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말 바른말이 힘이다

말 바른말이 힘이다

  • 이종구
  • |
  • 말글
  • |
  • 2021-04-23 출간
  • |
  • 1페이지
  • |
  • 규격外
  • |
  • ISBN 9788995803554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람이 태어나서 신체와 함께 지능이 발달하며 말을 익히게 된다. 말을 잘 익히는 아이가 지능발달도 빠르다고 한다. 언어학자 노옴 촘스키에 의하면 하나의 말이 개념으로 뇌리에 자리 잡기까지는 약 4,000번의 반복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젖먹이 때부터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익힌 말을 뇌리에 자리 잡아 일생동안 그의 삶을 지배하는 모국어가 되는 것이다. 외국어 교육을 담당한 어떤 이는 영어를 잘하자면 영어로 생각하고 영어로 말해야 영어를 잘 할 수 있다고 한다. 아무리 영어를 잘하는 사람도 영어로 생각할 수 없다. 모국어로 생각하게 되며 모국어는 영어로 번역하여 생각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영어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라 영어권 나라의 사람이다. 즉 모국어로서 우리말을 바르게 알고 바르게 사용해야 영어 역시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한때 우리나라 학교와 여러 기관에서는 ‘국어사랑’, ‘나라 사랑’이라는 표어를 붙이고 우리말을 바르게 가꾸는 운동이 일어나다가 흐지부지해졌던 시기가 있었다. 우리말을 국어로서, 모국어로써 바르게 표현해야 할 이유에 대해 정작 공교육에서는 형식적인 표어에 그치고 있다. 학교에서 ‘국어’ 시간은 점수를 받기 위한 학습의 의미라는 한계가 우리 국어 교육의 현실이다. 그러니 한글이 모국어로써 어떤 소리로 표현되어야 바른말로써 표현하는 것인지에 대한 자각이 교육을 받을 시기에 이미 소홀해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우리말에 한자에서 온 말이 반 이상 되고 거기에 일본어 찌꺼기와 해방 후 홍수처럼 밀려온 서양 상업주의 문화에 따라 서양말까지 섞여서 우리말은 과히 잡탕말이 되었다. 그중에는 특정 외국어는 우리말로 표현될 단어가 마땅치 않아서 ‘외래어’라는 기능으로 이미 대체 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프랑스는 문화부에 정부 기관으로 언어심의기구를 두고 거기에서 다듬고 결정해서 나온 말을 신문과 방송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시급히 실시해야 할 일이다. 우리말을 바르게 표현하는 것에 힘써야 하는 까닭이 나라의 근거를 바로 세우는 것과 같은 무게이기 때문이다.

말은 인격이다. 말은 생각의 도구요, 의사 표현의 수단이며, 생각, 그 자체이며, 생각을 이끄는 힘이 된다. 오랜 세월 성우이자 연기자로서 방송 현장에서 활동해 온 이 책 〈말〉의 저자 이종구님은 자신이 말을 매개로 하는 직업인이라는 책임감에서 우리말을 바르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는 방송 현장의 실정을 기록해 온 분이다. 어쩌면 한글학자도 아니고, 어떤 공인된 학위는 없을지라도 저자는 그 어떤 한글학자나 언어학자, 사회학자 못지않게 자신이 경험하고 찾아온 어긋난 우리말 사용 현장의 문제점을 강의하거나 기록해 온 그간의 내용을 이 한 권의 책으로 엮어내었다.

〈말〉은 방송 현장에서 말을 매개로 직업 활동을 하는 모든 방송인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모국어로 생활하는 누구나 한 번은 정독하면 도움이 될 내용이 수두룩하다. 저자의 우리말이 바르게 사용되기를 바란다는 노력이 읽혀질 것이다. 바른말로써 힘을 가진 말은 바른 삶을 살아야 할 이유도 되어 주지 않겠는가.

-도서출판 말.글 발행인 강 미 -


목차


추천의 글 (5) 이현복(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음성·언어학)
한명희(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이미시문화서원 좌장)

여는 말 (15) 말이란 무엇인가 이종구

제1장
오염된 발음으로 하게 된 배경 (17)

방송의 위력은 대단하다 / 국립국어원에서는 국어순화 운운하며 결국은 글자대로 발음하라고 하고 글자대로 발음이 안 되는 것은 글자를 바꾸고 있다.

제2장
제2장 우리말을 오염시킨 규정들 (23)

글자대로 연음으로 발음하는데 그 이유와 규정에 대해 살펴보자 / 80년대 초 “소주를 쐬주”라고 발음하는 사람 / 글자대로 발음이 안 되는 것은 글자를 변경 / “며칠인가 몇일인가”에 대한 문화관광부의 입장 / 약물의 표준어는 양물인가요 / 한글맞춤법 총칙 2항 “표준말은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정한다.”를 총칙에서 삭제 / “합성어는 휴지를 두고 각각의 단어대로 발음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듬 / ‘ㅎ’의 생략, [‘하‘ 앞의 어근이 안울림소리(무성음) ‘ㄱ(k), ㄷ(t), ㅂ(p)‘로 끝날 때는 ‘하‘ 전체가 떨어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ㅏ‘만 떨어진다.‘라는 규정을 만듬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대로 쓰고 표기대로 발음하라”고 한다.

제1절 된소리를 예사소리로 만든 규정. (29)
다만’ 규정으로 인하여 “문소리, 판소리, 물소리, 보름달, 창살”로 발음하고 있는 것이다.

제2절 ‘ㄴ’ 덧나기를 없앤 규정. (31)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는 규정 때문이다.

제3절 ‘ㅎ’탈락 발음. (35)
‘생각컨대[생각하건대]’를 ‘생각건대’가 바른말이라는 규정을 만들어 ‘행복카고[행복하고]’를 ‘행보가고’, ‘생각카고[생각하고]’를 ‘생가가고’로 잘못 발음하게 만들고 있다.
제4절 이중모음 ‘의’의 발음 (36)
방송인들이 ‘의사’를 ‘으사’ ‘의원’을 ‘으원’으로 발음하는 것을 방치하는 국립국어원. 일부 지역의 방언을 표준어로 만들려고 하는 것이 아닐까 심히 우려 된다.

제5절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38)
혼란을 막기 위해서 만드는 게 규정인데, 규정이 오히려 혼란을 만들고 있다.

제6절 ‘능[릉]’의 표기와 발음 (39)
우리의 언어 현실은 분명히 “태능, 선능, 헌능”이다. 이는 어문 규정의 원칙인 ‘언어 현실’을 무시한 것이다.

제7절 수컷을 이르는 말 (40)
규정은 일관성이 없다. “숫양. 숫염소. 숫쥐”와 같이 “숫놈. 숫사돈”으로 해야 일관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제8절 “외래어는 표기법만 있지 발음법은 없다 (41)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3장
올바른 표준발음 총정리 (43)

제1절 경음화 현상(硬音化 現象) (44)
경음화가 두 단어를 구별해주는 경우 / 다른 말이 앞에 올 때 항상 경음화 되는 것 / 한자어에서는 받침 ‘ㄹ‘ 뒤의 ‘ㄷ,ㅅ,ㅈ‘이 경음화 된다 / ‘ㄱ,ㅂ‘은 경음화 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 같은 한자라도 경음화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 / 항상 경음화 되는 한자 / 역사적 변화로써 경음화 / 중세국어에 어두자음군(語頭子音群) / 경음(硬音)과 연음(軟音)으로 발음되는 것 / 성신여자고등학교 교사 오경자 선생님의 글 / 훈민정음 연구가 박영규 님의 글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2절 장단음 (56)
방송인들이 저지르는 장단음 혼란 / 빈도수가 높고 자주 쓰이는 어휘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3절 어두 경음화 (58)
변별력이 생기는 것 / 형태를 더욱 확실하게 연상시킴

제4절 문어(文語)와 구어(口語) (60)
글자대로 발음하도록 만들었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5절 겹받침 (62)
잘못된 규정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6절 ‘ㄱ’에 관한 발음 (68)
‘사껀[事件,사건]’을 ‘사건’으로 ‘주까[株價,주가])’를 ‘주가’로 ‘유까[有價,유가]를 ’유가‘로 발음하는 방송인들이 많은데 그것은 잘못된 발음이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7절 ‘ㄷ’에 관한 발음 (82)
유성음 다음에 오는 무성음이 유성음이 되지 않고 된소리로 나거나 폐색음(파열음이 파열되지 않은 상태) 다음에 오는 평음(平音,예사소리)이 된소리로 나는 현상을 말한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8절 ‘ㅂ‘에 관한 발음 (93)
경음인 ‘’으로 발음되는 것 / 연음인 ‘법’으로 발음되는 것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9절 ‘ㅅ’에 관한 발음 (106)
성(姓)-성 성. 일가 성 연음인 ‘성’으로 발음되는 것 / 성(性)-성품 성. 바탕 성 연음인 ‘성’으로 발음되는 것 / 그 외의 발음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10절 ‘ㅈ’에 관한 발음 (113)
한글로는 같은 글자이나 한자가 달라 경음과 연음으로 발음되는 것들 / ‘적(的)’자 일 때. 경음(硬音)인 ‘쩍’으로 발음되는 것들 / 연음인 ‘적’으로 발음되는 것들 / 한자는 다르지만 ‘장‘으로 발음 되는 것들 / 한자는 다르지만 ‘짱’으로 발음 되는 것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11절 ‘ㅎ’에 관한 발음 (134)
ㅎ’탈락음인 전라도 방언을 합리화 시킨 것이라고 밖에 / 받침이(종성) ‘ㄱ’ 다음에 ‘ㅎ’이 올 때는 ‘ㅋ’으로 발음 된다. / ‘ㄷ’다음에 ‘ㅎ’이 올 때는 음운현상이 아닌 구개음화로 인해 ‘ㅊ’으로도 발음 된다. / ‘ㅂ’다음에 ‘ㅎ’이 올 때는 ‘ㅍ’으로 발음된다./ ‘ㅅ’ 다음에 ‘ㅎ’이 올 때는 ‘ㅌ’으로 발음된다. / ‘ㅊ’다음에 ‘ㅎ’이 올 때는 ‘ㅌ’으로 발음된다./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12절 사이 ‘ㅅ’에 관한 발음 (139)
사잇소리 따위의 본바탕 / 한글 전용과 사이 ㅅ 을 쓰는 것에 반대 한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13절 숫자에 관한 발음 (149)
이제는 숫자 발음까지도 글자대로 발음하고 있다.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14절 외래어 발음 (152)
한국어문회 회원이신 고려대 독문학과 명예교수이신 박찬기교수의 말씀 / [中國]은 왜 그들의 발음인 [중구아]로 하지 않고 [중국]이라고 하는지 /
〉 방송인들이 잘못 발음한 사례 〈

제4장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의 문제점 (157)

표준어(標準語)의 잘못된 정의 /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개정안에 반대한다! / ‘~~가루’발음에 관한 국립국어원에 질의 답변 /국립국어원의 독선과 말글 일꾼들의 편 가르기 / 국립국어원에서 주장하고 문화관광부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을 보면 본인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오류 투성이 국어 교과서, 사필귀정이다.

제5장
자장면 (167)

짜장면에 대한 문화관광부 장관의 답변 / [짜장]을 [자장]이라고 우기는 국립국어원 / 짜장면에 관한 어느 분의 글 / 짜장면에 대한 어느 님의 글

제6장
보도자료 속 바른말 운동 (175)

성우 이종구씨의 한국일보 인터뷰 / 한국일보 기사보고 올린 글 / 투모로우 잡지 566돌 한글날에 즈음하여

닫는 말 (189)

이종구 지나온 길 (190)

부록 1 : 주요 발음 비교 (193)
ㄱ 된소리(1~4), ㄷ 된소리(1~2), ㅂ 된소리(1~3), ㅅ 된소리(1~4), ㅈ 된소리(1~4), ㅎ 된소리(1~4), ㄴ.ㄹ 덧나기(1~5), 외래어, 장.단음(1~3), 어두경음, 이중모음(1~2), 발음대로 표기, 문어와 구어, 글자대로 발음, 사이시옷(1~2), 사자성어, 겹받침

부록 2 : SNS 메모 (239)
2012년부터 2020년 까지 방송인들이 잘못된 발음 구사하는 것을 그때그때 SNS에 올렸던 내용

덧붙임 (25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