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글생활사 연구

한글생활사 연구

  • 백두현
  • |
  • 역락
  • |
  • 2021-06-14 출간
  • |
  • 568페이지
  • |
  • 160 X 232 X 39 mm /961g
  • |
  • ISBN 9791167420114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3,6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6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4개 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제1장은 용어 문제를 먼저 검토하고 문자생활사 자료의 서술 방법을 논하였다. 제2장은 어문생활사의 관점에서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의 연구 방법을 논한 것이다.
제2부의 제1장은 한국어를 가리킨 명칭의 변천을 민족어 의식의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논한 것이다. 제2장은 한국어를 표기한 문자의 명칭이 사료 속에서 어떻게 출현하였는지, 한글을 중심으로 한국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을 고찰하였다.
제3부 제1장은 사회적 의사소통 매체라는 측면에서 훈민정음의 기능을 다양한 자료와 기록을 통해 종합적으로 논한 글이다. 제2장에서는 국가가 인민 통치를 위해 한글 문헌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제3장은 관리 선발 시험에 한글을 부과한 법률을 검토하고, 숙종 1년에 시행한 사채(私債) 문서 언문 사용 금지법의 의미와 이것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사례를 들어 논하였다. 제4장은 훈민정음의 사용과 보급에 초점을 두고 선배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시기를 나누어 정리한 글이다.
제4부의 3개 장은 모두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을 논한 글이다. 제1장에서는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을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 각종 한글 필사본 자료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제2장은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를 중심으로 여성의 참여 양상을 계량적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밝혀 보았다. 제3장은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필사 관련 요소를 분석하여 여성의 문자생활에서 이들이 갖는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목차


제1부 한국인의 문자생활과 어문생활사 연구 방법
제1장 한국인의 문자생활과 한글○21
1. 어문생활사와 문자생활사 21
1.1. 언어생활 속의 글생활 21
1.2. 문자생활사 자료의 서술 방법 22
1.3. 문자생활의 범주화와 분류 26
2. 사용 문자를 기준으로 본 문자생활 28
2.1. 한자(漢字)에 의한 문자생활 28
2.2. 차자표기에 의한 문자생활 31
2.3. 한글에 의한 문자생활 35
2.4. 한문과 한글을 병용한 이중 문자생활 40
2.5. 일본 문자 강요 시기의 문자생활 43
2.6. 우리나라 문자생활사의 시대 구분 44
3.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본 문자생활 45
3.1. 실용적 문자생활 45
3.2. 교육적 문자생활 51
3.3. 문학적 문자생활 56
3.4. 종교적 문자생활 58
3.5. 학술적 문자생활 61
4. 문체로 본 문자생활 64
5. 마무리 68

제2장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 고문서의 연구 방법○71
1. 들어가기 71
2.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론 72
2.1. 어문생활사와 국어생활사의 용어 문제 72
2.2. 어문생활사의 연구 대상 78
2.3.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 83
2.4.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의 적용 85
2.5. 언간에 대한 어문생활사 연구 사례 88
3. 한글 고문서의 특성과 연구 방법 90
3.1. 한글 고문서의 특성 90
3.2. 한글 고문서의 연구 절차와 연구 내용 91
3.3. 한글 고문서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 94
4. 맺음말 101
제2부 한국어 명칭과 한국 문자 명칭의 변천
제1장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105
1. 머리말 105
2. 우리말[韓國語] 명칭어의 변천과 그 의미 107
2.1. 고대 시기의 국명(國名) 관련 명칭어(辰言, 加羅語 등) 107
2.2. 중국 변방의 말이라는 뜻을 함축한 ‘方言’, ‘方音’, ‘鄕言’ 등 108
2.3. 한문에 대응되는 일상생활어라는 개념의 ‘諺’, ‘語’, ‘諺語’ 114
2.4. 고려와 조선시대의 ‘高麗話’, ‘高麗ㅅ말’, ‘朝鮮ㅅ말’ 117
2.5. 민족 국가의 주체 의식이 드러난 ‘國之語音’과 ‘國語’, ‘한말’ 119
3. 결론 129

제2장 한국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139
1. 들어가기 139
2. 한국 문자 명칭어의 변천과 그 의미 140
2.1. 訓民正音과 正音 140
2.2. 諺文 143
2.3. ‘國文’의 출현 146
2.4. ‘한글’의 출현 150
3. 맺음말 152
제3부 한글의 사회적 활용
제1장 사회적 의사소통 매체로 기능한 훈민정음○159
1. 소통 매체로서의 훈민정음 159
2. 개인 간의 소통:신분을 가로지른 소통 매체로서의 한글 편지 162
2.1. 왕실 가족 간에 주고받은 한글 편지 162
2.2. 궁녀들의 한글 편지:한글로 전한 사랑의 마음 164
2.3. 부부와 가족 간의 소통 수단 168
2.4. 승려의 소통 수단이 된 한글 편지 171
2.5. 비밀 모의의 소통 수단으로 쓰인 언서 176
3. 공적 업무를 위한 소통 181
3.1.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언문 유서 181
3.2.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한글 윤음 184
3.3. 왕후와 대비의 언서(諺書) 186
3.4. 임진왜란 중의 비밀 소통 수단 189
3.5. 외교의 비밀 소통 수단 192
3.6. 이서가 공무로 쓴 한글 편지 195
4. 백성이 주체가 된 상향적 소통:언문 진정서(陳情書), 투서(投書), 벽서와 격문 199
4.1. 관아에 낸 언문 진정서 200
4.2. 언문 투서(投書) 206
4.3. 언문 벽서(壁書)와 격문 212
4.4. 언문으로 언로를 열어주자는 제안 216
5. 필자와 독자의 소통:필사기 218
6. 마무리:사료 고찰에서 얻은 몇 가지 통찰 224
제2장 국가의 인민 통치와 한글 문헌의 활용○231
1. 조선의 훈민 정책과 훈민정음의 활용 231
2. 한글 문헌을 통한 훈민정음의 활용 233
2.1. 조선 개국의 정당성 확립을 위한 ?용비어천가? 편찬 233
2.2. 유교 경서 언해본 간행과 훈민정음 활용 235
2.2. 윤리 교화서의 간행과 훈민정음 활용 240
2.3. 인민의 후생 복리를 위한 훈민정음의 활용 269
2.4. 왕과 인민의 직접 소통에 활용된 훈민정음:윤음언해 274
2.5. 화포 제조와 군사 훈련을 위한 훈민정음의 활용 287
3. 마무리 292
제3장 법률 제정으로 본 한글의 사회적 활용○295
1. 들어가기 295
2. 훈민정음 및 언문 관련 법률의 내용과 역사적 의의 295
2.1. 관리 선발 시험에 대한 법률 295
2.2. 사채(私債) 문서 언문 금지법의 시행 298
2.3. ?삼강행실도? 간행에 관한 법률 301
3. 국문과 한글 관련 법률의 내용과 역사적 의의 302
3.1. 갑오개혁 이후 공문식(公文式) 법령의 제정 302
3.2. 갑오개혁 이후 관리 선발 시험에 부과된 국문 303
3.3. 광복 이후의 한글 관련 법률 304
4. 마무리 309
제4장 훈민정음의 사용과 보급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311
1. 들어가기 311
2. 학자별 연구 성과 정리 312
2.1. 대한제국기의 연구 성과 313
2.2. 대한제국기 이후 20세기의 연구 성과 323
2.3. 21세기에 이루어진 연구 338
3.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관련된 주요 논점 345
4. 맺음말:연구 방향 모색을 위한 제언 362
제4부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제1장 조선왕조실록과 한글 필사본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369
1. 연구 목적 369
2.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 교육 372
3.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본 여성의 문자생활 376
3.1. 이두에 의한 문자생활 376
3.2. 한글에 의한 문자생활 383
3.3. 한문에 의한 문자생활 404
4. 요약과 마무리 406
제2장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431
1. 서론 431
2. 한글 편지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433
2.1. 연구 대상 자료 433
2.2. 여성의 참여 양상과 역할 분석 434
2.3. ?언간독?에 나타난 유형과의 비교 454
2.4. 언간의 내용 면에서 본 여성의 문자생활 457
3. 한글 고문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461
3.1. 연구 대상 자료 461
3.2. 고문서에 나타난 여성의 참여 양상과 문자생활사적 의미 466
4. 요약 및 마무리 469
제3장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471
1. 들어가기 471
2. 연구 대상 문헌과 그 특징 472
2.1. 음식조리서 472
2.2. 여성 교육서 479
3. 문자생활의 양상과 그 내용 496
3.1. 필사 관련 요소의 분석 496
3.2. 필사 관련 요소로 본 여성의 문자생활 500
3.3. 문헌의 내용으로 본 문자생활 520
4. 마무리 525

참고문헌 / 531
찾아보기 / 54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