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백성욱 박사 문집 (양장)

백성욱 박사 문집 (양장)

  • 백성욱
  • |
  • 김영사
  • |
  • 2021-09-23 출간
  • |
  • 600페이지
  • |
  • 152 X 215 mm
  • |
  • ISBN 9788934979852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3,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논문·논설·시·에세이·서신·법문 등
이 시대의 큰 어른 백성욱 박사가 직접 쓴 글 모음집

한국인 최초 독일 철학박사 백성욱. 그의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 박사학위 논문인 〈불교순전철학〉을 포함하여, 그의 시·산문·수필 등 30여 편의 문학작품을 모은 〈평수잡조〉, 또 20대 청년 시절 퇴경 권상로와 주고받은 서신들과 만년에 후학들을 양성하면서 설한 법문까지 《불교》 《동광》 《여시》 《조선농민》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한 40여 편의 주옥같은 글을 모았다. 백성욱 박사의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던 시기의 견문과 사유, 독일 유학 시기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잃지 않았던 기개, 귀국 후 금강산 수도에 들어가기 전 문사로서 그리고 불교학인으로서 치열하게 활동했던 모습과 소회를 엿볼 수 있다.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조국 광복의 염원과 불교 대중화, 사회 재건에 대한 한결같은 그의 모습은 우리 시대 큰 어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 책은 《백성욱 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론문집》(동국대학교, 1959)을 토대로, 누락된 부분(〈불교순전철학〉)을 온전히 되살리고 새로 발굴한 16편의 글을 추가한 것이다. 백성욱 박사 특유의 문체를 최대한 살리면서 현대에 잘 쓰이지 않는 어휘 중 대체 가능한 것은 현대어로 수정하였으며, 대체하기 어려운 용어는 주석이나 괄호 안에 보충 설명을 추가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또한 각 글의 출처와 소장처를 밝힘으로써 원문을 찾아볼 수 있게 하였고, 백성욱 박사의 간략 연보를 추가하여 글이 쓰인 시점의 백성욱 박사의 행적을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백성욱 사상의 기초, ‘불교순전철학’

1924년 10월 《동아일보》에 실리고, 1925년 《불교》지에 7회에 걸쳐 전문(全文)이 실리기도 했던 백성욱의 독일 박사논문인 〈불교순전철학〉은 당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불교순전철학(佛敎純全哲學)’의 독일어 원문은 ‘Buddhistische Metaphysik’로, 현대어로 풀이하면 ‘불교 형이상학’을 의미한다. 백성욱 박사는 불교를 “실제 현실로부터 구해 얻은 진리를 각개의 주관이 아닌 객관적 견지에서 연구하는 의식 철학”이라고 규정하고, ‘붓다’를 진리의 주관, ‘다르마’를 진리의 객관이라고 하였다. 그는 남방불교(소승)와 북방불교(대승)에서 실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소승은 주관을 비우려 하나 객관에는 공포심을 극복하지 못하였지만, 대승은 주관과 객관이 모두 인간의 선입견과 망상에서 건립된 것이며 여기서 벗어나면 자유롭게 된다고 하였다. 그의 진리 탐구 방식인 인식론은 ‘긍정→부정→불긍정·불부정’이라는 논법을 따르고 있다. 이 논리 형식은 다섯 가지 심리학적 요건인 5온(五蘊) 위에 건립한 우리의 정신이 선입견과 오류를 버리고 객관적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런 형이상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진리의 주관인 붓다를 석가모니의 마음을 이어받은 ‘미륵존여래불’이라 보았고, 진리의 객관인 달마를 대표하는 경으로 《금강경》을 정하였다. 그의 철학 이론은 동아시아의 불교철학과 한국의 전통민족사상을 종합한 자신만의 독창적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철인들은 그들의 견지가 굉대한지라, 좀 유별한 논법을 사용하였다. 다만 유별하다는 이 논법도 자세히 관찰해보면 다른 것이 아니요, 앞서 증명해온 3단을 다른 형식으로 사용함에 불과하다. 이 형식은 긍정·부정, 불긍정·불부정이다. 예를 들면, ① 이 세계는 한계가 있다. ② 이 세계는 한계가 없다. ③ 이 세계는 한계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 여기에서 상대자는 아무 의심 없이 긍정하리라 한다.”_〈불교순전철학〉에서(p. 30-31)

‘붓다’의 자의(字義)는 ‘다르마’의 자의에 비해서는 얼마간 주관적 의미가 함재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랜 시간을 가로질러 칭호로 사용함에 이르렀다. 붓다를 ‘진리의 내재적 주관’의 의미로 사용한 것이니라. 그러므로 상대되는 다르마는 ‘진리의 내재적 객관’의 의미로 사용하였고, 진리라 할 때에는 다르마 하나만으로 족하였다. 그러므로 그를 ‘붓다’라 칭함은 그가 다르마를 잘 이해하기가 마치 다르마 중에 있는 주관이겠다 하는 생각이니라. _〈불교순전철학〉에서(p. 37-38)

백성욱의 실천철학, ‘삼지사회 조직론’

백성욱 박사는 대우주의 기본적 원칙과 인간의 기본적 원칙을 상관·연동시켜 그의 과학관과 수행 정신의 기본적 토대를 고찰한다. 〈대입소(大入小)의 일리(一里): 일모단(一毛端)에 현보왕찰(現寶王刹)〉 〈대우(大宇)와 인류의 생(生)적 준칙〉 〈‘나’에 대한 고찰〉 〈인류란 무엇인가〉 〈나의 신앙과 느낌〉 등에서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세계를 태양계 은하계와 같이 아주 거대한 대우주의 세계와 원자 전자와 같이 아주 미소한 소우주 세계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결국 두 개의 세계가 각각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로 회통하고 있다고 통찰한다. 그는 우주가 어느 차원에서나 하나의 중심을 놓고 궤도를 운행하며, 자기의 위치와 분수를 지키면 진화·향상하고, 그렇지 않으면 원자나 별이나 폭발한다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류 역시 정신생활·법률생활·경제생활의 세 궤도로 운행해왔는데, 이것이 백성욱 박사의 ‘삼지사회(三枝社會) 조직론’이다. 그런데 이 중 어느 하나가 독주하면 인류는 불행했다고 하였다. 절대적 신권으로 정신생활이 지배하던 고대 시대가 그러했고, 왕권의 전횡으로 법률생활이 지배하던 중세 시대가 그러했으며, 마르크스주의가 주장하는 경제 제일주의의 지배도 결국은 인류를 불행하게 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는 각 분야에서 우주의 일리(一理)를 찾아 인류 생활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불교순전철학’이 그의 기본 철학을 대표한다면, ‘삼지사회 조직론’은 이를 현대 생활에 응용한 실천철학이라 할 수 있다.

“조직이나 작용으로 보아서 원자의 소(小)나 태양계의 대(大)는 한 이치에서 축조되었느니라. 조직이나 작용으로 보아서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이론으로나 구체적이고 수학적인 이론으로나 대와 소를 한 이치라 하기에 어떠한 반대가 없느니라. 예를 들면, 원이 대로는 은하군의 궤도나 은하계의 궤도나 태양계의 궤도나 지구의 궤도나 달의 궤도 등이 있고, 소로는 분자의 궤도나 원자의 궤도나 전자의 궤도 등이 있다. 그러면 이 우주는 불변의 정리인 ‘대입소의 일리’라는 방식에 의하여 축조된 것인가 하노라. 즉 대소를 막론하고 우주의 만물은 일리의 방식으로부터 건축되었을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느니라.”_〈대입소의 일리〉에서(p. 194-195)

“사람이라는 것은 유사 이래로 세 가지 생활을 보존하여왔다. 즉 정신생활·법률생활·경제생활로, 어떤 때는 정신생활 아래 두 가지 생활이 발육력發育力을 잃어서 인류 생활의 부자연함을 만들었고(신권정치시대), 또 어떤 때는 경제생활이 정신·법률 생활을 지배하고자 함에 역시 불철저함을 만들었다(유물론적 사회주의). 현재 정치 분리·신앙 자유·세계경제표준·세계대동경제운동·경제기관(철도·우편·전신·전화) 등의 인민공유설 등은 현 제도의 부자연함을 설명하는 것인즉, 법률생활 아래 정신·경제생활이 발육력을 잃은 까닭이다.”_〈나의 신앙과 느낌〉에서(p. 197)

문학가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는 ‘평수잡조’

백성욱 박사의 감추어진 일면은 그의 시, 수필 등에서 잘 나타난다. 이것들은 그의 다정다감한 성격과 풍부한 정서, 정감 넘치는 문학가적 기질을 드러내는 문학적 사료로서, 인간 백성욱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평수잡조(萍水雜俎)〉라는 제하에는 1919년부터 1920년 사이 중국 상하이에 머물면서 쓴 그의 시와 수필들이 총망라되어 있다. 처음 등장하는 〈느낌〉과 〈낙조〉는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에 참여했을 시기에 쓴 시로, 20대 청년이 이국땅에서 느끼는 감상과 애수, 방황을 엿볼 수 있다.

“여기에 놓인 ‘평수잡조’라는 것은 개인적인 느낌의 글을 모은 것이다. 평탄한 경우와 지위에서 된 것은 물론, 극히 한적한 생활 속에서 지내다가 비상한 시기에서 비상한 사정으로 만반에 정신 바짝 차려 완전히 다른 극히 위험한 파란 속에 몸을 던져, 결국 시작과 끝이 전혀 보이지 않고 오직 망망한 무변해양(無邊海洋)에서 오르내림을 완전히 운명에다가 맡긴 처지에 된 것도 있다. _〈평수잡조〉 서언에서(p. 401)

무한한 공간/ 작은 유한 무한이/ 쌓고 또 쌓아/ 좋은 일감 감추니
조화는 시기(猜忌)/ 애꿎은 내 정신에/ 임을 못 보고/ 갈팡질팡하누나!
해는 뫼 넘어/ 제 몸 숨기고/ 달은 벽공(碧空)에/ 새 낯 보일 때
벽공의 기러기는/ 무심히 울고 가네! _〈느낌〉 전문(p. 403-404)

그 외에도 자연의 풍경을 매개로 인생을 관조하고 있는 〈추천귀안(秋天歸雁)〉 〈자연의 경(景)〉 〈프랑스공원에서의 하루〉 〈파상주(波上舟)〉 〈여름의 느낌〉 〈사람이 보는 미(美)는 우주의 공통이 아님〉 〈어느 날 공원에서〉, 그리고 번다한 생각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명월의 유영(留影)〉 〈인중자연(人中自然)의 발로(發露)〉 〈미(美)〉, 어떤 인물의 행동이나 현상을 관찰한 후 그에 대한 감상을 쓴 〈쫓긴 주인〉 〈미(美)의 차별〉 〈내 동무〉 〈어느 날 길가에서〉 〈나는 임의 살림〉 〈아우 찾는 소녀〉 〈어떻게 보아야 미(美)를 잘 보나〉, 가난하고 고단한 타국에서의 일상을 다룬 〈내 살림〉 〈가난을 중심으로 한 내외면〉, 나라를 빼앗긴 설움과 망명자의 애달픔을 그린 〈빼앗기 어려워라〉 〈우어(寓語)〉 〈생의 위협자〉, 젊은이다운 기개와 조국 건설에 대한 의지가 돋보이는 〈나의 느낌〉 〈내가 본 상하이 현황과 느낌〉 〈오늘 나의 느낌〉, 문학가적인 서정과 낭만이 넘치는 〈맹서(盟誓)〉 〈기다림〉 〈비 맞은 꽃〉 〈뜻 맞은 사랑〉 등이 수록되어 있다.

아, 오늘까지 이 세상 풍조에 놀란 그이, 이 대자연의 느낌으로 또 도움으로 무한한 무엇을 알았는가? 좋은 낯으로 고개를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는 모양, 보는 이도 또한 느낌이 없지 못하여라. (…) 어떤 이가 보아도 그는 만족해 보인다. 그는 그 자리로부터 쓰러졌다. 생각도 아니한 뿡뿡 소리는 거리로부터 나의 귓불에 울리고 찌을찌을 하는 소리는 내가 앉아 있는 저편 무선전신대에서 울린다. _〈프랑스공원에서의 하루〉에서(p. 412)

아직 나의 할 일을 다 마치지도 못하였는데, 사정 모르는 사람은 변소 문을 두드리면서 “플리즈”를 외친다. 그러나 나는 염치 불고하고 들어앉았는데, 약 한 삼 분씩 쉬었다가 다시 두드리기를 마지않는다. 참 딱한 지경이다. 그래서 나는 일어나기로 결심하였다. 밖에 있는 이가 여자의 음성인 까닭이다. 참으로 미안한 일이다. 나는 프랑스어를 모르니까 혹시 내가 여자 변소에 들어오지 아니하였는가 하는 의심도 하였다. _〈가난을 중심으로 한 내 외면〉에서(p. 455)

독일 유학 시절의 생활고를 보여주는 ‘서간’

프랑스와 독일로 건너간 백성욱 박사 앞에는 언어 문제는 물론 학업과 학위 문제가 가로막고 있었다. 특히 경제적인 궁핍으로 인한 고생은 소위 ‘죽느냐, 사느냐’의 단말마적 싸움이었다는 자기 고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곤궁한 처지마저 철학적 신념과 불교적 신앙으로 승화시키는 굳은 결의를 보여준다. 이는 당시 《불교》지의 발행인이었던 퇴경 권상로 선생에게 보낸 ‘서간’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당시 그가 고학생으로서 얼마나 가난했고, 또 그 무서운 가난을 통해 배운 것이 무엇인가를 읽어감으로써 광복 후 조국에서의 의욕적인 활동과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했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집주인에게는 벌써 지난 9월부터 경고를 당하여 차차 지불하겠다고 연기해왔지만, 오는 11월 1일부터는 쫓겨날 예정이올시다. 올해 3월부터 오늘까지 식비와 방세를 주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득불 노동할 곳을 구해야겠는데, 역시 외국인이라 참으로 쉽지 아니하더이다. 그러나 여하간 오는 11월 1일에 이 도시를 떠나게 될 것은 사실이올시다. 그러나 어떤 곳으로 갈지는 미정이고 또 스스로 가지 못합니다. 집주인으로부터 소송을 당하면 감옥에 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_〈백성욱의 서신 몇 절2〉에서(p. 560)

“이곳은 독일의 일부로 현재는 국제연맹 위임 통치하에 있는 지방이올시다. 이곳의 시설이나 조직은 시대 양심을 조사하기에 좋은 대상이 되므로 역시 좋은 느낌을 가집니다. 역시 사회연구에 좋은 취미를 줍니다. 또 매일 광부들과 접하므로, ‘19세기 이래로 생긴 모든 사회주의는 어찌하여서 생길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문제를 책으로 연구하던 저는 현장에서 조사하고 느끼고 비평할 기회를 얻습니다.” _〈백성욱의 서신 몇 절2〉에서(p. 564)

수행에 들어가기 전의 결심

이 외에도 단신 수도를 위해 금강산 안양암으로 들어갈 즈음에 쓰인 글들인 〈10년 후 다시 자연경을 찾아서〉 〈남순(南巡)하였던 이야기〉 〈오만보살찬앙회가 발기함을 듣고〉 등이 있다. 특히 1929년 오대산 상원사 적멸보궁에 들어가기 전 소회를 밝힌 〈다시 적멸궁을 찾아가면서〉에는 백성욱 박사가 그간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그동안의 사회적 지위와 명성을 버리고 앞으로 불교수행자로서의 삶을 살아갈 것을 굳게 다짐하고 있다. 이후 10년간의 수행 기간을 미루어볼 때, 한 글자 한 글자마다 꾹꾹 담은 그의 절절한 통회와 진정 어린 결심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석가모니가 왕족의 삶의 버리고 수행의 삶을 결심한 장면이 떠오르는 것은 그의 삶의 여정을 더듬어볼 때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번 길에 내가 다시 살아온다면, 무슨 짓을 하거나 무슨 행동으로 세상을 대하거나, 그는 결코 시방 적멸보궁을 찾아가는 빈약하고 더러운 위선자인, 좋은 동기면서도 죄악의 결과만을 가져오는 무호산방은 아닐 것이다. 그는 적어도 부처님의 사명으로 중생을 제도하고자 오는 환주장엄(幻住莊嚴)의 인물일 것이다. 무호산방은 그의 죄악을 참회하고 그의 환구(幻軀)를 해탈하였으리라. 또 반드시 그리해야 할 것이다.”_〈다시 적멸궁을 찾아가면서〉에서(p. 502)

학술적·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

백성욱 박사가 활발히 집필하던 시기는 우리 민족의 뼈아픈 시기인 1919년부터 1930년까지 약 12년간이다. 이 책에서 백성욱 박사가 만년에 남긴 설법문 〈모든 것을 부처님께 바쳐라〉 〈《금강경》 총설〉과 인터뷰 내용을 정종 교수가 정리한 글인 〈‘나’를 발견하는 길〉을 제외하면 모두가 이때 쓰인 글이다. 따라서 이 책은 백성욱 박사의 삶과 정신을 누군가의 해석을 기대지 않고 날것 그대로 연구할 수 있는 학술적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적 상황이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충분하다. 백성욱 박사가 〈불교순전철학〉 서언에서 밝혔듯, 이 책이 백성욱 박사를 연구하고 그의 뜻을 이어가고자 하는 많은 이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독자들에게 바친다.

“세계인들은 보통 불교가 철학이거니 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동서양을 막론하고 ‘불교철학의 주관(主觀)’ 방향으로는 한 권의 책을 두지 못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현황들은 저자로 하여금 없는 능력과 용기를 내어서 소임을 맡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붓을 들 당시 공구천만(恐懼千萬)이었던 것은 졸재(拙才)가 소임을 맡음에 의하였지만, 이것이 훗날 이 방면의 영재에게 염심(念心)을 증장시켜서 완전한 저술을 탄생시키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이 글을 쓰게 하였습니다. _〈불교순전철학〉에서(p. 14-15)


목차


1 논설(論說)
불교순전철학
1. 서분(序分)
역사적 개념과 불교순전철학 | 관념 | 논리
2. 정종분(正宗分)
붓다 | 다르마
사키아무니와 그 후계자
부자연스러운 사회 | 현실을 타개하고자 하는 노력 | 싯다르타의 탄생 | 싯다르타의 출가 | 싯다르타의 수행 | 싯다르타의 깨달음 | 샤키아무니의 고통과 그를 향한 결집 | 구세주가 된 샤키아무니와 그의 최후 | 두 가지 우주창조설 | 샤키아무니의 우주관 | 인류가 방황하는 이유 | 천상천하 유아독존 | 샤키아무니의 여성관 | 샤키아무니의 윤리관 | 샤키아무니의 법률관 | 샤키아무니의 교육관 | 세계로 나간 불교 | 대승불교의 탄생 | 대승불교의 완성 | 나오며
샤키아무니
두 가지 우주창조설 | 샤키아무니의 우주관 | 신우주관을 요구하였던 인도 사회 | 싯다르타의 탄생과 출가 | 싯다르타의 난관과 깨달음 | 불교의 전파
유사 이래로 철학상에 문제되는 지사(智砂)와 조금술(造金術)은 금일에야 해결할 수 있을까
개관 | 조금술의 역사 | 조금술의 현재
대입소(大入小)의 일리(一里): 일모단(一毛端)에 현보왕찰(現寶王刹)
‘대입소의 일리’의 출현 | 반도의 ‘대입소의 일리’ | 지구, 달, 태양 | 태양계, 은하계, 은하군 | 분자와 원자 | 원자의 조직 방식과 운동 | 분자의 운동 | 공기 | 전기장과 자기장 | ‘일모단 현보왕찰 미진리 전대법륜’의 의미 | 법률생활 | 경제생활 | 정신생활 | 가정의 성립 | 미적 취미 | 정신과 육체가 조화되어 행하는 사랑
대우(大宇)와 인류의 생(生)적 준칙
‘나’란 무엇일까
시작하며 | 나는 나를 위해 사는가 | 무가치한 생활 | 한인의 자아실현 방식 | 서구인의 자아실현 방식 | 주신족의 자아실현 방식 | 마치며
‘나’에 대한 고찰
3독심 | 9상차제 | 5종계 | 6도윤회 | 절대 능력의 실현
자아의 인식으로 자아의 독립에
인류란 무엇인가
나의 신앙과 느낌
우리의 신앙은 어떠한가
근래 불교운동에 대하여
세계로 나아간 불교의 도정 | 서양의 불교운동 | 동양의 불교운동 | 조선의 불교운동
역경(譯經)의 필요성
현대적 불교를 건설하려면
현황 | 도승 | 교육 | 포교 | 비구니 | 학사원 | 제적 | 시험 | 경제
우리의 건설에 대하여
현재 네팔에는 무엇이 있나
곤륜산 절정에는 무엇이 있나
아미타 화신인 타시 라마
유럽인의 안목에 나타난 인도인의 동물숭배와 반도불교
정계에 몸을 던진 인도의 여류 시인

2 수상(隨想)
평수잡조(萍水雜俎)
1. 느낌
2. 낙조(落照)
3. 추천귀안(秋天歸雁)
4. 명월(明月)의 유영(留影)
5. 자연의 경(景)
6. 인중자연(人中自然)의 발로(發露)
7. 나의 느낌
8. 프랑스공원에서의 하루
9. 맹서(盟誓)
10. 빼앗기 어려워라
11. 우어(寓語)
12. 기다림
13. 내 살림
14. 뜻 맞은 사랑
15. 파상주(波上舟)
16. 오늘 나의 느낌
17. 비 맞은 꽃
18. 여름의 느낌
19. 내가 본 상하이 현황과 느낌
20. 미(美)의 차별
21. 생(生)의 위협자
22. 내 동무
23. 미(美)
24. 어느 날 공원에서
25. 쫓긴 주인
26. 가난을 중심으로 한 내외면
27. 어느 날 길가에서
28. 아우 찾는 소녀
29. 어떻게 보아야 미(美)를 잘 보나
30. 사람이 보는 미(美)는 우주의 공통이 아님
31. 나는 임의 살림
10년 후에 다시 자연경을 찾아서
남순(南巡)하였던 이야기
다시 적멸궁을 찾아가면서
오만보살찬앙회가 발기함을 듣고
베를린 불교원 방문기
동지에게
학인연맹의 기대
만일 내가 다시 20살의 청년이 될 수 있다 하면
과거 몇십 년간의 준비기: 앞으로의 불교
앞으로의 조선, 희망의 횃불
각계각인 신년에 하고 싶은 말
축 ‘불교’의 종연생(從緣生)
‘나’를 발견하는 길

3 서간(書簡)
백성욱의 서신 몇 절1
백성욱의 서신 몇 절2

4 설법(說法)
모든 것을 부처님께 바쳐라
《금강경》 총설

게재 순서로 본 출처
최초 게재된 원문 찾아보기
백성욱 박사 연보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