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핸즈온 해킹

핸즈온 해킹 침투 테스트의 전 과정을 알려주는 모의 해킹 완벽 가이드

  • 매슈히키,제니퍼아커리
  • |
  • 한빛미디어
  • |
  • 2021-09-27 출간
  • |
  • 776페이지
  • |
  • 183 X 235 mm
  • |
  • ISBN 9791162244746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0,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해커의 노림수와 최신 공격적 해킹 기법을 해부한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처럼, 완벽한 방어를 하기 위해선 공격자를 더욱 잘 알아야 한다.
현재 클라우드가 보편화되면서 어느 때보다 보안이 중요해졌고 해커들의 공격 기법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더 이상 단순한 방어로는 해커들의 공격을 완벽히 막을 수 없다. 이제는 해커처럼 생각하고, 진화하는 해커의 도구와 공격 기법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여러분이 상대할 악성 해커들의 사고방식과 사용하는 도구, 그리고 그들이 기
업에 침투해서 데이터를 훔쳐 가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지식은 양날의 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책이 가르치는 기술은 악성 해커들의 공격을 방어하려는 방어자에게 필요함과
동시에, 악성 해커에게도 악용될 수 있다. 이 책은 ‘잡히지 않는 방법’까지 알려주지는 않지만, 공격자가 대상 네트워크를 침해해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더 확실한 방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다.

해커의 생각, 해커가 사용하는 도구, 해커의 공격 기법을 직접 배워 더 완벽한 방어벽을 세우고 싶은 모두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대상 독자
● 정보 보안 담당자
● 화이트 해커 지망자
● 네트워크/시스템 관리자,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주요 내용
● 해킹의 이론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
● 조직 내에 해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자리잡았을 때 해커가 기업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
● 공격자와 방어자가 협력해서 보안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퍼플 팀 형성
●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지탱하는 프로토콜들과 그 결함
● 리눅스, 유닉스, 윈도우 해킹
● 웹 앱의 치명적 취약점 평가 및 악용
● 윤리적 해커의 사고방식과 전문적 해킹 과정


목차


제1장 기업에 해커가 필요한 이유
1.1 모든 컴퓨터는 망가졌다
1.2 위험 요소들
1.3 블루 팀, 레드 팀, 퍼플 팀
1.4 해킹은 기업 면역체계의 일부
1.5 요약

제2장 윤리적이고 합법적인 해킹
2.1 여러분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법규들
2.2 범죄적 해킹
2.3 우호적 해킹
2.4 법의 회색 지대
2.5 침투 테스트 방법론
2.6 권한 획득
2.7 책임 있는 공개
2.8 버그 현상금 프로그램
2.9 법적 조언과 지원
2.10 해커 하우스 행동 강령
2.11 요약

제3장 가상 해킹 환경 구축
3.1 해킹용 하드웨어
3.2 리눅스와 BSD
3.3 호스트 운영체제
3.4 다운로드 검사
3.5 디스크 암호화
3.6 필수 소프트웨어
3.7 VirtualBox 설정
3.8 VirtualBox의 게스트 확장
3.9 가상 환경 시험
3.10 취약한 해킹 대상 서버 만들기
3.11 요약

제4장 공개 출처 정보 수집
4.1 고객사에 OSINT 평가가 꼭 필요한가?
4.2 무엇을 찾는가?
4.3 어디서 찾는가?
4.4 OSINT 도구들
4.5 구글 검색으로 이메일 주소 얻기
4.6 구글 도킹(구글 해킹)
4.7 passwd 파일과 shadow 파일에 관한 간단한 소개
4.8 구글 해킹 데이터베이스
4.9 패스워드 유출과 Have I Been Pwned(HIBP)
4.10 OSINT 프레임워크 Recon-ng
4.11 Recon-ng의 내부
4.12 theHarvester를 이용한 웹 스크레이핑
4.13 문서 메타데이터
4.14 Maltego
4.15 SNS와 LinkedInt
4.16 Shodan
4.17 OSINT 방어
4.18 요약

제5장 DNS
5.1 DNS 해킹의 의미
5.2 DNS의 간략한 역사
5.3 DNS 위계구조
5.4 기본적인 DNS 질의
5.5 권한과 영역
5.6 DNS 자원 레코드
5.7 BIND9
5.8 DNS 해킹 도구 모음
5.9 호스트 찾기
5.10 Dig를 이용한 SOA 찾기
5.11 가상 이름 서버 해킹
5.12 Nmap을 이용한 포트 스캐닝
5.13 Dig를 이용한 정보 수집
5.14 정보 유출과 CHAOS
5.15 영역 전송 요청
5.16 정보 수집 도구들
5.17 취약점과 악용 기법 검색
5.18 DNS 트래픽 증폭
5.19 Metasploit
5.20 DoS 공격 실습
5.21 Metasploit를 이용한 DoS 공격
5.22 DNS 스푸핑
5.23 DNS 캐시 중독
5.24 DNS 캐시 스누핑
5.25 DNSSEC
5.26 퍼징
5.27 요약

제6장 이메일
6.1 이메일의 여정
6.2 메시지 헤더
6.3 배송 상태 알림(DSN)
6.4 SMTP
6.5 SPF와 메일 서버 등록제
6.6 메일 서버 스캐닝
6.7 메일 소프트웨어
6.8 핑거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나열
6.9 POP3에 대한 무차별 대입 공격
6.10 Nmap 스크립팅 엔진
6.11 CVE-2014-0160: 하트블리드 버그
6.12 CVE-2010-4345 취약점 악용
6.13 CVE-2017-7692의 악용
6.14 요약

제7장 웹 서버 취약점
7.1 월드와이드웹
7.2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7.3 URI와 URL
7.4 LAMP: 리눅스, 아파치, MySQL, PHP
7.5 웹 크롤러와 스파이더
7.6 웹 서버 해킹 도구 모음
7.7 웹 서버 포트 스캐닝
7.8 손으로 직접 짠 HTTP 요청 보내기
7.9 웹 취약점 스캐닝
7.10 숨겨진 웹 자원 추측
7.11 파일 업로드
7.12 HTTP 인증
7.13 CGI 공략
7.14 셸쇼크
7.15 SSL, TLS, 하트블리드
7.16 웹 관리용 인터페이스
7.17 웹 프록시
7.18 권한 상승
7.19 요약

제8장 가상 사설망(VPN)
8.1 VPN이란?
8.2 IPsec(인터넷 프로토콜 보안)
8.3 IKE(인터넷 키 교환)
8.4 TLS와 VPN
8.5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인증
8.6 NSA와 VPN
8.7 VPN 해킹 도구 모음
8.8 VPN 해킹 방법론
8.9 VPN 서버 포트 스캐닝
8.10 IKE-scan
8.11 OpenVPN
8.12 LDAP
8.13 OpenVPN과 셸쇼크
8.14 CVE-2017-5618 악용
8.15 요약

제9장 파일과 파일 공유
9.1 NAS란?
9.2 파일 접근 권한
9.3 NAS 해킹 도구 모음
9.4 파일 서버의 포트 스캐닝
9.5 FTP
9.6 TFTP
9.7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9.8 SMB 프로토콜
9.9 Rsync
9.10 NFS 프로토콜
9.11 NFS 권한 상승
9.12 유용한 파일 찾기
9.13 요약

제10장 유닉스
10.1 유닉스 시스템 관리
10.2 솔라리스
10.3 유닉스 해킹 도구 모음
10.4 솔라리스 포트 스캐닝
10.5 텔넷
10.6 SSH
10.7 RPC
10.8 R-services
10.9 SNMP
10.10 CUPS(공통 유닉스 인쇄 시스템)
10.11 X 윈도 시스템
10.12 Cron과 지역 파일
10.13 CDE(공통 데스크톱 환경)
10.14 요약

제11장 데이터베이스
11.1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11.2 SQL
11.3 사용자 정의 함수
11.4 데이터베이스 해킹 도구 모음
11.5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악용 방법
11.6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포트 스캐닝
11.7 MySQL
11.8 PostgreSQL
11.9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에서 탈출하기
11.10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1.11 MongoDB
11.12 Redis
11.13 데이터베이스를 경유한 권한 상승
11.14 요약

제12장 웹 앱
12.1 OWASP 10대 위험
12.2 웹 앱 해킹 도구 모음
12.3 웹 앱 서버의 포트 스캐닝
12.4 가로채기 프록시 활용
12.5 웹 앱 둘러보기 및 로그 분석
12.6 웹 크롤러 활용
12.7 진입점 찾기
12.8 웹 앱 취약점 스캐너
12.9 취약점 찾기
12.10 주입
12.11 취약한 인증
12.12 민감한 데이터 노출
12.13 XML 외부 개체 주입
12.14 취약한 접근 제어
12.15 잘못된 보안 설정
12.16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
12.17 안전하지 않은 역직렬화
12.18 알려진 취약점을 가진 구성요소 사용
12.19 불충분한 로그 기록과 감시
12.20 권한 상승
12.21 요약

제13장 Microsoft Windows
13.1 Windows 해킹이 리눅스 해킹과 다른 점
13.2 Windows VM 설정
13.3 Windows 해킹 도구 모음
13.4 Windows와 NSA
13.5 Windows Server 포트 스캐닝
13.6 Microsoft DNS
13.7 IIS 서비스
13.8 커버로스
13.9 황금 티켓
13.10 NetBIOS
13.11 LDAP
13.12 SMB
13.13 ETERNALBLUE
13.14 사용자 나열
13.15 Microsoft RPC
13.16 작업 스케줄러
13.17 원격 데스크톱
13.18 Windows 셸
13.19 PowerShell
13.20 Meterpreter
13.21 해시 덤핑
13.22 해시 전달
13.23 권한 상승
13.24 SYSTEM 권한 획득
13.25 그 밖의 페이로드 전달 방법들
13.26 Windows Defender 우회
13.27 요약

제14장 패스워드
14.1 해싱
14.2 패스워드 크래킹 도구 모음
14.3 해시 크래킹
14.4 해시 테이블과 무지개 테이블
14.5 소금 값 적용
14.6 /etc/shadow 크래킹
14.7 여러 해시 형식
14.8 유사 해싱
14.9 Microsoft 해시
14.10 패스워드 추측
14.11 크래킹의 예술
14.12 난수 발생기
14.13 요약

제15장 보고서 작성
15.1 침투 테스트 보고서란?
15.2 CVSS
15.3 보고서 작성 기술
15.4 침투 테스트 보고서 구성
15.5 경영진용 요약문
15.6 기술적 요약문
15.7 평가 결과
15.8 보충 정보
15.9 노트 작성
15.10 검수
15.11 보고서 제출
15.12 요약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