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은 2016년 개최된 다보스 포럼과 같은 세계적인 행사에서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면서 개별 국가 단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사회각계에서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관심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개념은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그 적용의 효과성은 전공분야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4차 산업혁명이 주창하는 다양한 개념 중 핵심적인 개념은 산업의 자동화(Automatization)이다. 이 자동화이론은 영어학습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그 적용의 효과성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영어학습 분야에서의 자동화 이론은 인공지능이론으로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19세기부터 음성인식기술(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이 상용화되어 사용되었고, 최근 자연언어처리기술(NLP)이 발달되면서 컴퓨터 프로그램과 학습자 간의 쌍방향 영어대화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책은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 정신에 부합하는 영어교육기관에서의 저비용, 고효율 영어교육혁신 방안을 터득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거 정부의 영어교육정책, 영어학습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과 처방 및 인공지능형 언어학습프로그램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재 방향을 잃고 표류하고 있는 영어교육을 리점프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으로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쌍방향 영어대화프로그램의 개발, 인공지능영어교수법의 제시, 인공지능 영어 콘텐츠 제품들의 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영어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인공지능형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게 되면 원어민 대체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영어학습을 할 수 있어서 영어학습의 효율성도 배가될 뿐만 아니라 사교육비도 경감시킬 수 있어서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책의 집필에 참여해주신 동료 교수님들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님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본 책이 완성되기까지 도움을 준 한국문화사 편집진에게도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