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01 Warm up, 2022 경기 교사 되기
Chapter 01 우선 쉬면서, 멘탈 무장
1 쉬면서 교사 마인드로 전환하기
2 마음 단련하기
Chapter 02 스터디 구성하기
Chapter 03 경기도 2차 수업능력평가 제대로 이해하기
1 수업능력평가의 구성
2 수업능력평가 일정
3 수업능력평가 절차
4 문제지 양식
Chapter 04 교육관의 기초, IVY Sentence 만들기
1 IVY Sentence란?
2 나만의 IVY Sentence 정립하기
Chapter 05 2021~2023 경기교육 기본계획 살펴보기
1 경기도교육청 사이트에서 기본문서 확보하기
2 2021~2023 경기교육 기본계획 이해하기
3 교육정책에 공감하기
Chapter 06 교육정책과 IVY를 연결하여 나만의 경기교사관 완성하기
Chapter 07 이미지 트레이닝
1 구상 상황
2 수업실연 상황
3 수업나눔 상황
4 수업능력평가 종료
STEP 02 경기 교사와 수업 사이
Chapter 01 경기교육과 경기도 교육과정 [2021년 개정 고시]
1 경기교육의 방향
2 경기도 교육과정의 4가지 특성
Chapter 02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핵심역량
Chapter 03 배움중심수업
1 배움중심수업의 정의
2 배움중심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3 배움중심수업의 실천
4 배움중심수업의 구성 요소
5 관계중심수업으로서의 배움중심수업
6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오해
7 융·복합 프로젝트형 배움중심수업
Chapter 04 성장중심평가
1 성장중심평가의 도입 배경: 평가관의 변화
2 성장중심평가의 의미
3 성장중심평가의 장점
4 배움중심수업과 연계된 성장중심평가의 특징
5 과정중심평가와 성장중심평가
6 성장중심평가의 방법
Chapter 05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1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의 이해
2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원격수업 운영 지향
3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의 질 제고
4 원격수업 중 평가 방안
5 초등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운영
6 중등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운영
Chapter 06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설계
1 학교 안팎의 교육자원 파악하여 온라인 플랫폼 선정하기
2 개별 학생의 역량·요구 진단하여 온라인 수업 유형 정하기
3 성취기준 재구성하기
4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설계하기
5 학생 맞춤형 피드백 설계하기
6 교육과정 운영하기
7 환류하기
Chapter 07 3단계(도입-전개-정리) 배움중심수업 설계하기
1 도입 단계에서 구상해야 할 내용
2 전개 단계에서 구상해야 할 내용
3 정리 단계에서 구상해야 할 내용
4 배움중심수업 지도안 예시(1차시분)
Chapter 08 수업내용을 판서로 구조화하기
1 판서 구조화의 중요성
2 효과적인 판서 구조화의 방법
3 판서 구조화의 유형
Chapter 09 수업나눔평가 이해하기
1 수업나눔평가의 도입 배경
2 수업성찰과 수업나눔, 수업비평
3 수업나눔의 요소
4 수업나눔평가의 유용성
Chapter 10 반성적 성찰질문(서울), 수업면접(광주), 수업성찰(충북) 평가
1 서울시교육청의 ‘반성적 성찰질문’
2 광주광역시교육청의 ‘수업면접’
3 충청북도교육청의 ‘수업성찰’
STEP 03 사이다! 수업실연평가
Chapter 01 2021 수업실연평가 기출문제와 답안 사례
1 2021학년도 경기도 초등
2 2021학년도 경기도 중등 역사
Chapter 02 수업실연평가 평가기준 이해하기
1 경기도교육청이 발표한 ‘수업실연평가의 관점’
2 경기 2차 수업실연평가 평가기준
Chapter 03 수업실연평가 채점기준표
Chapter 04 배움중심수업은 어떻게 할 수 있는가?
1 배움중심수업 실천 요소
2 [배움중심수업 키워드] 수업장면 구상 연습하기
3 원격·등교수업 병행 배움중심수업 고려하기
4 [배움중심 키워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구상 양식
Keyword 1 학생의 삶, 꿈, 마을에 연계된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2 학생의 자발성에 기초한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3 확산형 발문으로 역동적인 의사소통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4 협력적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5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6 성취기준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7 교정적 피드백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8 배움의 격차를 고려한 수업장면 구상하기
Keyword 9 과정중심평가를 설계·운영하는 수업장면 구상하기
Chapter 05 교사다운 실연의 기술
Skill 1 여는 말, 맺는말 기술
Skill 2 효과적으로 발문하기 기술
Skill 3 학생의 성장을 위한 피드백 기술
Skill 4 탁월한 수업태도 보여주기 기술(습관, 순회지도, 판서)
Skill 5 나만의 독창적인 수업무기 만들기 기술
Skill 6 다양한 수업전략과 수업방법 숙지하기 기술
Skill 7 [조건]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대로’ 수행하기 기술
Chapter 06 나눔-수업 블록 만들어 ‘수업나눔’ 대비하기
1 나눔-수업 Block이란?
2 나눔-수업 블록에 쓰일 [해당 요건] 설계하기
Chapter 07 수업실연평가 만점 훈련 매뉴얼
1 수업실연평가 스터디 구성하기
2 수업실연평가 스터디 운영하기
3 수업실연 촬영하여 활용하기
4 스터디를 통해 수업능력 개선하기
Chapter 08 경기 당일 실력 발휘하기
1 준비물 챙기기
2 구상 시간에 이미지 트레이닝하기
3 평가실에서 당황하지 않기
4 미리 손목시계 맞춰두기
5 교사로서의 품위 지키기
STEP 04 사이다! 수업나눔평가
Chapter 01 2020, 2021 수업나눔평가 기출문제와 답안 사례
1 2021학년도 경기도 초등 수업나눔평가
2 2021학년도 경기도 중등 수업나눔평가
3 2020학년도 경기도 초등 수업나눔평가
4 2020학년도 경기도 초등 수업나눔평가
Chapter 02 수업나눔평가 평가기준 이해하기
1 경기도교육청이 제시한 ‘수업나눔평가의 영역’
2 경기 2차 수업나눔평가 평가기준
Chapter 03 수업나눔평가 채점기준표
Chapter 04 P-R-O다운 수업나눔의 전략
Strategy 1 P - 나만의 배움 철학(Philosophy) 정리하기
Strategy 2 R - 나의 수업 진실하게 성찰(Reflection)하기
Strategy 3 O - 교육공동체(Organization)와 협업하기
Chapter 05 P-R-O다운 수업나눔의 기술
1 구체적으로 답변하기
2 수업실연평가와 연계하여 나눔 답안 구성하기
3 시간 조절 연습하되, 연연하지 않기
4 나만의 수업나눔 기본 틀 만들기
Chapter 06 수업나눔평가 만점 훈련 매뉴얼
1 수업나눔평가 스터디 운영하기
2 수업나눔을 소홀히 하지 말기
Chapter 07 경기 당일 실력 발휘하기
1 호흡 가다듬기
2 성찰 시간 확보하기
3 나의 수업 진실하게 성찰하고 대답하기
4 교사로서의 품위 지키기
STEP 05 실전! 문제 풀이로 합격 문턱 넘기
Chapter 01 수업나눔평가 기출문제 풀이
1 2021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2 2021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3 2020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4 2020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5 2019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6 201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7 2018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8 2018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9 2017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10 2017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11 2016학년도 초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12 2016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2차 수업나눔평가
Chapter 02 수업나눔평가 예상문항
1 철학[P] 영역 예상문항
2 성찰[R] 영역 예상문항
3 공동체[O] 영역 예상문항
4 경기교육 및 원격·등교 병행 배움중심수업 철학 관련 문항
Chapter 03 수업나눔평가 모의고사 [총 30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