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색 밤 불의 바람,
모든 전쟁이 끝난 후에 태어난 그는
혼자서 자신만의 전쟁을 발명해냈다.”
황폐한 땅에서 부상자가 일어서듯
다시 시작된 페니엘가의 거대한 이야기
#실비제르맹 #천재 #마르케스 #마술적리얼리즘 #밤의책후편
#역사 #망각 #광기 #구원 #알제리전쟁 #68혁명 #프랑스문학
가브리엘 마르케스에 비견되는 마술적 리얼리즘으로 역사적 현실과 신화를 넘나들며 수많은 전쟁의 길목에서 살아간 한 가문의 백년의 광기를 보여준 소설 『밤의 책』(2020년 문학동네 출간). 『호박색 밤』은 실비 제르맹의 데뷔작이기도 한 『밤의 책』 출간 후 이 년 만에 발표된, 그 후편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밤의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탄생을 알리며 수수께끼처럼 등장했던, 페니엘 가계에서 마지막으로 태어난 아이 샤를빅토르 즉 ‘호박색 밤’이 마침내 이야기의 중심이 되고, 전쟁이 휩쓸고 간 황폐한 땅에서 부상자가 일어서듯 페니엘가家의 파란만장한 대서사시는 다시 시작된다.
『밤의 책』이 1870년 보불전쟁부터 1945년 제2차세계대전을 관통하며 인간의 끝없는 광기와 잔인함과 그 속에서 끊임없이 명멸하는 페니엘가의 인물들을 그리고 있다면, 『호박색 밤』은 프랑스 북동부의 가상의 공간 ‘검은 땅’을 떠나 알제리와 파리 등으로 공간을 옮겨가며 전쟁이 지나간 후의 이야기, 알제리전쟁부터 프랑스 68혁명을 아우르며 망각 속 역사를 복원해내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전후에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상존하는 분노와, 결핍으로 인해 마침내 “혼자서 자신만의 전쟁을 발명”해낸 인물의 광기를 샤를빅토르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드러내 보인다.
실비 제르맹은 1991년 <마가진 리테레르>와의 인터뷰에서, 본래 자신이 쓰고자 했던 이야기는 알제리전쟁과 고문의 문제를 다루는 『호박색 밤』 한 권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설의 주인공인 ‘호박색 밤’이라는 인물의 혈통을 따져 그 조상들의 이야기를 간략히 풀어내려던 것이 한 권의 책으로 늘어나 『백년 동안의 고독』을 연상케 하는 한 가문의 방대한 서사시가 탄생한 것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말 번역본으로 1000쪽이 넘는 장대한 서사 속 인물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페니엘가 가계도’를 책 끝에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