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단순하게 소박하게

단순하게 소박하게

  • 전충진
  • |
  • 나남출판사
  • |
  • 2021-07-30 출간
  • |
  • 344페이지
  • |
  • 140 X 205 mm
  • |
  • ISBN 9791197467370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문명을 거부한 어느 수행자의 이야기
“부귀하면 뭇사람이 우러러보고, 청빈하면 자식마저 멀어진다.” 보우 선사(普雨 禪師)의 말처럼, 누구나 부유하고 안락한 삶을 꿈꾸며 하루를 아등바등 살아간다. 그럼에도, 혹은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대기업을 창업한 부호가 아니라 물욕 없이 정진하는 종교인 앞에서 고개를 숙인다. 성철 스님이 그랬고, 김수환 추기경님이 그랬다. 욕망을 추구하는 도시생활에 지친 사람들 눈에는 수행자의 삶이 한 폭의 ‘몽유도원도’로 비치는 것이 아닐까? 한 군데쯤은 마음속에 간직하여 때로 그리워하고, 때로 위안을 얻을 곳을 구하는 것이다.
여기 한 수행자의 이야기가 있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오지에 들어앉아 낮에는 지게 지고 농사짓고, 달 뜨는 밤이면 선시(禪詩)를 펼치고, 벼루에 먹을 갈아 글을 쓰는 생활을 하는 육잠(六岑) 스님의 삶이다. 22년간 기자생활을 한 언론인이자 1년간 ‘독도 상주기자’로 활동한 독도 전문가인 저자는 20년 넘게 교유해 온 육잠(六岑) 스님의 ‘없는 대로 불편한 대로’ 사는 삶을 세상에 소개한다. 10년을 설득한 끝에 스님의 글씨, 서화, 사진 등도 함께 선보였다.

없는 대로, 불편한 대로 담박한 일상
1982년 속리산 복천선원으로 출가하여 해광(海光)이라는 법명을 받은 육잠 스님은 1991년 조그마한 절의 주지 자리를 벗어 버리고 전기도 전화도 없는 거창 가북 골짜기 산속으로 들어갔다. 편한 것만 찾는 물질문명에 거리를 두고 수련하고자 ‘두곡산방(杜哭山房)’이란 토굴을 직접 짓고 깊은 산속에 자리한 것이다. 이곳에서 스님의 생활은 담박(澹泊)한 일상 그 자체이다. 산방을 찾은 이라면 누구든 직접 딴 산야초를 말린 세상에서 하나뿐인 차를 나누고, 인연을 맺은 이들에게는 전화 대신 서화를 그려 직접 만든 편지지, 편지봉투로 안부를 전한다. 물론 수행자로서의 정진에도 치열하다. 자신이 죽고 난 후 화장에 쓸 나무인 ‘다비목(茶毘木)’을 직접 준비하며 ‘오늘이 내 생의 마지막 날’이라는 각오로 하루를 보낸다.
20여 년 전 단골 찻집 주인의 안내로 처음 육잠 스님의 두곡산방을 찾은 저자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자연 속에 묻혀 숲의 기미에 귀 기울이며 자족(自足)하는 스님의 나날은 좀더 큰 것, 좀더 높은 곳, 좀더 편한 것에만 정신이 팔려 있던 저자에게 어깨를 내리치는 죽비(竹?)와도 같았다. 이후 스님과 함께한 시간들을 통해 저자는 도시생활 속에서 갖게 된 욕망과 악착스런 마음에서 조금씩 풀려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래서 글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이러한 치유의 시간을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자 마음먹었다.

사라진 꿈속의 덕동마을을 기억하며
안타깝게도 육잠 스님은 2012년 거처를 이 책의 무대이자 처음 산중 생활을 시작한 경남 거창 덕동마을에서 경북 영양으로 옮겼다. 스님이 떠날 당시, 덕동마을은 집 주인들이 몇 차례 손바꿈하면서 급속히 황폐하기 시작했다. 어느 하루, 헛간채가 뜯기고 시멘트 블록 건물이 들어섰으며, 또 하루는 요란한 엔진톱 소리가 난 후 울창하던 앞산 낙엽송 숲이 민둥산으로 변해 버렸다. 숲과 사람이 공존하지 않는 덕동은 더 이상 덕동이 아니었다. 그 참상을 지켜보던 육잠 스님은 덕동마을과는 인연이 다했다면서 바랑을 챙겼다. 비록 지금은 옛 주인도 떠나 버리고 옛 정취도 사라졌지만, 그 시절의 소쇄한 아름다움만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세상 사람들에게 ‘꿈속의 꿈’이나마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저자는 두곡산방을 지면으로 남기고자 하였다.
육잠 스님은 경북 영양에 또 다른 두곡산방을 지어 지금도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지켜 나간다. 2020년 설 특집으로 방영된 EBS 〈한국기행〉 ‘그 겨울의 산사’ 편을 통해 경북 영양 두곡산방의 현재 모습을 볼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4

들어가는 글 9
덕동마을 16
바랑을 풀기까지 24
전기가 없는 마을 30
주추를 놓고 36
두곡산방 43
찻물을 우리며 48
골청 54
지게도인 59
생멸이 함께하는 곳 68
돌담 74
산방 옥수 82
해우소 87
스님의 손재주 92
산방 향기 100
손 처사네 105
와운굴 112
와운굴서 하룻밤 120
배꽃사태 126
야생초 화원 131
두 그루 나무 141
다비목 149
덕구 155
스님과 소 160
두꺼비 한 마리 168
새벽 산방 175
하루 두 끼 181
자루엔 쌀 석 되 190
반일정좌 반일독서 197
산창 아래 먹을 갈며 204
스님과 시인 212
시비 세우던 날 220
산중 소식 228
산중 도반들 236
내촌리 사람들 243
군불을 들이며 248
겨울 산방 254
다시 구들을 놓고 262
만행 268
나를 찾아가는 길 277
스님의 옷 284
바느질을 하며 291
달밤 콩밭을 매며 297
똥탑 305
더불어 사는 삶 311
스님의 휴대전화 319
전시회 324
생명불식 331

나오는 글 338
저자 약력 34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