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1분책 (양장)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1분책 (양장)

  • 카를마르크스
  • |
  • |
  • 2021-05-20 출간
  • |
  • 384페이지
  • |
  • 171 X 258 X 43 mm /1332g
  • |
  • ISBN 9788964452370
판매가

60,000원

즉시할인가

58,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8,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그동안 입으로만 전해져 왔던 『잉여가치론』(흔히 『자본』의 제4권으로 일컬어짐)을 처음 선보이다

MEGA 한국어판 출판을 위해 강신준 교수(동아대 명예교수, 경제학)를 주축으로 동아대에 맑스-엥겔스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재정 지원 아래 번역팀을 출범시켜 각종 세미나와 독회 모임 등을 통해 번역 작업을 해오고 있으며, 이번에 그 첫 결실을 맺게 되었다. 아울러 출판을 담당한 ‘도서출판 길’에서는 저작권을 갖고 있는 독일 마르크스-엥겔스 재단을 통해 ‘De Gruyter’ 출판사와 연결, 한국어판 저작권을 확보하였다.
이번에 처음 선보이는 MEGA 한국어판 두 권은 마르크스의 핵심 저작인 『자본』의 세 번째 초안으로 알려진 ‘1861~63년 초고’ 가운데 일부이다. 이 초고는 MEGA에서 모두 6개의 분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번에 출판되는 제1분책은 1859년 마르크스가 최초의 경제학 저작으로 출판한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제1권의 후속 원고인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제2권에 해당하며(김호균 옮김), 제2분책은 흔히 『자본』의 제4권으로 알려진 『잉여가치론』의 제1권이다(강신준 옮김).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전6권(분책)의 구성

앞서 말한 바와 같이, ‘MEGA’ 한국어판의 첫 얼굴로 이번에 출판되는 두 책은 마르크스가 1861~63년에 집필한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의 6개 분책 가운데 제1분책과 제2분책이다. 이 초고는 마르크스 필생의 저작인 『자본』(Das Kapital)의 선행 작업의 하나로 대개 『자본』의 두 번째 초안으로 일컬어진다.
마르크스는 1844년 파리에서 경제학 연구를 시작했으나, 본격적인 연구는 당시 경제학의 본거지를 이루고 있던 영국에서 1849년부터 이루어졌고 1858년에 일차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는 이 기간 동안의 연구의 결과물로 방대한 양의 발췌 노트를 확보했고, 이 노트를 기초로 경제학 저술의 전반적인 집필 계획을 세웠다. 그것이 『경제학 비판 요강』(1857~58년 초고)으로 이것이 『자본』의 첫 번째 초안이다. 이 초안에서 그는 경제학 저술을 6개의 범주(자본, 토지 소유, 임노동, 국가, 무역, 세계시장)에 걸쳐 집필하기로 구상하고, 1859년 그 중 첫 번째 범주인 ‘자본’을 10권의 소책자로 나누어 출판할 목적으로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라는 제목을 붙여 제1권을 출판했다. 그는 곧바로 제2권을 출판하기 위해 1861년 집필에 착수했다. 하지만 그는 이 집필 과정에서 부르주아 경제학 이론에 대한 검토가 별도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는 새로운 인식에 도달했고, 이것은 1861~63년 동안의 작업으로 이어져서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가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자본』의 두 번째 초안을 이루는 것이다.
『자본』의 세 번째 초안은 1863~65년에 집필된 것으로 마르크스는 이것을 『자본』의 출판을 위한 마지막 원고로 간주했으며, 오늘날 우리에게 전승된 『자본』 제1~3권이 바로 이 원고에 담겨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원고 가운데 제1권의 원고는 일부(제6장)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MEGA’ 작업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이기도 하다.
이들 세 초안은 마르크스의 경제학 이론을 구성하는 핵심 저술들로 첫 번째와 세 번째 초안은 이미 국내에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김호균 옮김)과 『자본』(강신준 옮김)으로 소개되어 있는 반면, 두 번째 초안은 지금까지 소개된 바가 없어서 이번 출판을 통해 마르크스의 경제학 이론은 이제 국내에서 완성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6개 분책의 구성
제1분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제2권 --- 이번에 출판!
이 책은 마르크스의 최초의 구상에 따라 경제학 저술의 6개 범주 가운데 첫 번째인 ‘자본’을 다루는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총 10권으로 계획) 제1권의 후속인 제2권의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우리가 오늘날 마주하고 있는 〈자본〉의 제1권의 내용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제2~4분책: 〈잉여가치론〉 --- 이번에 제1분책 출판!
마르크스가 『자본』 제1권의 서문에서 『자본』 제4권이라고 지칭한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마르크스가 『잉여가치론』이라고 불렀던 저술이다(일본과 북한에서는 『잉여가치학설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번 출판에서는 원제목과 우리말을 최대한 일치시키는 방식에 맞추어 『잉여가치론』으로 명명했다. 참고로 현재 국내에서는 ‘잉여가치학설’이라는 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잉여가치론’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유포되어 있다. 『잉여가치론』은 다시 세 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번에 출판되는 제2분책은 『잉여가치론』의 제1권에 해당하고 2022년경에 출판될 제3분책과 제4분책이 각각 『잉여가치론』의 제2권과 제3권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은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이루어졌다. 첫째는 역사적 분석으로 그는 『경제학 비판 요강』에서 “자본주의에 선행하는 생산양식”을 분석함으로써 자본주의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했다. 이 부분은 통상 경제사로 알려진 학문 범주에 속한다. 두 번째는 구조적 분석으로 『자본』이 여기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본질과 현상을 가치와 잉여가치라는 핵심 범주를 통해 논리적으로 추상화시켜 재구성하고 있다. 이 부분은 경제 원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학문 범주에 속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이론이 현실의 반영이라는 마르크스 방법론의 특성을 반영해 경제학 이론의 역사를 자본주의의 반영이라는 관점으로 분석한 것으로 『잉여가치론』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 부분은 대개 경제학사라고 부를 수 있는 학문 범주에 속한다.
이들 세 범주는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고, 각기 나머지 다른 두 범주를 서로 전제로 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저술이 갖는 일반적 특징으로서 하나의 변증법적 전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을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세 저술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에는 그동안 『경제학 비판 요강』과 『자본』만이 소개되어 있어서 마르크스의 이해에 중요한 공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번에 첫발을 내딛는 『잉여가치론』의 출판을 통해 이 공백을 메우게 됨으로써 이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의 전모가 국내에도 처음으로 소개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연구에 중요한 도약점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5~6분책
이들 두 책은 『자본』의 제2권과 제3권과 관련된 주제들을 주로 포함하면서 그와 함께 제1권과 관련된 항목들, 『잉여가치론』의 보론, 기타 다양한 문제들이 포괄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 전체적으로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는 경제학에 대한 마르크스의 포괄적인 구상이 담긴 『경제학 비판 요강』에서 『자본』의 구체적인 집필로 이행하는 중간 단계의 초안으로서 『잉여가치론』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목차


서문 5
편집자 일러두기 19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 제1분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31
제3장 자본 일반 31
I) 자본의 생산과정 33
? ? 1)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33
??? a) G -W-G. 자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33
??? b) 가치의 본성에서 유래하는 난제 등 45
???? α에 대한 보충설명 58
??? ?) 노동과의 교환. 노동과정. 가치증식과정 59
? ? ? ? 노동능력의 가치. 최저임금 또는 평균임금 67
? ? ? ? 화폐와 노동능력의 교환 75
???? 노동과정 79
? ? ? ? 가치증식과정 91
? ? ? ?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의 통일(자본주의적 생산과정) 116
? ? ?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가 분할되는 두 가지 구성요소 127
???? 보충설명 157
? ? ? ? [추가 보충설명] 184
? ? 2) 절대적 잉여가치 188
??? a) 특정한, 즉 임금으로 지출된 자본 부분과의 단순한 비율로서 잉여가치 188
??? b) 필요노동에 대한 잉여노동의 비율. 잉여노동의 척도 197
??? c) 초과노동의 이점 202
??? d) 동시적 노동일 203
e) 잉여노동의 성격 208
???? 보충설명 211
? ? 잉여가치율 248
? ? 3) 상대적 잉여가치 253
??? a) 협업 272
??? b) 분업 281
? ? ? ? 〔여록: (생산적 노동에 대하여)〕 325
? ? ? ? 분업의 상이한 종류 334
???? 단순협업 335
??? ?) 기계류. 자연력과 과학의 이용
? ? ? ? (증기, 전기, 기계작용과 화학작용) 336
???? [2항과 3항에 대한 추가 보충설명] 364
? ? ? ? 분업에 대하여 366
???? 잉여노동 368
???? 10시간 노동법안과 초과노동 375

MEGA 한국어판의 출판에 부쳐│강신준 377

│복사자료 목록│
제1노트 1쪽 35
제3노트 95쪽 190
제3노트 111쪽 221
제3노트 113쪽 225
제4노트 138a쪽 282
제5노트 182쪽 324
제2노트 91쪽 371

(별책〈부속자료〉 ‘차례’ 별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