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BTS는 어떻게 21세기의 비틀스가 되었나

BTS는 어떻게 21세기의 비틀스가 되었나

  • 연승
  • |
  • 북레시피
  • |
  • 2021-05-31 출간
  • |
  • 304페이지
  • |
  • 127 X 198 mm
  • |
  • ISBN 9791190489362
판매가

14,000원

즉시할인가

12,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류 동호회 활동만 1억 명 시대, 글로벌 한류 팬덤의 역사와 현주소
문화의 힘은 무엇보다 강력하다. 중국과 일본의 혐한 인사라도 〈사랑의 불시착〉에 빠져드는 등 한국의 콘텐츠이지만 결국 ‘재미있는’ 드라마에는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K콘텐츠의 영향력은 아시아권을 넘어 미주 그리고 유럽의 여러 나라로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다. 드라마, 영화, 가요 등 ‘한류’를 이끈 K컬처의 저력, 그 중심에는 언제나 ‘팬덤’이 존재했다. 이미 하나의 장르이자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팬덤’은 이제 정치, 경제 영역으로까지 그 세력이 확장되고 있다. 한류 동호회 활동 1억 명 시대의 배경을 생생한 현장 취재 기록과 통계 자료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이 책은 무한한 확장성을 지닌 팬덤의 속성을 하나하나 짚어낸다.

글로벌하게 팬덤이 형성된 한류는 이제 한국 산업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K드라마에서 시작해 K팝으로 그리고 이제는 뷰티, 패션, 웹툰, 게임, 의료, 관광 등으로 한류는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팬은 더 이상 한국 대중문화의 한 분야에만 관심을 두지 않는다. 드라마에서 시작했든 K팝에서 시작했든 이제 한국의 모든 문화와 생활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됐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이 2012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한 ‘지구촌 한류현황’에 따르면 2019년 12월 기준 98개국에서 1,709개의 한류 동호회가 결성되어 있다. 전체 회원은 무려 9,932만 명으로 약 1억 명에 달한다. 동호회에 가입하지 않은 이들까지 합친다면 한류를 향유하는 글로벌 인구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p. 259)

수많은 스타의 모습은 나와 너
그리고 우리들이 도달하고 싶은 이상향이었다!
BTS는 어떻게 팝의 레전드 ‘비틀스’에 비유되는 평가를 받으며, ‘대중문화의 혁명’이라는 수식어를 받게 되었을까? 대중문화의 중심축은 이제 스타만이 아니라 팬에 의해 확장되어 간다. 대중문화가 진화해 온 것처럼 팬의 개념 역시 발전하여 ‘팬덤’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을 만들었다. 이 책은 스타에 대한 개인의 환호와 사랑을 보여주던 고전적인 팬의 모습은 물론,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상품이나 브랜드로 키워내는 팬슈머로 새롭게 진화하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팬덤의 실체를 두루 살피고 분석한다.

BTS가 미국에 상륙했을 때 NBC 〈엘런 디제너러스 쇼〉 진행자 엘런 디제너러스가 “공항에 마치 비틀스가 온 것 같았다”고 했다는 말이 전해졌고, 한국 언론 역시 이를 일제히 보도했다. 한국의 대중가요가 K팝이라는 장르로 ‘팝의 본고장’에서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BTS가 전 세계인이 동경했던 ‘팝의 레전드’ 비틀스에 비유되는 평가를 받았다는 것 자체가 ‘기적’이자 ‘혁명’과도 같은 역사이기 때문이다. 유독 애국심이 강한 사람만이 느끼는 감정은 아니었을 것이다. - 프롤로그 중에서

오늘날 BTS에 열광하는 글로벌 팬덤의 시초는 과연 어디서부터일까. 1969년 클리프 리처드 내한공연, 1992년 뉴 키즈 온 더 블록 내한공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팬덤의 역사’를 함께 보여주는 이 책은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대중문화의 발전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준다.

대중문화의 혁명: BTS를 ‘21세기의 비틀스’로 만든 ‘팬덤’의 힘

지난 한 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대규모 콘서트, 스포츠 경기, 영화 및 공연 관람 등의 제한이 잇따랐지만 그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비대면 콘서트’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K콘텐츠는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 10월 BTS가 온라인 콘서트를 개최했을 때는 세계 191개 지역 및 국가에서 99만3,000명이 관람했을 정도다. 코로나 19로 인해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저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팬덤의 변화 양상까지 예측하며, 팬덤이라는 속성으로 볼 때 비대면 콘서트라 할지라도 오히려 과거보다 팬들의 참여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책의 결말을 맺고 있다.

팬덤 자체의 변화보다는 팬덤 산업과 문화에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비대면 활동이 증가할 경우 이 문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이를 얼마나 적극 활용할 수 있는지가 성공의 관건이라는 얘기다. 보다 급진적으로 예측해본다면 ‘팬덤’ 자체가 플랫폼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아이돌을 비롯해 스타들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 플랫폼이 되고 이곳에서 모든 거래가 이뤄질 수도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팬덤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변주될 뿐이다. - 에필로그 중에서

스타에 열광하는 소녀들은 21세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1969년에도 존재했고, 아마 그 이전에도 존재했으리라. 조선 시대에도 광대에 열광하는 소녀들이 있었을 터이고, 한을 담아 애절하게 소리를 뽑아내는 소리꾼을 보며 눈물짓는 이들 또한 있었으리라.
동경의 대상이란 특정 시대가 아닌 모든 시대를 관통하며 나와 너 그리고 우리의 꿈을 비춰내는 거울과도 같다. 클리프 리처드, 뉴 키즈 온 더 블록, 나훈아, 남진, 조용필, 배용준, H.O.T, 젝스키스, 신화, 지오디, 핑클, SES, 엑소, BTS, 강다니엘, 임영웅, 김호중, 블랙핑크, 브레이브걸스 등 수많은 스타의 모습은 밤하늘의 별빛처럼 우리의 눈동자에 담겨지고 마음속에 새겨진다. - 본문 중에서


목차


프롤로그
‘오빠 부대’에서 ‘팬덤’으로

■ 팬덤의 시작: 사회, 경제, 문화를 뒤바꾸는 팬덤의 힘
■ ‘가장 한국적인 정서’, 팬덤
■ ‘초기 팬덤’의 시작, 1969년 10월 클리프 리처드 내한공연 ‘속옷 투척 사건’
■ 젠더 특성이 확실한 팬덤
■ 페미니즘에 눈뜨면 ‘여혐’이 되는 존재, ‘여자 연예인’
■ ‘아이돌 팬덤’, 비즈니스로 상장까지

BTS는 어떻게 21세기의 비틀스가 되었나

■ 팬덤의 아버지들: 이수만, 박진영 그리고 양현석
■ BTS라는 장르를 낳고, BTS와 K팝을 플랫폼으로 만든 ‘혁신가’ 방시혁
■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한 ‘하이브’는 어떤 회사인가
■ ‘K팝의 조상’ 1세대 아이돌 H.O.T.부터 엑소까지
■ BTS는 어떻게 21세기의 비틀스, 장르, 플랫폼이 되었나
■ 독특했던 양준일 팬덤
■ 2019 양준일 신드롬의 이유: ‘별종’ 아닌 ‘변이’ 세대 MZ세대가 소환한 양준일

임영웅은 어떻게 ‘중년 여성들의 BTS’가 되었나

■ 칠순 할매도 ‘스밍질’ 배우고 ‘덕질’하게 한 트로트 열풍
■ ‘신중년’들은 왜 젊은 트로트 가수에 꽂혔나
■ 임영웅을 좋아하는 그녀들의 진짜 이야기: 나도 여자야, 내 나이가 어때서, 마음은 청춘
■ 임영웅은 어떻게 ‘중년 여성들의 BTS’가 되었나
■ BTS나 하는 줄 알았던 밀리언셀러를 해낸 김호중의 매니악한 팬덤의 정체
■ 장민호, 이찬원, 영탁, 은은하고 잔잔한 인기
■ 어른들의 ‘덕질’은 취미다: “다시 여고생으로 돌아간 것 같아요”
■ 바야흐로 ‘트로트 전성시대’: 광고 점령한 트로트 스타들
■ 팬덤 용어 사전

한류 동호회 활동만 1억 명 시대

■ 한류 드라마의 시작, 팬덤: 국내에서 해외로, 팬덤의 무한한 확장성
■ 한류 팬덤의 성장: 한류 동호회 활동만 1억 명 시대
■ 글로벌 한류 팬덤 현황
■ 정치인에게로 확장된 팬덤: 팬덤의 정치, 정치의 팬덤

에필로그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