대해서는 예문이나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려고 노력했다. 이 때문에 각 주제에 대해 소개한 참고문헌의 수는 차이가 있다.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 없다고 생각한 주제에 대해서는 소수의 참고문헌만을 제공한 반면 인지과학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는 가능한 많은 문헌을 소개하고자 노력했다.
제1 장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본서는 회의통역과 문학번역을 제외한 일반 번역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과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강의하기에 적합하도록 집필했다. 물론 이 책 한 권으로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문점과 어려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가장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예문이나 부록을 각 장 마지막에 첨부하여 수업시간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다른 통번역교육 이론서와 이 책을 차별화하는 가장 큰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개념과 모델은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의도로 간단하게 언급했지만 교사들이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교육을 하는 과정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깊이 있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주요 내용”을 넣어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빠트리지 않고 전달했으면 하는 요점을 다시 한 번 정리했다.
또 다른 특징은 여기서 언급하는 개념은 통역과 번역 두 분야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수년간의 경험을 통해 필자가 확신하게 된 바는 통역과 번역의 가장 큰 차이는 결국 통역은 시간적 제약 하에서 정보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통역사가 느끼는 인지적 부담이 훨씬 크다는 점이고(이로 인해 통역사가 선택하는 통역 전략과 방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 외에는 차이점보다는 유사점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상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유사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일부 통번역교육기관에서 통역과 번역의 차이점에 대해 과도하게 확대하고 있고 특히 번역사보다는 통역사에 의해서 부풀려진 부분이 있다고 본다.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은 통번역 작업을 수행하는 조건에 기인하기 보다는 사회학적인 이유에서 차이를 강조한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보기에는 오히려 둘의 유사성을 강조하고 통역사와 번역사가 서로 상대방의 분야에 대해 알아가는 노력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제7장에서 통역사가 정보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처리 스트레스와 그 영향에 대해서 언급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장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통역과 번역 두 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기본 개념과 모델은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통번역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다.
각 장을 독립된 모듈로 생각한다면 단기 교육과정에서도 부분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허락된 시간과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 모듈 하나를 한 시간 이내로 짧게 강의를 하거나 좀 더 긴 시간을 할애해서 심화 학습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기 바란다. 이는 지난 25년 동안 필자가 실제로 여러 차례 실시해본 경험에 근거하여 하는 말이다.
통번역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교육과정에서 본 교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장을 모듈로 나누어 순서대로 강의하면 된다. 교사들은 특히 책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현상에 대해서 이미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에 대한 단도직입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통번역 경험이 전혀 없는 초보 학생이 대상인 교육과정에서는 먼저 방법론을 소개하고 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인 실전 연습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전문통번역사 재교육세미나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몇 가지 사례를 추가한다면 강의를 듣는 통번역사들이 배운 바를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한편, 통번역 분야의 이론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세미나의 경우에는 개념과 모델을 통번역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조명하는 이론적 접근의 틀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물론 통번역학 문헌과 인지언어학 등 연관 학문분야와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보다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이 책을 “최고 수준의 전문 통역사, 번역사”를 교육하는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최고 수준의 통역, 번역이라함은 물론 정확하고 잘 다듬어졌으며 그대로 최종 결과물로서 사용가능한 수준으로 도착어 텍스트 또는 발화를 생성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책은 그 어느 누구보다도 전문통번역교육기관에 몸담고 있는 교사들이 활용하기 적합하도록 집필했다. 다른 교육과정에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언어능력이나 주제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학생들이 대상인 교육과정에서는 전문통번역교육기관에서처럼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실용 통역과 번역 즉, 문학을 제외한 실용텍스트의 번역과 통역 과정을 위주로 집필한 이론서임을 강조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통역, 번역의 주요 목적은 정보 전달이며 메시지의 전달이지 감성적인 측면은 아니라는 점이다. 문학번역을 하는 번역사로부터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이나 모델을 문학번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말을 들었다(개인적으로는 여기서 사용한 텍스트는 정보의 전달이 목적이기 때문에 문학번역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문학번역은 의미와 의미를 싸고 있는 언어라는 ‘형태’와의 관계가 복잡 미묘하고 심미적 그리고 감성적인 측면을 섬세하게 다루어야 하는데 필자는 문학번역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만한 자격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독자들에게 이 책에서 제시한 통번역에 대한 기본 개념과 모델이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 책이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통번역교육을 위한 적절한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참고문헌이기를 바란다. 통역 번역의 현상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나 이론을 제시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모델은 끊임없이 발전해 왔을 뿐 아니라 실전에서의 경험과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전시켜야 한다. 집필하는 과정 중에도 그랬듯이 본서의 내용과 제안에 대해서 많은 독자들이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비판해주기를 바란다.


목차


발간사 ● 5
서문 ● 9

제 1 장 통번역 교육을 위한 이론적 기반
1. 통번역교육의 역할 ● 23
2. 통번역 전문능력의 구성요소 ● 28
3. 통번역교육 수요의 다양성 ● 32
4. 통번역 교육의 최적화 필요성 ● 35
5. 과정 지향적 접근방식의 통번역 교육 ● 38
6. 통번역 교육의 일부로서 실시하는 이론교육의 장점 ● 41
7. 이론교육 설계를 위한 기준과 지침 ● 45
8. 통번역 이론교육을 위한 참고문헌 ● 48
9. 모델 ● 51
10. 주요 내용 ● 53

제 2 장 의사소통과 통번역의 품질
1. 들어가기 ● 55
2. 의사소통 행위로서 전문통번역 ● 57
3. 통번역의 목적과 의도 ● 62
4. 메시지 내용과 형태 ● 73
5. 통번역의 품질 ● 75
6. 사회적 위상과 통번역의 품질 ● 90
7. 교육을 위한 제언 ● 92
8. 주요내용 ● 95

제 3 장 통역과 번역의 충실성
1. 들어가기 ● 101
2. 충실성 실험 ● 104
3. 충실성 원칙 ● 118
4. 부수정보: 장애물 또는 교두보 ● 128
5. 교육을 위한 제언 ● 134
6. 주요내용 ● 137

제 4 장 통역과 번역을 위한 전문텍스트의 이해
1. 들어가기 ● 144
2. 이해의 방정식 ● 148
3. 통번역과 전문 텍스트의 이해 ● 161
4. 통번역사에게 필요한 이해 수준 ● 172
5. 통번역사가 습득한 전문지식 ● 174
6. 이해의 원리에 대한 교육 ● 176
7. 주요 내용 ● 180

제 5 장 번역의 순차적 모델
1. 들어가기 ● 182
2. 모델 ● 183
3. 논의 ● 190
4. 순차적 모델의 관점에서 본 통역과 번역의 차이 ● 199
5. 순차적 모델 교육 ● 204
6. 주요 내용 ● 223

제 6 장 통역과 번역을 위한 지식 습득
1. 들어가기 ● 230
2. 통역과 번역의 차이 ● 231
3. 지식 습득을 위한 자료 ● 234
4. 번역을 위한 지식 습득 전략 ● 244
5. 통역을 위한 지식 습득 ● 255
6. 통역과 번역을 위한 장기적인 지식 축적 ● 262
7. 교육을 위한 제언 ● 264
8. 주요 내용 ● 267

제 7 장 통역의 수행능력 분할모델
1. 들어가기 ● 275
2. 자동화, 정보처리 역량 그리고 통역을 위한 수행능력 ● 278
3. 작업 기억(Working memory) ● 292
4. 동시통역의 수행능력 분할모델 ● 294
5. 동시통역 과정에서 정보처리 역량과 관련한 어려움 ● 297
6. 순차통역의 수행능력 분할모델 ● 307
7. 시역을 위한 수행능력 ● 314
8. 원고가 있는 동시통역 ● 317
9. 외줄타기 가설(The Tightrope Hypothesis) ● 319
10. 수행능력 분할모델과 번역 ● 321
11. 정보처리 역량과 예비통역사 ● 323
12. 수업을 위한 제안 ● 326
13. 수행능력 분할모델 그리고 인지심리학 ● 328
14. 주요 내용 ● 333

제 8 장 통역 과정에서의 대응 전략
1. 들어가기 ● 335
2. 통역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언제 발생하나? ● 337
3. 언어 특성과 관련한 어려움 ● 341
4. 연사 ● 351
5. 동시통역 과정에서의 대응방안 ● 352
6. 동시통역을 위한 대응방안 선택 규칙 ● 369
7. 순차통역, 시역 그리고 원고가 있는 동시통역을 위한 대응방안 ●
374
8. 연사의 실수에 대한 대응방안 ● 377
9. 번역에서의 대응방안 ● 378
10. 교육을 위한 제안 ● 379
11. 주요내용 ● 380

제 9 장 국제회의통역을 위한 언어 숙달과 그 영향
1. 들어가기 ● 381
2. 예비통역사의 통역언어 숙달 수준 ● 383
3. 언어 지식의 가용성(Language availability) ● 387
4. 언어 가용성에 대한 중력 모델 ● 393
5. 중력모델과 회의통역 ● 407
6. 통역과 번역의 방향 ● 412
7. 언어 가용성과 발화 전략 ● 414
8. 중력모델과 언어 강화 훈련 ● 418
9. 교육을 위한 제안 ● 423
10. 주요내용 ● 424

제 10 장 통번역 실무와 이론의 통합(IDRC 프레임워크)
1. 통번역이론 교육을 위한 플렛폼 도입 ● 426
2. IDRC 프레임-해석, 의사 결정, 자원 그리고 한계 ● 429
3. 통번역 이론의 도입을 위한 프레임으로서 IDRC ● 434
4. 보완성 ● 443
5. 수업에서의 IDRC 활용 ● 44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