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판기행

현판기행

  • 김봉규
  • |
  • 담앤북스
  • |
  • 2014-07-30 출간
  • |
  • 344페이지
  • |
  • ISBN 978899894631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현판기행을 시작하며

1. 정자와 누각에 걸린 현판
높은 곳에 올라 세상을 보다

경북 안동 ‘영호루’/ 경북 안동 봉정사 ‘덕휘루’/ 경남 밀양 ‘영남루’/ 강원 삼척 죽서루 ‘제일계정’/ 경북 안동 ‘추월한수정’과 ‘탁청정’/ 경북 봉화 청암정 ‘청암수석’/ 강원 강릉 선교장 ‘활래정’/ 경남 진주 ‘촉석루’/ 전남 담양 ‘식영정’, ‘제월당’

2. 서원과 강당에 걸린 현판
선비의 정신을 담다

경북 영주 ‘소수서원’/ 경북 예천 삼강강당 ‘백세청풍’/ 경북 안동 ‘도산서원’/ 경북 경주 안강 ‘옥산서원’/ 경북 경주 ‘용산서원’/경남 산청 덕천서원 ‘경의당’/ 전남 장성 필암서원 ‘확연루’/ 경북 안동 송암구택 ‘관물당’, ‘한서재’

3. 사찰에 걸린 현판
절집에서 듣는 이야기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전북 완주 화암사 ‘극락전’/ 경북 영천 은해사 ‘불광’/ 경남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경북 의성 고운사 ‘연수전’/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경남 하동 쌍계사 ‘육조정상탑’/전남 구례 천은사 ‘지리산천은사’/ 경북 칠곡 송림사 ‘대웅전’/ 전남 순천 송광사 ‘세월각’, ‘척주당’/ 경기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경남 양산 통도사 극락암 ‘삼소굴’

4. 더 알아보는 현판 이야기

경북 영덕 난고종택 ‘만취헌’/ 대구 달성 ‘삼가헌’/ 서울 ‘숭례문’/ 경북 안동 농암종택 ‘애일당’/ 경북 울진 ‘대풍헌’/ 중국 자금성 ‘건극수유’

도서소개

현판에 담긴 역사와 정신을 이야기로 풀어내다! 『현판기행』은 옛 현판을 찾아 현판에 담긴 이야기와 글씨를 쓴 서예가 이야기, 현판이 달린 건물 이야기 등을 취재해 정리한 책이다. 건물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현판의 글씨는 역대 왕을 비롯해 당대의 대표적 지식인이나 명필 등이 심혈을 기울여 쓴 작품이다. 따라서 현판은 그 시대의 정신과 가치관, 예술의 정수가 담겨 있는 문화 예술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비해 홀대받고 있는 현판의 현주소를 꼬집고, 소중한 가치를 지닌 현판 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했다. 이 책은 현판이 걸린 장소에 따라 총 4개의 장, 35곳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정자와 누각에 걸린 현판’에서는 옛 선비들이 올라 자연의 풍광을 감상하던 정자와 누각에 걸린 현판을 살펴보고, '서원과 강당에 걸린 현판‘에서는 조선시대 유학의 산실이었던 서원과 강당의 현판을 소개한다. ’사찰에 걸린 현판‘에서는 전국의 절과 암자에 걸린 현판을 알아보고, ’더 알아보는 현판 이야기‘에서는 고택, 궁궐, 중국의 현판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자는 이 땅 곳곳에 걸려있는 현판을 직접 발로 찾아가 조사함으로써 현판을 둘러싼 역사와 문화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신라의 명필 김생의 글씨에서부터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도 인정했던 김종호의 글씨까지. 사찰, 서원은 물론 유생들이 공부하던 강당에서 마음에 점을 찍던 정자까지.
한눈에 보는 이 땅 곳곳의 현판을 둘러싼 역사와 문화 이야기.

한 글자에도 역사와 문화가 있다

장면 하나
사찰의 전각이나 일주문에는 유독 조선의 왕이 쓴 글씨[御筆]가 눈에 띈다.(불국사 대웅전, 마곡사 영산전, 선암사 대복전 등) 유교를 숭상하던 서원에서도 흔하지 않은 풍경이다. 왕이나 왕의 친척의 명복을 빌던 원당이 사찰 안에 세워졌던 경우 외에도 이런 일은 흔했다. 숭유억불의 시대 사찰은 심심하면 유생들이 가서 행패를 부리던 곳이다. 이런 폐해를 조금이라도 막아보기 위해 사찰은 앞다투어 왕이나 왕의 친척(대원군 등)이 쓴 글씨를 내걸었다.

장면 둘
밀양의 영남루는 그 규모가 정면 5칸 측면 4칸에 불과하지만 한때 300개에 이르는 현판이 걸려 있는 ‘현판 경연장’이었다.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으로 꼽혔던 이곳에는 글씨나 학문으로 이름 깨나 날렸던 사람들이 저마다 자신의 글씨를 내걸었다. 지금도 조윤형, 이황, 이색, 문익점 등 당대 학자와 명필들의 글씨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눈에 띄는 현판은 ‘영남루嶺南樓’와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는 글씨다. 1843년 각각 7세와 11세가 되는 소년들은 자신의 키보다 더 큰 현판의 글씨를 거침없이 써 내려갔다. 이 현판 앞에 당대 명필의 글씨는 가뭇없는 것이 되어 버렸다.

장면 셋
2008년 2월 10일 숭례문에 화재가 발생한다. 불은 거침이 없었고 금세 모든 걸 삼켜버릴 기세였다. 모두 손을 놓고 있을 즈음 다급한 명령이 떨어진다. “현판을 사수하라!” 추사 김정희도 서울에 들르면 그 앞에 서서 한참을 올려다봤다는 숭례문 현판은 누가 보아도 명필이었다. 소방대원 두 명이 다급히 사다리를 타고 올라갔다. 10여 분의 톱질 끝에 현판을 땅으로 떨어뜨렸다. 현판이 떨어지고 10분쯤 지나 숭례문은 완전 전소되었다. 현판도 사람의 목숨도 바람 앞의 촛불처럼 위태로운 순간이었다. 여하튼 그 덕분에 숭례문의 옛 현판만은 지금도 복원된 숭례문 위에 걸려 있다.

이렇듯 이 땅에 남아 있는 ‘현판’에는 많은 사연이 담겨 있고, 남아 있다. 혹자를 이를 ‘역사’라 하고 혹자는 ‘문화’라고 부른다.
저자는 이런 역사의 현장, 문화의 현장을 하나하나 발로 답사하고 글로 그리고 사진으로 남겼다.

아무나 쓰지 못했던 현판 글씨

현판 글씨는 다른 글씨와 다르게 대단한 공력과 실력이 요구된다. 그런 만큼 아무나 쓸 수 없었다.
중국 삼국 시대의 대표적 서예가로 위탄韋誕(179~253)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여러 글씨에 뛰어났는데 특히 현판 글씨가 백미였다고 한다. 위탄이 제서를 쓴 일과 관련해 유명한 일화가 전한다.
위나라 명제가 높은 누각을 짓고 이름은 ‘능운대凌雲臺’라고 정한 뒤, 글씨를 쓰지 않은 현판을 걸어 놓았다. 그러고는 위탄에게 커다란 바구니에 들어가게 한 뒤 도르래를 이용해 지상에서 25자(약 7.5미터)나 되는 허공에 매달아 놓고 거기서 글씨를 쓰게 했다.
위탄은 그동안 겪어보지 못한 큰 공포를 느끼며 혼신의 힘을 다해 글씨를 써야 했다. 그런데 위탄이 글씨를 쓰는 순간을 지켜본 사람들은 놀라운 광경을 보게 된다. 그의 머리카락이 삽시간에 하얗게 변해버리는 것이었다. 위탄이 얼마나 엄청난 기력을 쏟았는지를 말해 주는 일이라 하겠다. 위탄은 이 일이 있은 후 다시는 현판 글씨를 쓰지 않았다 한다. 그리고 후에 후손이 지켜야 할 가문의 법도를 적은 항목을 남기면서, 자손들은 절대 현판 글씨를 배우지 못하도록 한 항목을 넣었다 한다.
물론 일부는 후대 사람들이 가감한 이야기겠으나 현판 글씨를 쓰는 것이 얼마나 많은 공력과 실력을 요구하는지 알려주는 일화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런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비해 현판은 홀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판이 국보나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경우는 단 하나도 없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것도 추사 글씨인 봉은사 ‘판전板殿(서울시유형문화재 제84호)’ 현판과 명종 글씨인 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0호)’ 현판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현판 글씨는 특히 금석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대大자 글씨의 특별한 서체와 서풍을 다양하게 살필 수 있다. 그런데도 그 가치는 제대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선조들은 건물이 화재나 풍수해 등으로 소실되거나 파괴될 때도 현판만이라도 구하기 위해 발을 동동 굴렀다. 밀양에 영호루 현판이 대표적이다. 특히 영호루는 건물이 소실된 이후에도 현판 하나가 있었기에 다시 복원되는 역사를 갖고 있기도 했다.

처음 떠나는 ‘현판기행’
옛 현판에 대해 종합적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