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유가사지론 2

유가사지론 2

  • 신현승(역주)
  • |
  • 묘광
  • |
  • 2021-06-27 출간
  • |
  • 494페이지
  • |
  • 158 X 230 X 31 mm /834g
  • |
  • ISBN 9791197168116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ㆍ5
일러두기ㆍ11
제 4 삼마히다지三
1. 한꺼번에 제시함總標ㆍ29 [논 제11권]
2. 설명安立ㆍ31
2.1 이생희락離生喜樂ㆍ31
2.2 덮개蓋ㆍ33
2.3 갖추는 세목들支分ㆍ42
2.4 선정의 이름定名ㆍ43
2.4.1 증상심ㆍ44
2.4.2 현법낙주現法樂住ㆍ44
2.4.3 부분열반彼分涅槃구별열반差別涅槃ㆍ45
2.4.4 모든 느끼는 일에서 벗어남出諸受事ㆍ46
⑴ 다섯 가지 뿌리에서 벗어남ㆍ46
⑵ 다섯 가지 순출리영역ㆍ49
⑶ 여섯 가지 순출리영역ㆍ52
⑷ 네 가지 의지四依ㆍ54
3. 의도구별作意差別과 모습구별相差別ㆍ56
3.1 의도作意의 구별ㆍ56
3.1.1 근본의도根本作意ㆍ56
3.1.2 마흔 가지 의도作意ㆍ57
(1) 대상을 중심으로 한 의도ㆍ58
(2) 수행의 의도와 수행하지 않는 의도ㆍ58
(3) 번뇌를 중심으로 한 의도ㆍ59
(4) 가득찬 소연의 의도ㆍ59
(5) 지관止觀을 중심으로 한 의도ㆍ60
⑹ 번뇌 끊는 것을 중심으로 한 의도ㆍ61
⑺ 삼승三乘과 부처님의 의도ㆍ62
3.1.3 근본의도와 마흔 가지 의도의 관계ㆍ63
3.2 모습相의 구별ㆍ66
3.2.1 근본 네 가지 모습根本四相ㆍ66
3.2.2 서른두 가지 모습相ㆍ68
(1) 자심상自心相·외상外相·소의상所依相·소행상所行相ㆍ69
(2) 작의상作意相·심기상心起相·안주상安住相ㆍ70
(3) 자상상自相相·공상상共相相·추상·정상靜相ㆍ71
(4) 영납상領納相·분별상分別相·구행상ㆍ71
(5) 오염상染汚相·불오염상不染汚相 ㆍ71
(6) 정방편상正方便相·사방편상邪方便相ㆍ72
(7) 광명상光明相·관찰상觀察相·현선정상賢善定相ㆍ73
(8) 지상止相·거상擧相·관상觀相·사상捨相ㆍ73
(9) 입정상入定相·주정상住定相·출정상出定相ㆍ74
(10) 증상·멸상減相·방편상方便相·인발상引發相ㆍ74
3.2.3 근본모습과 서른두 가지 모습의 관계ㆍ75
3.3 정려 등의 여러 가지 특성ㆍ75 [논 제12권]
4. 모든 경의 핵심을 포함함攝諸經宗要ㆍ83
4.1 해탈ㆍ83
4.1.1 팔해탈ㆍ83
4.1.2 승처勝處ㆍ86
4.1.3 변처遍處ㆍ87
4.2 삼마지三摩地ㆍ89
4.2.1 세 삼마지ㆍ89
4.2.2 유심유사有尋有伺삼마지 등ㆍ93
4.2.3 소小·대大·무량無量삼마지ㆍ93
4.2.4 일분수一分修·구분수具分修삼마지ㆍ98
4.2.5 희구행·낙구행·사구행삼마지ㆍ100
4.2.6 수정修定ㆍ100
4.2.7 성지聖智삼마지ㆍ101
4.2.8 성오지聖五支삼마지ㆍ103
4.2.9 유인유구성정有因有具聖正삼마지ㆍ106
4.2.10 금강유金剛喩삼마지ㆍ109
4.3 삼마발저三摩鉢底ㆍ109
4.3.1 현견現見삼마발저ㆍ109
4.3.2 승처勝處삼마발저·변처遍處삼마발저ㆍ111
4.3.3 무상無想삼마발저ㆍ111
4.3.4 멸진滅盡삼마발저ㆍ112
5. 여러 가지 의미衆雜義ㆍ115 [논 제13권]
5. 1 경經의 인용ㆍ115
5.1.1 지관止觀ㆍ115
5.1.2 무량無量·상위常委·정념ㆍ116
5.1.3 등지等持와 등지等至에 정교함ㆍ117
5.1.4 정려수행의 전도와 전도되지 않음ㆍ122
5.1.5 삼마지의 검행ㆍ125
5.1.6 무상無想ㆍ126
5.1.7 수행과정으로 나아감ㆍ128
5.1.8 깨끗함이 뛰어남ㆍ129
5.1.9 심사尋思의 제어ㆍ131
5.1.10 정련ㆍ132
5.1.11 의도와 사유ㆍ133
5.2 정법에 의한 부처님 가르침의 지님ㆍ134
제 5 비삼마히다지
제 6 유심지有心地와 무심지無心地
제 7 문소성지聞所成地
1. 내명처: 불교ㆍ147
1.1 일事ㆍ147
1.2 개념의 구별想差別ㆍ148
1.2.1 첫째 요약ㆍ148
(1) 구절ㆍ148
(2) 미혹·희론ㆍ153
(3) 머무름·진실·깨끗함·훌륭함妙ㆍ153
(4) 고요·본성·이치ㆍ153
(5) 임시 설명·현관現觀ㆍ154
1.2.2 둘째 요약ㆍ154
1.2.3 셋째 요약ㆍ156
(1) 생각하여 선택함思擇ㆍ156
(2) 현행·수면·서로 속함相屬ㆍ159
(3) 포함됨·관련함相應ㆍ159
(4) 설명·맡아지님·차례ㆍ160
1.2.4 넷째 요약ㆍ161
(1) 할 것·대상ㆍ162
(2) 유가瑜伽·고요함止·살핌觀ㆍ162
(3) 의도作意·교수 ㆍ163
(4) 능력·깨달음·성스러운 가르침ㆍ164
1.3 성스러운 가르침의 의미ㆍ164
1.4 부처님의 가르침인 알아야 할 것ㆍ165
1.4.1 유정有情의 머묾ㆍ165
1.4.2 두 가지인 경우ㆍ166
(1) 인식取·물듦·바람ㆍ166
(2) 상위교계相違敎誡·무치無恥·무도無倒ㆍ167
(3) 이득·원인과 조건·신통지혜ㆍ167
(4) 안락·무쟁無諍·범행梵行ㆍ168
(5) 괴로움 뛰어넘기·끊음 수행ㆍ169
(6) 선품수행·비뚠 배움과 견해ㆍ169
(7) 현관現觀들기·이구범행離垢梵行ㆍ170
(8) 뛰어난 능력·깨끗함·경험하기證ㆍ170
1.4.3 세 가지인 경우ㆍ171 [논 제14권]
(1) 삼문三門·삼종三種·삼근三根ㆍ171
(2) 보호 못함·부정심사不正尋思ㆍ172
(3) 종자·유루법의 원인·번뇌취煩惱趣·업지음ㆍ173
(4) 제행세력·무명온無明蘊·재난ㆍ174
(5) 몸身分·괴로움·높임ㆍ175
(6) 제행종자·삼세三世·색법色法ㆍ176
(7) 마음·청법자聽法者·살핌觀·존경할 이ㆍ177
(8) 정인定因과 부정인不定因·죄를 들춤·삼불호三不護ㆍ178
(9) 소뇌燒惱·불火·증상생增上生·욕망欲ㆍ179
(10) 정려의 희락·벗어남·묶임縛ㆍ180
(11) 관행觀行에 할 일·삼안三眼·번뇌 없앰ㆍ180
(12) 가르침과 지도·선정定·심일경성心一境性ㆍ181
(13) 처處·깨끗함·모니牟尼ㆍ182
(14) 부끄러움과 애경·최고의 것·삼명三明ㆍ183
1.4.4 네 가지인 경우ㆍ185
(1) 사념주四念住와 대상영역·묶임縛·사정단四正斷ㆍ185
(2) 심주心住ㆍ186
(3) 진실·희론에 묶임ㆍ186
(4) 사무량심四無量心·무색계·애착 끊음·번뇌 끊음ㆍ187
(5) 예류지預流支·지혜智ㆍ188
(6) 사성제四聖諦의 지혜·번뇌 끊는 방법·교법 통달ㆍ189
(7) 사온四蘊·보호·정견正見·작용行ㆍ190
(8) 사계四界·사식四食·사식주四識住·애착ㆍ191
(9) 탐·진·포·무명貪瞋怖無明·기론記論·혜사惠捨ㆍ192
(10) 사섭四攝·생문生門·죽음ㆍ194
(11) 청정도·증상심학·업상業相ㆍ194
(12) 근무勤務·화합문和合門ㆍ196
(13) 보특가라補特伽羅ㆍ196
(14) 말의 잘못·거짓말妄語ㆍ197
1.4.5 다섯 가지인 경우ㆍ198
(1) 행취行聚·애착경계·이숙異熟·인색ㆍ198
(2) 오개五蓋·오하분결五下分結·오상분결五上分結ㆍ199
(3) 받아지님·정진의 장애ㆍ201
(4) 비뚠 실천과 결과·고민ㆍ201
(5) 아라한·다스림 대상·다스리는 모습ㆍ202
(6) 심해탈·관행觀行하는 이ㆍ204
(7) 불환과不還果·궁극까지 결정짓는 모습ㆍ205
1.4.6 여섯 가지인 경우ㆍ206
(1) 유정의 육상六相·경멸·탐진치의 의지처ㆍ206
(2) 육항주六恒住·육계六界·최고 다스림ㆍ208
(3) 다툼의 근본·위력과 궁극ㆍ210
(4) 제현관諦現觀의 장애ㆍ210
(5) 육수념六隨念·큰 스승을 따름ㆍ211
(6) 마음의 결박·업業ㆍ212
1.4.7 일곱 가지인 경우ㆍ213
(1) 칠각지七覺支·보특가라ㆍ213
(2) 팔성도八聖道중 일곱 가지·성재聖財ㆍ214
(3) 마라의 호림魔惑·쇠하여 줄어듦ㆍ215
(4) 열반ㆍ216
(5) 칠식주七識住ㆍ217
(6) 추중·악설의 잘못ㆍ218
(7) 칠멸쟁법七滅諍法ㆍ220
1.4.8 여덟 가지인 경우ㆍ221 [논 제15권]
(1) 팔지성도八支聖道·사향四向사과四果ㆍ221
(2) 보시의 모습ㆍ221
(3) 게으름ㆍ222
(4) 사랑스러운 생겨남·사중四衆ㆍ223
(5) 팔법八法·승해勝解·삼마지三摩地ㆍ224
1.4.9 아홉 가지인 경우ㆍ226
1.4.10 열 가지인 경우ㆍ227
2. 의방명처醫方明處: 의약학ㆍ228
3. 인명처因明處: 불교논리학ㆍ228
3.1 이론의 체성論體性ㆍ229
3.2 이론의 처소論處所ㆍ232
3.3 이론의 근거論所依ㆍ232
3.3.1 성립되는 의미所立義ㆍ232
3.3.2 성립시키는 존재能立法ㆍ233
(1) 주장을 성립시킴立宗ㆍ233
(2) 이유를 가림辯因ㆍ234
(3) 비유를 듦引喩ㆍ234
(4) 같은 종류同類ㆍ234
(5) 다른 종류異類ㆍ235
(6) 직각現量ㆍ235
(7) 추리比量ㆍ241
(8)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헤아림ㆍ246
3.4 이론의 장식論莊嚴ㆍ250
3.4.1 자타의 주장宗을 앎ㆍ251
3.4.2 말의 완성言圓滿ㆍ251
3.4.3 두려움 없음無畏ㆍ252
3.4.4 성실하고 정중함敦肅ㆍ253
3.4.5 공양받을 만함應供ㆍ253
3.4.6 공덕ㆍ253
3.5 이론의 패배論墮負ㆍ255
3.5.1 말의 포기捨言ㆍ255
3.5.2 말의 굴복言屈ㆍ256
3.5.3 말의 잘못言過ㆍ257
3.6 이론의 외적인 조건論出離ㆍ259
3.6.1 득실得失의 관찰ㆍ259
3.6.2 대중時衆의 관찰ㆍ260
3.6.3 정교함의 관찰ㆍ260
3.7 이론을 많이 짓는 이치論多所作法ㆍ261
4. 성명처聲明處: 문법ㆍ262
4.1 존재法ㆍ263
4.2 의미義ㆍ263
4.3 보특가라補特伽羅ㆍ264
4.4 시기時ㆍ265
4.5 수효數ㆍ265
4.6 처소處所와 뿌리根栽ㆍ265
5. 공업명처工業明處: 기술ㆍ266
제 8 사소성지思所成地
1. 본성의 청정自ㆍ269 [논 제16권]
2. 알아야 할 대상을 생각하여 선택함所知思擇ㆍ270
2.1 있음의 존재有法ㆍ270
2.1.1 고유한 모습自相으로서의 유법ㆍ270
2.1.2 공통된 모습共相으로서의 유법ㆍ272
2.1.3 임시의 모습假相으로서의 유법ㆍ273
2.1.4 원인의 모습因相으로서의 유법ㆍ277
2.1.5 결과의 모습果相으로서의 유법ㆍ279
2.2 없음의 존재無法ㆍ279
2.3 있는 성질有性과 없는 성질無性ㆍ280
2.3.1 있는 성질有性ㆍ280
2.3.2 없는 성질無性ㆍ281
3. 모든 존재를 생각하여 선택함諸法思擇ㆍ281
3.1 뛰어난 의미의 가타勝義伽他ㆍ282
3.1.1 가타ㆍ282
3.1.2 가타에 대한 상세한 해설ㆍ291
3.2 배우는 뜻이 나아가는 의미의 가타意趣義伽他ㆍ302
3.2.1 가타ㆍ302
3.2.2 가타에 대한 상세한 해설ㆍ312 [논 제17권]
3.3 체의 의미의 가타體義伽他ㆍ329
3.3.1 악함惡ㆍ329
3.3.2 말說ㆍ332
3.3.3. 탐냄貪ㆍ341
3.3.4 폭류暴流ㆍ346
3.3.5 두려움怖ㆍ354
3.3.6 종류類ㆍ358 [논 제18권]
3.3.7 명예譽ㆍ362
3.3.8 연못池ㆍ364
3.3.9 물결流ㆍ366
3.3.10 탐냄貪ㆍ371
3.3.11 지음作ㆍ376
3.3.12 애씀ㆍ379
3.3.13 의미를 이룸得意ㆍ382
3.3.14 논의함論議ㆍ385 [논 제19권]
제 9 수소성지修所成地
1. 생겨나기가 완성됨生圓滿ㆍ447 [논 제20권]
1.1 생겨나기가 완성됨: 안으로ㆍ447
1.2 생겨나기가 완성됨: 밖으로ㆍ450
2. 바른 교법을 듣는 것이 완성됨ㆍ452
3. 열반涅槃을 첫째로 함ㆍ453
4. 해탈에 익숙한 지혜의 성숙ㆍ456
5. 번뇌 다스림對治의 수행ㆍ458
5.1 세 단계의 다스림 대상ㆍ458
5.1.1 가정에 머무르는 단계ㆍ458
5.1.2 출가한 단계ㆍ459
5.1.3 멀리 떨어져 수행하는 단계ㆍ460
5.2 부정상不淨想의 다스림 대상ㆍ460
5.2.1 사택력思擇力에 속하는 것ㆍ461
5.2.2 수습력修習力에 속하는 것ㆍ461
5.3 고상苦想의 다스림 대상ㆍ462
5.4 광명상光明想의 다스림 대상ㆍ463
5.4.1 사소성혜思所成慧ㆍ464
5.4.2 수소성혜修所成慧ㆍ464
6. 세상世間의 모든 종류에 청정함ㆍ466
6.1 삼마지를 이룸ㆍ466
6.2 삼마지의 완성圓滿ㆍ468
6.3 삼마지三摩地에 자유로움自在ㆍ470
6.3.1 첫째 처소에서 살필 다섯 가지ㆍ471
6.3.2 둘째 처소에서 살필 다섯 가지ㆍ471
6.3.3 셋째 처소에서 살필 다섯 가지ㆍ472
6.3.4 넷째 처소에서 살필 일곱 가지ㆍ473
6.3.5 스물두 가지 모습을 살필 때의 결과ㆍ473
7. 세상을 벗어난出世間 모든 종류에 청정함ㆍ476
7.1 성제현관聖諦現觀에 듦ㆍ476
7.1.1 스무 가지 모습의 의도와 사유ㆍ477
7.1.2 다섯 가지 원인五因ㆍ480
(1) 통달하려는 의도通達作意ㆍ480
(2) 의지할 대상所依ㆍ481
(3) 대상영역境界에 드는 부문ㆍ482
(4) 식량 챙기기資糧攝受ㆍ482
(5) 수행방법方便ㆍ483
7.2 모든 장애에서 떠남ㆍ484
7.2.1 장애의 종류ㆍ484
7.2.2 장애를 멀리하게 하는 원인과 조건ㆍ486
7.3 기쁜 대상을 의도하여 사유함ㆍ488
7.4 이룩한 과정대로 수행함ㆍ489
7.5 청정한 과정과 공덕ㆍ49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