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친환경 전기동력자동차

친환경 전기동력자동차

  • 김재휘
  • |
  • 골든벨
  • |
  • 2021-07-05 출간
  • |
  • 464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91158065287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29,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친환경 전기동력 자동차 일반
1-1. 용어 정의
1. KS R 0121(도로차량-하이브리드 자동차 용어)에 따른 분류
2. SAE 1715의 자동차 동력원 용어 정의
1-2 친환경 전기동력 자동차의 역사
1. 전기기계(EM; Electric Machine)의 개발
2. 축전지 전기자동차(BEV)의 역사
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역사
4. 연료전지 자동차(FCEV)의 역사
5. 미래의 자동차는?

제2장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2-1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에너지 흐름에 따른 구조적 분류
1. 직렬 하이브리드(serial hybrid)
2. 병렬 하이브리드(parallel hybrid)
3. 복합 하이브리드(power split hybrid or compound hybrid)
2-2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동화 수준에 따른 분류
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micro hybrid)
2. 마일드(mild) 하이브리드
3. 완전(full) 하이브리드
4. 외부 충전식 하이브리드(External chargeable hybrid)
2-3 자동차 하이브리드화가 내연기관에 미치는 영향
1.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용 내연기관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2. 기관별 전략(Engine-specific measures)
2-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작동 모드
1. 병렬 및 복합 하이브리드의 작동 모드
2. 직렬 하이브리드의 작동 모드
3. 입력 변수와 출력 신호
4. 발진/정지 모드(start/stop mode)
5. 회생제동(回生制動; recuperative braking)
6. 가속 지원(boost)-회전 토크 지원
7. 부하점 상향 이동(load point displacement)
8. 전기 주행(electric driving)

제3장 전기기계
3-1 전기기계 개요
1. 교류 관련 기초 용어
2. 전기기계 기본 용어
3. 전기기계의 특성
4. 내연기관과 비교한 전동기의 장점
5. 전기 재료(electric materials)
6. 전기자동차 동력원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동기
7. 전기기계에서의 에너지 평형 및 에너지 효율
8.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시스템
3-2 직류 전동기(DC-Motors)
1. 직류 전동기의 구조
2. 직류 전동기의 작동원리
3. 직류 전동기의 종류
4.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
3-3 교류 전동기(AC-Motors)
1. 3상 교류와 고정자의 회전자계
2. 3상 동기전동기(3-phase synchronous electric motors)
3.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 또는 PSM)-BLDC
4. 3상 유도전동기(3 phase induction motor; IM) - 비동기기
5.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SRM; Switched Reluctance Motor)
6. 영구 여자식 횡자속 전동기(TFM; Transversal Flux Motor)
7. 전동기 상호 비교
8. 토크제어와 속도-토크 제어
3-4 PMSM과 BLDC 전동기의 제어
1.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과 BLDC 전동기의 비교
2. PMSM의 벡터(vector) 제어
3. 홀 센서를 이용한 BLDC 전동기 제어
3-5 전동 파워트레인
1. 개요
2. 파워트레인-배치구조(Powertrain-Topology)
3. 효율 분석
4. 개별 차륜 직접 구동

제4장 연료 전지
4-1 연료전지 기술의 기초
1. 물의 전기분해와 수소연료전지의 기본 원리
2. 연료전지의 종류
3.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4.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의 생산
5. 자동차 동력원으로서 연료전지의 장단점
6. 연료전지의 효율과 수명
4-2 자동차용 연료전지 시스템
1.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구동계(Drivetrain with fuel cell)
2.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3. 연료전지 성능 저하의 원인
4-3 연료전지 자동차의 실제
1. 혼다 클래리티(Clarity fcx)-중형 승용 연료전지 자동차
2. 도요타 미라이(Mirai) 2020
3. 아우디 h-tron Quattro
4-4 수소 기반시설과 총효율
1. 수소 기반시설(Hydrogen Infrastructure)
2. 총효율(total efficiency)
3. 전망(Future prospects)

제5장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1 에너지 저장장치 개요
1. 에너지 저장 형태
2. 자동차용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구비 요건(또는 필요조건)
3. 자동차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주요 특성
4. 전기화학적 전위서열과 기전력
5. 2차 전지(secondary cell) - 축전지(accumulator)
5-2 납-축전지
1. 축전지의 주요 특성값
2. 납축전지(Lead-Acid Battery)
5-3 리튬-축전지
1. 리튬-이온 축전지의 기본 구조 및 작동 원리
2. 리튬-이온(폴리머) 축전지 시스템의 특징
3. 리튬-이온(폴리머) 축전지기술의 미래
4. 구동 축전지 시스템(drive battery system)
5. 고전압 축전지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6. 실제 차량의 리튬-이온 축전지
7. 충전 기술(Battery Charging Techniques)
5-4 슈퍼-캐퍼시터
1. 슈퍼-캐퍼시터(super capacitor)
2. 일반 캐퍼시터의 구조와 작동 원리
3. 이중층 캐퍼시터(supercap, ultracap)의 구조, 작동 원리, 특성
4. 리튬-이온 캐퍼시터
5. 캐퍼시터의 실질적인 에너지 방출능력
6. 슈퍼-캐퍼시터의 활용(예)
5-5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비교
1. 비출력[W/kg]과 비에너지[Wh/kg]
2. 리튬-이온(Li-ion) 축전지 기술
3. 에너지 저장시스템 간의 비교

제6장 에너지의 제어와 관리
6-1 전력전자 개요 및 스위칭 반도체 소자
1. 전력전자 개요
2. 스위칭 반도체 소자(Switching Semi-Conductor Elements)
6-2 전력 전자
1. 기본 원리 및 시스템 구성
2. 주파수 변환기 - PWM 인버터(PWM-inverter)
3. DC/DC 컨버터(Buck/Boost Converter)
4. 전압형(PWM) 인버터의 장점 및 단점
6-3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의 온-보드 회로
1. 온-보드(On-board) 회로의 구성
2. 전통적인 12V 온-보드(on-board) 회로의 안전대책
3. 고전압 온-보드 회로의 안전대책
6-4 열관리
1. 전기자동차에서의 열 유동(Heat flow in EV)
2. 전동화 수준에 따른 차량 실내 공기조화
3. 공기조화의 효율 향상
4. Li-ion-축전지의 열관리(Thermal management of Li-ion batteries)

제7장 전동 파워트레인용 변속기
7-1 변속기의 기능과 효율
1. 필요한 주행 출력의 보장
2. 파워트레인(powertrain) 효율 개선 방법
3. 파워트레인의 전동화를 통한 효율 개선
7-2 자동차 전동화가 변속기에 미치는 영향
1. 발진/정지 자동화(start/stop automatic)
2. 회생제동(recuperative braking)
3. 작동점 위치 이동
4. 전기 발진과 전기주행
5. 가속 지원 또는 토크 지원 모드(boost mode)
7-3 실제 적용의 예
1. 병렬 하이브리드용 토크 컨버터식 자동변속기(AT)와 CVT
2. 병렬 하이브리드용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3. 병렬 하이브리드용 수동변속기(MT)와 자동화된 수동변속기(AMT)
4. 동력분할 하이브리드에서의 eCVT
5. 순수 전동 파워트레인(직렬 하이브리드와 BEV)용 변속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