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마 <오징어 게임>, <BTS>의 노래를 세계가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 27년 기자 경력의 저자가 꼽은 명품 한류를 만든 12가지
- K팝 아이돌, 연예인, 한류산업 종사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한류의 뿌리’
- 한류 수혜자인 대한민국 국민들도 읽어봐야 할 ‘교양 서적’
저자의 ‘주목할 만한 주장’들
- 지구 기축(基軸)문화의 주인이 가장 젊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한국으로 바뀌고 있다.
- 한류는 인터넷시대 ‘지구문화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검증된 장르다. 그래서 오래간다.
- 한국문화는 ‘갑의 갑’ 위치라 아무리 수출해도 배탈나지 않는다. 베끼기 힘들다.
- 한류는 한글의 표현력+ 반도의 다양성+ 홍익인간 정신+ 동서문화 융합의 결정체다.
- 고려 충렬왕이 이름을 바꾼 강릉(江陵)은 ‘강의 무덤, 바다의 시작’을 의미할까?
- 세계 최고의 사계절시는 1210년경 고려 진각국사가 쓴 ‘회문(回文)시’다.
- 삼성의 ‘업(業) 중시문화’는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에서 나왔다
- 한글 창제 이후 집단지성에 의한 의태어,의성어 경쟁이 한국말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 1500년간 이어온 선(禪)사상과 ‘빨리빨리 문화’가 만나 ‘여유있는 결과’가 가능해졌다
- 한류의 최고봉 K국민의식이 ‘품격국가 한국’을 만들고 있다.
- K팝은 소리내기의 끝판왕인 ‘판소리’에서 시작됐다. 힙합, 랩, 록도 숨어있다.
- 싸이가 길 닦은 K팝의 세계화, BTS가 완성시키며 ‘선순환 구조’로 만들었다.
- K팝은 ‘베토벤, 재즈’가 걸었던 길을 걷고 있다. 시대정신을 따르고 있다.
- JYP가 만든 일본인 걸그룹 니쥬(NiziU)는 ‘일본판 현대차 포니(pony)’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