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2 회계감사

2022 회계감사

  • 도정환
  • |
  • 나우 퍼블리셔
  • |
  • 2021-10-18 출간
  • |
  • 816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91191345209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5,89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89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Part1
감사의 기초

제1장 감사의 기본개념 2
제1절 감사의 개념과 분류 2
1. 감사의 개념 2
2. 감사의 분류 2
(1) 감사대상별 분류 / 2
(2) 회계감사의 다양한 분류 / 4
제2절 회계감사의 목적과 한계 6
1. 회계감사의 목적 6
2. 회계감사의 필요성과 외부감사법상 감사대상 7
(1) 정보위험과 회계감사의 필요성 / 7
(2) 외부감사법상 감사대상 / 9
3. 회계감사의 효익 11
(1) 재무제표이용자의 효익 / 11
(2) 감사대상회사의 효익 / 11
4. 회계감사의 고유한계 13
(1) 회계감사의 고유한계 / 13
(2) 회계감사의 고유한계를 일으키는 원인 / 14
제3절 회계감사의 구성요소 18
1. 감사대상과 경영진주장 18
(1) 감사대상기간의 거래 및 사건의 유형에 대한 경영진주장 / 19
(2) 보고기간말 계정잔액에 대한 경영진주장 / 19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경영진주장 / 20
2. 판단기준(준거기준): 재무보고체계 22
3. 행위기준: 회계감사기준 24
(1) 회계감사기준 / 24
(2) 전문가적 의구심 / 29
4. 감사의견과 감사보고서 33
(1) 감사의견의 종류 / 33
(2) 감사보고서 / 33

제2장 감사인의 책임과 자격요건 37
제1절 공인회계사의 제공업무와 조직형태 37
1. 공인회계사의 제공업무 37
(1) 인증업무 / 37
(2) 비인증업무 / 38
2. 공인회계사의 조직형태 39
(1) 회계법인 / 39
(2) 개인사무소와 감사반 / 40
제2절 관련 법률의 준수와 그 책임 41
1. 법률상 손해배상책임과 보장제도 41
(1) 외부감사법상 손해배상책임 / 41
(2) 기타 법률상 손해배상책임 / 43
(3) 증권집단소송제도 / 46
(4)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 / 47
2. 법률상 형사적 책임 48
(1) 외부감사법상 형사적 책임 / 48
(2) 공인회계사법상 형사적 책임 / 48
제3절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준수 49
1. 공인회계사윤리기준 49
(1)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구성 / 50
(2) 5가지 윤리강령 / 51
(3) 5가지 위협 / 54
(4) 3단계의 윤리강령 준수절차 / 55
(5) 안전장치의 마련 / 57
2. 상황별 윤리기준의 준수 60
(1) 윤리적 갈등 / 60
(2) 이해상충 / 61
(3) 제2의견 / 64
(4) 광고 / 66
(5) 의뢰인 자산의 보관 / 67
(6) 알선수수료 / 67
제4절 감사인의 범위와 자격요건 69
1. 감사인과 그 범위 69
(1) 감사인의 범위 / 69
(2) 감사반의 감사업무제한 / 69
(3) 주권상장법인의 감사를 위한 감사인 등록제도 / 70
2. 감사인의 자격요건 70
(1) 적격성 / 71
(2) 독립성 / 73

제3장 감사인의 독립성과 품질관리 78
제1절 공인회계사법과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독립성 78
1. 독립성에 대한 공인회계사법과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비교 78
2. 공인회계사법 33조와 21조의 비교 79
제2절 5가지 위협과 독립성 82
1. 이기적 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82
(1)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82
(2)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안전장치가 필요한 경우 / 87
2. 유착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91
(1)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91
(2) 직계존비속이나 측근가족이 감사대상회사의 임직원인 경우 / 95
3. 자기검토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96
(1) 감사업무와 비감사업무의 동시수행에 대한 찬반논쟁 / 96
(2) 동일 감사대상회사에 대한 감사업무와 비감사업무의 동시수행 / 97
(3) 전기에 비감사업무를 수행하고 당기에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 100
4. 변호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101
5. 압력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102
제3절 감사품질과 품질관리 107
1. 감사품질 107
2. 품질관리와 감사인 감리제도 107
(1) 회계법인의 자율적 품질관리 / 107
(2) 증권선물위원회의 감사인 감리제도 / 113

Part2
감사인의 선임과 감사계약

제1장 감사인의 선임 116
제1절 감사인의 선임방식과 외부감사법상 독립성 유지제도 116
1. 감사인의 선임방식 116
(1) 자유수임방식 / 116
(2) 국가배정방식(=감사인 지정) / 116
(3) 우리나라의 감사인 선임방식 / 116
2. 외부감사법상 5가지 독립성 유지제도 118
(1) 감사인의 선임권자와 선임기한 / 118
(2) 주권상장법인 등의 감사인 유지제도 / 121
(3) 감사업무팀 교체제도 / 123
(4) 전임감사인의 의견진술권 / 126
(5) 감사인의 지정 / 126
제2절 외부감사법상 감사인의 선임절차 130
1. 감사인의 선임권자와 선임기한 130
2. 감사인의 선임시 문서화할 사항 130
3. 회사와 감사인의 감사인 선임보고(감사계약 체결보고) 131

제2장 감사계약 132
제1절 감사업무의 수용 ㆍ 유지의 결정과 감사업무의 전제조건 132
1. 감사업무의 수용 ㆍ 유지의 결정시 고려사항 132
2. 감사업무 전제조건의 합의와 수임 전 의견거절 예상시 수임여부 결정 133
(1) 감사업무 전제조건의 합의 / 133
(2) 감사업무 수임 전 경영진의 범위제한 부과로 의견거절 예상시
수임여부 결정 / 137
3.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 및 제출의무와
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제출의무 139
(1)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 / 139
(2)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제출의무와
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제출의무 / 140
제2절 감사계약 142
1. 감사계약서의 기재사항 142
(1) 필수적 기재사항과 보충적 기재사항 / 142
(2) 감사보수의 산정기준 / 146
2. 감사업무조건의 변경요구시 대응 146
3. 감사계약의 해지권 148
(1) 감사인의 해지권 / 148
(2) 감사대상회사의 해지권 / 150

Part3
회계감사의 시작과 위험평가절차

제1장 회계감사수행을 위한 기초지식 152
제1절 회계감사의 업무흐름 152
제2절 감사증거와 요건 153
1. 감사증거의 의의 153
2. 감사증거의 2가지 요건 153
(1) 충분성(감사증거의 양) / 153
(2) 적합성(감사증거의 질) / 155
3. 감사증거의 문서화(감사조서, 감사문서) 159
(1) 감사조서의 작성목적 / 160
(2) 감사조서의 형식, 내용 및 범위 / 161
(3) 감사조서와 관련된 기타사항 / 163
제3절 감사증거의 입수방법(감사기술) 166
1. 분석적절차 166
(1) 분석적절차의 종류 / 166
(2) 분석적절차가 수행되는 3단계 / 172
(3) 위험평가절차로서의 분석적절차 / 173
(4) 실증절차로서의 분석적절차: 실증적인 분석적절차 / 175
(5) 전반적인 결론형성단계의 분석적절차 / 179
2. 질문 179
3. 검사 180
(1) 문서검사 / 180
(2) 실물검사 / 183
4. 재계산 184
5. 재수행 185
6. 관찰(=입회) 185
7. 외부조회 185
(1) 개요 / 185
(2) 외부조회의 2가지 종류 / 188
(3) 외부조회의 수행절차 / 191
제4절 전문가와 내부감사인이 수행한 업무 205
1. 회사가 경영진측 전문가를 활용한 경우 감사절차 205
(1) 개요 / 205
(2) 회사가 경영진측 전문가를 활용한 경우 감사절차 / 206
2. 감사인측 전문가의 활용 211
(1) 개요 / 211
(2) 감사인측 전문가의 활용절차 / 212
3. 내부감사기능이 수행한 업무의 활용 217
(1) 개요 / 217
(2) 내부감사기능이 수행한 업무의 활용절차 / 219
제5절 중요성 221
1. 재무회계와 회계감사에서의 중요성 221
(1) 재무회계에서의 중요성 / 221
(2) 회계감사에서의 중요성 / 222
2. 중요성과 감사범위계획간의 관계 224
3. 중요성의 4가지 종류 226
(1)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중요성 / 226
(2)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수행중요성 / 226
(3) 특정항목에 대한 중요성 / 228
(4) 특정항목에 대한 수행중요성 / 230
(5) 명백하게 사소한 금액 / 231
4. 중요성 설정시 고려요소 232
5. 중요성의 수정 236
제6절 감사위험 237
1. 감사위험과 구성요소 237
(1) 감사위험 / 237
(2) 감사위험의 구성요소(=발생원인) / 237
2. 감사위험의 감사계획과 감사증거량간의 관계 242
(1) 감사위험과 감사계획간의 관계 / 242
(2) 감사위험과 감사증거량간의 관계 / 244

제2장 위험평가절차와 계획수립 246
제1절 업무팀의 구성과 위험평가절차 246
1. 업무팀의 구성과 토의 246
2. 위험평가절차의 개요 247
(1) 중요왜곡표시위험과 유의적 위험 / 247
(2) 위험평가절차시 사용되는 감사증거 입수방법(감사기술) / 251
(3) 중요왜곡표시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기 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계획사항 / 254
(4)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수준 / 255
(5) 4단계의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순서 / 256
3.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를 통한 위험평가절차 256
(1)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 목적 / 256
(2)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 내용 / 257
4. 평가된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수정 262
제2절 평가된 위험에 대한 대응과 계획수립 263
1. 평가된 위험에 대한 대응 263
(1) 재무제표 수준의 대응 / 263
(2) 경영진주장 수준의 대응 / 265
(3) 실증절차만으로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제공하지 못하는 위험에 대한 대응 / 271
2. 계획수립 271
(1) 개요 / 271
(2) 전반감사전략의 수립과 (세부)감사계획의 개발 / 274
제3절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284
1. 개요 284
2.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할 사항과 절차 285
(1)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할 사항 / 286
(2)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절차 / 287
3.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의 효익 288
4. 지배기구 내의 하위그룹과의 커뮤니케이션 290

Part4
위험평가절차에 대한 추가감사절차

제1장 통제테스트와 위험평가의 확정 295
제1절 회사의 내부통제 295
1. 내부통제의 의의 295
(1) 내부통제의 정의 / 295
(2) 내부통제와 내부회계관리제도 / 295
(3) 내부통제의 고유한계 / 296
2. 내부통제의 구성요소 297
(1) 통제환경 / 297
(2) 기업의 위험평가절차 / 300
(3) 정보시스템과 커뮤니케이션 / 302
(4) 통제활동 / 303
(5) 통제의 모니터링 / 305
제2절 내부통제의 이해와 통제테스트 308
1. 내부통제의 이해와 통제테스트 308
2. 통제테스트의 수행 308
(1) 통제테스트를 수행하는 상황 / 308
(2) 통제테스트에 사용되는 감사증거 입수방법 / 311
(3) 통제테스트의 구체적인 수행절차 / 311
(4) 통제테스트의 수행시기 / 312
(5) 전기이전에 입수한 통제테스트의 감사증거 이용 / 315
(6) 통제테스트 수행시 이탈을 발견한 경우 / 317
(7) 내부통제의 미비점에 대한 경영진과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 318
제3절 거래유형별 통제 323
1. 매출과 대금회수거래 323
(1) 영업부서 / 324
(2) 신용조사부서 / 324
(3) 창고부서 / 324
(4) 선적부서 / 324
(5) 회계부서 / 324
(6) 대금청구부서 / 325
(7) 자금부서 / 325
2. 매입과 대금지급거래 328
(1) 구매요청부서 / 328
(2) 구매부서 / 328
(3) 검수부서 / 329
(4) 창고부서 / 329
(5) 회계부서 / 329
(6) 지급결의부서 / 329
(7) 자금부서 / 329
제4절 정보시스템환경하에서의 통제테스트 332
1.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영향 332
(1)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효익 / 332
(2)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위험 / 333
2.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내부통제 334
(1) 일반통제와 응용통제 / 334
(2) 일반통제와 관련된 업무분장 / 335
3. 정보시스템환경하에서 통제테스트 339
(1) 컴퓨터 주변감사 / 339
(2) 컴퓨터 자체감사 / 339
제5절 외부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통제테스트 345
1. 개요 345
2. 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위험평가절차 346
(1) 서비스조직의 서비스 및 통제와 관련하여 이해할 사항 / 346
(2) 이용자기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 추가수행절차 / 347
3. 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통제테스트 349
(1) 서비스조직의 통제에 대한 통제테스트 수행방법 / 349
(2) 통제테스트로서 유형 2 보고서를 이용할 경우 추가절차 / 350
(3) 유형 2 보고서가 제공하는 증거의 충분성과 적합성 결정시 만족하여야 할 사항 / 351
4. 이용자기업 감사인의 감사의견과 감사보고서상 서비스감사인의 언급 351
(1) 서비스에 대해서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입수하지 못한 경우 / 351
(2) 감사보고서상 서비스감사인이 수행한 업무의 언급 / 351

제2장 실증절차의 기초 352
제1절 개요 352
1. 실증절차의 분류 352
(1) 실증절차의 일반적 분류 / 352
(2) 실증절차의 수행목적별 분류 / 353
2. 실증절차의 수행순서 356
(1) 총괄표의 작성 / 356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 356
(3) 세부테스트의 수행 / 357
제2절 실증절차의 수행시기와 적용방법 359
1. 실증절차의 수행시기 359
(1) 원칙: 재무제표일 이후 / 359
(2) 예외: 중간기간 / 359
2. 계정별 실증절차의 적용방법 362
(1) 재무상태표 계정 중심? 손익계산서 계정 중심? / 362
(2) 계정잔액에 대한 테스트 중심? 거래유형에 대한 테스트 중심? / 363
(3) 재무상태표 계정만으로 관련된 손익계산서 계정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까? / 364
(4) 실재성 중심? 완전성 중심? / 364

제3장 기초잔액과 거래유형별 실증절차 365
제1절 초도감사시 기초잔액 365
1. 개요 365
2. 기초잔액에 대한 감사목적별 감사절차 366
(1) 감사목적: 기초잔액에 왜곡표시의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감사절차 / 366
(2) 감사목적: 기초잔액에 적합한 회계정책이 당기에도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는지 여부 / 369
3. 기초잔액과 관련된 감사보고 370
(1) 상황별 감사의견 / 370
(2) 감사의견의 분리 / 370
제2절 현금및현금성자산 373
1. 총괄표의 작성 373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373
3. 세부테스트의 수행 374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374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3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3
제3절 매출채권과 매출 384
1. 총괄표의 작성 384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384
(1) 추세분석 / 384
(2) 재무비율분석 / 386
3. 세부테스트의 수행 388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8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8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392
제4절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393
1. 직접 보관시 393
(1) 수량과 상태를 확인하는 감사기술 / 393
(2) 실사입회 계획시 고려사항 / 394
(3) 실사입회 관련 2가지 절차 / 395
(4) 실사(기준)일과 재무제표일이 다른 경우 / 398
(5) 실사입회의 생략 / 402
2. 제3자 보관시 404
제5절 유형자산과 감가상각비 406
1. 총괄표의 작성 406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406
3. 세부테스트의 수행 408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408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412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412
제6절 매입채무와 차입금 415
1. 매입채무 415
2. 차입금 417
(1) 총괄표의 작성 / 417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 417
(3) 세부테스트의 수행 / 418

제4장 특정항목별 감사절차 422
제1절 부정 422
1. 개요 423
(1) 부정에 대한 경영진과 감사인의 책임 / 423
(2) 부정적발의 고유한계 / 426
(3) 부정의 2가지 종류 / 427
(4) 부정의 3가지 구성요소 / 427
2. 부정에 대한 감사절차 432
(1) 업무팀 토의 / 432
(2) 위험평가절차 / 433
(3) 부정으로 인한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 435
(4) 부정으로 인한 중요왜곡표시위험에 대한 대응 / 437
(5) 감사증거의 평가 / 445
(6) 부정 또는 의심중인 부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 447
(7) 서면진술의 수령 / 451
(8) 부정으로 인하여 감사업무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 / 453

제2절 회계추정치 455
1. 개요 455
2. 회계추정치에 대한 감사절차 456
(1) 위험평가절차로서 이해할 사항 / 456
(2) 전기회계추정치의 검토 / 459
(3) 중요왜곡표시위험에 대한 대응절차 / 460
(4) 감사증거의 평가와 왜곡표시의 결정 / 463
(5) 서면진술의 수령 / 463
제3절 소송과 배상청구 470
1. 개요 470
2. 소송과 배상청구에 대한 감사절차 470
(1) 소송과 배상청구의 식별 / 470
(2) 외부법률고문과 직접 커뮤니케이션(변호사조회서) / 471
(3) 외부법률고문과 직접 만남 / 473
(4) 소송의 진행경과 파악 / 473
(5) 서면진술의 수령 / 473
제4절 특수관계자 거래 474
1. 개요 474
2.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한 감사절차 476
(1) 업무팀 토의 / 476
(2)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해서 이해할 사항 / 476
(3) 특수관계자 거래의 식별절차 / 477
(4) 새로운 특수관계자나 그 거래의 식별시 대응절차 / 478
(5) 정상적인 사업과정이 아닌 거래를 식별한 경우 대응절차 / 479
(6) 서면진술의 수령 / 482
제5절 회사의 법규준수 483
1. 개요 483
2. 회사의 법규준수에 대한 감사절차 483
(1) 법규준수와 관련하여 이해할 사항 / 483
(2) 법규의 2가지 유형과 감사절차 / 484
(3) 법규위반 또는 의심되는 위반사례에 대해서
정보를 알게 된 경우 수행절차 / 484
(4) 서면진술의 수령 / 485
제6절 부문정보의 공시 486
1. 개요 486
2. 부문정보의 공시에 대한 감사절차 488

제5장 테스트항목의 범위와 표본감사 489
제1절 테스트항목의 추출범위 489
1. 전수조사 489
2. 일부조사 490
(1) 특정항목의 추출 / 490
(2) 표본감사 / 491
제2절 표본감사와 표본위험 495
1. 표본위험 495
2. 비표본위험 497
제3절 통계적 표본감사의 단계별 적용 498
1. 표본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99
(1) 허용이탈율과 허용왜곡표시 / 499
(2) 예상이탈율과 예상왜곡표시 / 500
(3) 확신의 수준 / 500
(4) 모집단의 표본단위의 수 / 501
(5) 위험평가시 통제의 고려정도와 중요왜곡표시위험 / 501
(6) 대체적 절차 / 502
(7) 모집단의 계층화 / 502
2. 표본추출방법 504
제4절 통제테스트로서의 속성표본감사 507
1. 표본의 설계 507
2. 표본규모의 결정 508
(1) 조견표를 이용하는 방법 / 508
(2) 신뢰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 509
3. 표본의 추출 510
4. 감사절차의 수행 510
5. 이탈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조사 및 평가 510
6.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511
(1) 조견표를 이용하는 방법 / 512
(2) 신뢰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 513
제5절 세부테스트로서의 금액비례확률표본감사 518
1. 표본의 설계 519
2. 표본규모의 결정 520
3. 표본의 추출 522
4. 감사절차의 수행 523
5. 왜곡표시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조사 및 평가 523
6. 왜곡표시의 투영: 모집단투영왜곡표시의 계산 524
7.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528
제6절 세부테스트로서의 전통적 변량표본감사 536
1. 표본규모의 결정 536
(1) 복원추출 / 536
(2) 비복원추출 / 537
2.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537
(1) 모집단의 점추정치 / 538
(2) 정도 / 540

제6장 실증절차의 마무리절차 541
제1절 후속사건의 검토 541
1. 개요 541
(1) 후속사건의 정의 / 541
(2) 재무제표 (발행)승인일과 재무제표 발행일 / 542
(3) 감사보고서일 / 542
(4) 후속사건의 2가지 유형 / 545
2. 감사보고서일까지 발생한 후속사건의 식별절차 548
3. 감사보고서일 이후에 알게 된 경우 대응절차 551
(1) 기본수행절차 / 551
(2) 새로운 감사보고서일까지의 후속사건 감사절차의 연장과
새로운 감사보고서일의 기재방법 / 551
(3) 경영진의 반영여부에 따른 시기별 대응절차 / 557
제2절 계속기업전제의 검토 561
1. 개요 561
(1)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 561
(2)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 561
2.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감사절차 562
(1) 경영진의 예비평가 수행여부에 따른 위험평가절차 / 562
(2) 경영진의 평가에 대한 감사인의 평가 / 564
(3) 계존유의사상 식별시 감사절차 / 566
(4) 평가기간 이후의 감사절차 / 568
(5) 감사결과의 평가 / 568
(6)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 570
(7) 서면진술의 수령 / 571
3. 계속기업전제와 관련한 감사보고 571
(1) 계속기업전제에 대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입수하지 못한 경우 / 571
(2) 계존유의사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573
(3) 계속기업전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 573
(4) 계존유의사상이 존재하지만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리는 경우: Close call / 574
(5)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주석기재가 적절한 경우 / 576
(6)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주석기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 579
제3절 서면진술의 수령 583
1. 개요 583
(1) 감사증거로서의 서면진술 / 583
(2) 서면진술의 요청대상과 대상기간 / 584
(3) 서면진술의 기타고려사항 / 585
2. 서면진술의 내용과 미제공시 대응절차 587
(1) 서면진술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미수정왜곡표시에 대한 서면진술 / 587
(2) 서면진술 미제공시 대응절차와 감사의견 / 590

Part5
감사의견의 형성과 감사보고서

제1장 미수정왜곡표시의 평가와 감사의견의 형성 594
제1절 식별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수정권고 594
1. 왜곡표시의 개요 594
(1) 왜곡표시의 정의 / 594
(2) 왜곡표시의 발생원인 / 594
(3) 왜곡표시의 분류 / 595
2. 사례를 통한 식별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수정권고 596
(1) 식별된 왜곡표시 / 596
(2) 식별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추가 수행절차 / 597
(3) 경영진에게 수정권고 / 598
(4) 경영진의 미수정왜곡표시와 추가 수행절차 / 599
(5) 공표용 재무제표의 수령 / 603
제2절 미수정왜곡표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의 고려와 감사의견의 형성 604
1. 미수정왜곡표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전 수행절차 604
(1) 중요성의 수정 필요성 고려 / 604
(2) 전반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한 분석적절차의 수행 / 604
2. 감사의견의 형성 604
(1) 적정의견의 표명 / 604
(2) 감사의견의 변형 / 605

제2장 감사보고서의 작성과 보고 615
제1절 감사보고서의 구성요소 615
1. 감사보고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615
(1) 감사보고서의 형식과 관련된 구성요소 / 615
(2) 감사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구성요소 / 619
2. 핵심감사사항의 커뮤니케이션과 감사보고 626
(1) 개요 / 626
(2) 핵심감사사항의 결정방법 / 628
(3) 핵심감사사항의 감사보고서 기재내용 / 630

(4)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된 사항이 감사보고서에
커뮤니케이션되지 않는 상황 / 636
(5) 핵심감사사항과 다른 사항과의 관계 및 감사보고서 기재방법 / 636
3. 강조사항과 기타사항 641
(1) 강조사항과 기타사항의 정의 / 641
(2) 강조사항의 세부사항 / 641
(3) 기타사항의 세부사항 / 646
(4) 강조사항 또는 기타사항의 기재가 예상되는 경우 수행절차 / 648
제2절 변형된 감사의견의 감사보고서 649
1. 변형사유별 감사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구성요소의 수정여부 649
(1) 감사의견 관련 / 649
(2) 감사의견근거 관련 / 650
(3) 핵심감사사항 관련 / 650
(4) 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진과 지배기구의 책임 관련 / 651
(5) 재무제표감사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관련 / 651
2. 감사범위제한으로 감사의견 변형시 감사보고서 사례 652
(1) 한정의견 / 652
(2) 의견거절 / 653
3.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로 감사의견 변형시 감사보고서 658
(1) 한정의견 / 658
(2) 부적정의견 / 659
제3절 비교정보에 대한 감사보고 661
1. 개요 661
2. 비교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 661
(1) 계속감사시 감사보고 / 661
(2) 초도감사시 감사보고 / 664
(3) 초도감사시 전기재무제표의 중요한 왜곡표시 발견시 대응절차 / 665
제4절 기타정보에 대한 감사보고 671
1. 기타정보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672
2. 감사받은 재무제표와 기타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응절차 673
(1) 기타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 673
(2) 감사받은 재무제표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 675

Part6
그룹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와 기타인증업무

제1장 인증업무개념체계와 특정목적재무보고체계 678
제1절 인증업무개념체계 678
1. 인증업무의 정의 678
2. 인증업무의 형태 678
(1) 합리적 확신업무 / 678
(2) 제한적 확신업무 / 679
3. 인증업무에서 제외되는 업무 680
4. 인증업무의 5가지 구성요소 680
(1) 공인회계사, 인증대상업무 책임자 및
의도된 이용자로 구성되는 삼자관계 / 680
(2) 적절한 인증대상 / 681
(3) 적절한 준거기준 / 681
(4) 충분하고 적합한 증거 / 681
(5) 합리적 확신업무와 제한적 확신업무 각각의 성격에
적합한 형태의 인증보고서 / 681
제2절 특정목적 재무보고체계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의 감사 683
1. 개요 683
2. 업무수임시의 고려사항 683
3. 감사의 계획수립 및 수행시의 고려사항 683
4. 의견형성 및 보고시의 고려사항 684

제2장 그룹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절차와 보고 686
제1절 개요 687
1. 그룹재무제표감사의 의의 687
2. 그룹업무팀과 부문감사인의 책임과 감사보고서상 부문감사인의 언급 688
(1) 그룹업무팀과 부문감사인의 책임 / 688
(2) 감사보고서상 부문감사인의 언급 / 689
제2절 그룹재무제표감사업무의 수용ㆍ유지 결정과 계획수립 691
1. 그룹재무제표감사업무의 수용ㆍ유지 결정 691
2. 그룹, 부문 및 그 환경의 이해를 통한 위험평가절차 692
3. 전반감사전략 수립시 업무유형과 중요성의 결정 693
(1) 업무유형의 결정 / 693
(2) 중요성의 결정 / 702
제3절 부문감사인의 활용에 대한 감사절차 706
1. 부문감사인에 대한 이해 706
2. 부문감사인의 업무수행 전 그룹업무팀의 부문감사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708
3. 부문감사인의 위험평가절차에 관여 709
4. 부문에서 유의적인 중요왜곡표시위험 식별시 수행절차 710
5. 부문감사인의 추가감사절차 수행 후 그룹업무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710
6. 커뮤니케이션의 적합성 평가시 수행절차 712
7. 부문감사인의 업무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수행절차 712
제4절 연결절차에 대한 감사절차 715
1. 연결절차와 그룹차원의 통제에 대한 이해 715
2. 그룹차원의 통제테스트 715
3. 연결조정에 대한 실증절차 716
(1) 실증절차전 수행절차 / 716
(2) 연결조정사항에 대한 실증절차 / 717
제5절 기타 감사절차 719
1. 후속사건에 대한 감사절차 719
2. 그룹경영진과 그룹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720
(1) 그룹경영진과의 커뮤니케이션 / 720
(2) 그룹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 721
3. 문서화 721

제3장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와 검토 724
제1절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기본개념 724
1. 개요 72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정의와 범위 724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정의 / 72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범위 / 725
제2절 외부감사법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규정 726
1. 회사 관련 726
(1) 외부감사법상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정의 / 726
(2)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하여야 하는 회사의 범위 / 726
(3) 대표자와 감사의 책임 / 727
2. 외부감사인 관련 729
제3절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과 자체 평가 및 보고 731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 731
(1) 준거기준 / 731
(2)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요건 / 731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5가지 구성요소와 17가지 원칙 / 731
(4) 5가지 구성요소에 17가지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중점 고려사항과 통제 / 733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자체 평가 및 보고 734
(1) 평가 및 보고기준 / 73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미비점 / 735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자체 평가 및 보고 / 736
제4절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와 검토 742
1.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742
(1)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의 목적 / 742
(2)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의 전제조건 / 742
(3) 감사접근법 / 743
(4) 미비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 748
(5) 서면진술의 수령 / 750
(6) 감사의견의 형성 / 751
(7) 운영실태보고서에 대한 평가 / 756
(8) 감사보고서 / 758
2.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검토 765
(1) 검토목적과 인증대상 / 765
(2) 회사의 준거기준과 외부감사인의 업무수행기준 / 766
(3) 검토절차 / 766
(4) 검토의견과 검토보고서 / 767
(5) 검토보고서 사례 / 768

제4장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776
제1절 개요 776
1. 중간재무제표가 첨부된 분ㆍ반기보고서 제출대상 776
2. 분ㆍ반기보고서에 포함된 중간재무제표의 검토 776
3. 재무제표감사인의 중간재무제표 검토업무 수행기준 777
제2절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의 비교 778
1.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의 차이점 778
2.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 778
(1) 중요성의 설정기준 / 779
(2) 기업과 기업환경에 대한 이해 / 779
(3) 서면진술 / 779
(4) 검토의견의 종류 / 779
제3절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 782
1. 검토보고서 구성요소의 특징 782
2. 검토보고서 사례 78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