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의환경교육운동사

한국의환경교육운동사

  • (사)환경교육센터
  • |
  • 이담북스
  • |
  • 2014-06-30 출간
  • |
  • 220페이지
  • |
  • ISBN 978892686209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들어가며

1장 서론


2부 교육과 운동, 그리고 환경교육운동

2장 교육과 운동의 교차점에서의 환경교육운동
1. 환경교육운동의 위치
2. 환경교육운동의 성격

3장 생애경험을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

3부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4장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약사(略史): 시기구분과 시기별 특징을 중심으로
1. 환경교육운동의 효시: 1980년 이전
2. 환경교육운동의 모색: 1980년대
3. 환경교육운동의 형성: 1990년대
4. 환경교육운동의 전개: 2000년대

5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Ⅰ : 전국 시민사회단체 교육활동사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 초중반 환경운동의 확대재생산,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
1. [1991년∼] 생태적 영성과 실천적 삶-<한국불교환경교육원>의 ‘생태학교’와 ‘생명운동아카데미’
2. [1994년∼] 생태적 감수성으로 환경에 눈뜨다-<두레생태기행>의 ‘생태기행’
3. [1996년∼] 전국 환경운동가들의 소통과 연대의 장-‘전국환경활동가 워크숍’
4. [1997∼1999년] 지역사회리더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지역사회단체 지도자를 위한 시범환경교육’
5. [1998년∼] 녹색청년들의 자연에서의 일주일-<녹색연합>의 ‘청년생태학교’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주제의 다양화, 분화에서 통합까지
6. [1999∼2003년] 시화호에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다-<시화호생명지킴이>의 ‘갈매바람’
7. [1999년∼] 학교 숲이 마을을 만나다-<생명의숲국민행동>의 ‘학교숲가꾸기’와 ‘모델학교숲’
8. [1999년∼]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환경정의>의 ‘다음을지키는사람들’
9. [2003년∼] 자연이 가장 좋은 교실이다-<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의 ‘새만금 바닷길 걷기’
10. [2004년∼] 비움을 통한 나눔의 실천, 음식을 생명으로-<에코붓다>의 ‘빈그릇 운동’
11. [2004년∼] 생태적 가치를 삶의 모습으로-<풀빛문화연대>의 ‘생태문화운동’
12. [2008년∼] 논, 작물생산 공간에서 유기적인 생존 공간으로-<한살림>의 “논살림”
13. [2008년∼] 이주민 여성과 함께하는 색깔 있는 여행학교-<아시안브릿지>의 ‘이주민브릿지 사업’

2000년대 마을과 공동체 중심의 환경교육
14. [1994-2001년∼] 마을 전체를 배움터로, 마을이 학교다-<성미산지킴이들>의 ‘성미산학교’와 ‘성미산지키기운동’
15. [2003-2004-2006-2007년∼] 사람과 두꺼비의 공존을 위한 도전-<원흥이생명평화회의>의 ‘두꺼비친구들’
16. [2003-2005-2008년∼] 환경갈등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마을공동체로-<생명평화마중물>과 <부안시민발전소>

2000년대 중반 이후 연대와 협력으로 한 단계 도약
17. [2005년∼] 여럿이 또 함께-<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KEEN)>의 ‘환경교육한마당’
18. [2006년∼] NGO-기업 장기 협력으로, 생태복원에서 국제이해까지-<환경운동연합>과 <에코피스아시아>의 “초원보전생태투어”
19. [2007년∼] 나부터 지역이 함께, 아토피 없는 학교 만들기-<여성환경연대>의 ‘굿바이 아토피’

6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Ⅱ : 공추련-환경운동연합-환경교육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1. [1988년∼] 환경운동가를 양성해낸 ‘배움마당’에서 ‘생태인문강좌’까지
2. [1993년∼] 자연을 닮아가는 아이들, 50기를 넘어선 ‘푸름이 환경캠프’
3. [1997년∼] 동강에서 금강산까지, 15년을 걸어온 ‘푸름이 국토환경대탐사’와 ‘지구촌 공정여행’
4. [1999년∼] 시민을 환경교육가로, ‘시민환경지도자 양성’과 ‘교사 연수’
5. [2000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도심형 체험환경교육 ‘찾아가는 환경교실’, ‘궁궐의 우리 나무 알기’, ‘도시인의 문화환경기행’
6. [2001년∼] 가장 이른 시작, 유아-교사-학부모가 함께하는 ‘유아환경교육 지정원 프로그램’
7. [2002년∼] 환경교육운동을 지속시키는 힘, ‘환경교육활동가 워크숍’, ‘사회환경교육 아카데미’
8. [2004년∼] 지역민-NGO-지자체 협력의 성공적 모델을 만든, ‘도봉환경교실’
9. [2005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한 단계 나아가기, ‘환경연합 환경교육네트워크’와 ‘아시아 시민환경교육네트워크’
10. [2006년∼] 관광지를 공평과 나눔의 환경교육의 장으로, ‘남이섬 환경학교’
11. [2007년∼] 전문 교재교구 발행, ‘환경아, 놀자’, ‘지구촌 힘씨’ 외
12. [2008년∼]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 ‘환경교육운동 아카이브 구축’
13. [2010년∼] 자연소외계층과 함께 나누는 공부방 환경교육
14. [2011년∼] 새와 인간의 공존을 생각하는 환경교육 축제, ‘버듀(탐조교육) 페스티벌’



4부 마치며

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사)환경교육센터 2000∼2012년 주요 활동 요약
1. 교육?양성
가. 유아

도서소개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는 환경교육운동이 무엇을 지향하며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왔는지 그 과정을 통해 어떤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환경교육운동이 환경교육이나 환경운동과 어떤 특성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 있다.
이 책은 환경교육운동이 무엇을 지향하며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왔는지 그 과정을 통해 어떤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환경교육운동이 환경교육이나 환경운동과 어떤 특성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1부에서는 이 연구의 배경을 서술하고, 2부에서는 교육과 운동의 중층적 구조 속에서 형성된 환경교육운동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환경교육운동의 성격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교육과 운동의 맥락에서 정리하고, 둘째, 환경교육운동이 현실적으로 어떤 특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환경교육운동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검토하며, 셋째, 환경교육운동에 직접 참여한 환경교육운동가들이 자신들의 생애체험을 통해 환경교육과 환경운동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환경교육운동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3부에서는 환경교육운동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연대별로 주요하게 전개된 시민사회단체의 환경교육운동 사례와 그 의미를 찾아보고, 둘째, 대표적인 환경단체인 환경연합에서 분화된 환경교육센터의 연대별 주요 활동 사례를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환경교육운동의 흐름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