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사물인터넷(IoT)의 개요
1. 산업혁명의 개요
1.1 산업혁명의 역사
1.2 4차 산업혁명의 특징
1.3 4차 산업혁명의 기술
1.4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2. 사물인터넷(IoT)의 개요
2.1 사물인터넷(IoT)이란?
2.2 사물인터넷의 발전 단계
2.3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술
2.4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 전망 및 동향
제2부 사물인터넷(IoT)의 핵심 스마트 기술
1. 사물인터넷의 센서(Sensor) 기술
1.1 센서의 개요
1.2 센서의 종류
1.3 센서의 진화 과정
1.4 센서 산업의 범위
1.5 센서의 선택
1.6 스마트 센서 시장 동향
2.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Network) 기술
2.1 사물인터넷 근거리 통신(LAN: Local Area Network) 기술
2.2 사물인터넷 전용망(Dedicated Network) 통신 기술
2.3 5G(fifth generation)
2.4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2.5 제조용(Manufacturing) IoT 네트워크
3. 사물인터넷의 스마트 인터페이스(Interface) 기술
3.1 상황인식(Context Awareness) 기술
3.2 생체인식(Biometrics) 기술
3.3 위치정보 기반(LBS, Location-based service) 기술
3.4 정보 구축 및 가공의 정보 처리 기술과 빅데이터
3.5 보안(Security)
3.6 온톨리지(Ontology)
4. 사물인터넷의 플랫폼(Platform) 기술
4.1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요 및 구조
4.2 개방형 IoT 플랫폼 기술
4.3 사물인터넷 플랫폼 사례
5. 사물인터넷의 스마트 디바이스(Device) 기술
5.1 드론(Drone)
5.2 3D 프린팅(3D Printing)
5.3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s)
5.4 신소재(advanced materials)
5.5 배터리(Battery)
제3부 사물인터넷(IoT)의 스마트 기술 응용
1. IoT 디바이스(Device) 응용 사례
1.1 스마트 가전(Smart appliance)
1.2 제로클라이언트(Zero Client) 단말
1.3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1.4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단말
2.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응용 사례
2.1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분류
2.2 스마트 의류(Smart clothing)
3. IoT 융합 서비스(Service) 기술 응용 사례
3.1 스마트시티(Smart City)
3.2 스마트 헬스케어(Smart Healthcare)
3.3 스마트팜(Smart Farm)
3.4 스마트홈(Smart Home)
4.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BigData) 응용 사례
4.1 빅데이터(Big Data)
4.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4.3 디지털트윈(Digital Twin)
4.4 메타버스(Metaverse)
5. IoT 디바이스 게이트웨이(Gateway) 기술 사례
제4부 사물인터넷(IoT)의 표준화 동향
1. 사물인터넷의 표준화(standardization) 기구
1.1 OneM2M
1.2 OCF
1.3 IEEE
1.4 3GPP
1.5 IETF
1.6 ISO/IEC JTC
1.7 ITU-T
1.8 Thread Group
2. 국내외 표준화 동향
2.1 국내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2.2 국외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제5부 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 기술의 보안
1. 사물인터넷 구성 요소별 보안 위협과 보안 요구사항
1.1 디바이스 관련 보안 및 보안 요구사항
1.2 게이트웨이 보안 및 보안 요구사항
1.3 사물인터넷 서비스 보안 및 보안 요구사항
2.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침해 사고 사례
2.1 스마트홈(가전)
2.2 스마트카(교통)
2.3 스마트 헬스케어(의료 건강)
2.4 스마트 그리드, 미터기(국가기관 및 전력)
2.5 스마트시티(공공복지)
2.6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에 대한 공통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