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책은 그것을 쓴 목적이 있으며, 그 목적에 부합하는 독자를 갖기 마련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인데, 중등 교사 선발을 위한 1차 시험에 출제 범위 안에 있는 도
덕윤리 이론을 체계적이고 집약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고,
그 시험의 합격을 위해 준비하는 예비교사 수험생들이 독자들이다. 따라서 윤리 사
상과 관련된 인문학적 교양을 쌓거나 학문적 탐구를 위해 이 책을 보는 것은 그리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기획되었기에 그 내용
과 구성도 철저히 거기에 맞추어 이루어졌음을 먼저 밝혀둔다. 이 책의 목차와 내용
은 교육 과정 평가원이 제시하는 도덕윤리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항목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도덕윤리 1차 임용시험에서 다루는 평가 영역은 크게 교과교
육론, 서양사상, 동양·한국 사상, 사회·정치사상·통일 교육론의 네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시험의 체제가 바뀐 최근 7년 동안은 각 영역별로 20점 내외의 배점에 맞추
어 출제되었다. 이 책은 네 영역 가운데 동양·한국 윤리 사상의 영역에 해당하는 주
요 사상가와 그들의 이론을 정리하였다. 되도록 교육 과정 평가원의 항목과 5종 교
과서의 체제에 따라 사상가 중심으로 목차를 구성하면서도 중요한 비교 대상이 되
는 사상가나 주제들에 대해서는 그 중요도에 따라 별도의 세부 목차를 구성하기도
했다.
여타 교과목과 달리 도덕윤리 과목은 내용에 대한 맹목적 암기가 효과적이지 않
으며, 그렇다고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기에는 그 내용의 난이도가 만만치 않다. 특히
원전을 중심으로 시험이 출제되기 때문에 원전에 대한 일종의 독해 훈련이 되어 있
지 않으면 이론을 숙지한다고 해도 시험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낭패를 보기 십상이
다. 따라서 이 책에서 지향하는 가장 핵심적인 목표는 수험생들이 임용 시험에서 제
시되는 지문, 즉 동서양의 고전이나 관련 저술에 대한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그 요지
를 정확히 숙지하게 하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사상가의 주요 사상과 타 사상
가와의 차별성과 공통점을 비교하면서 임용 시험의 전체적인 경향과 답안 작성 패
턴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것도 기대하고 있다.
책을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