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따라쓰는논어

따라쓰는논어

  • 윤용섭
  • |
  • 예문
  • |
  • 2014-07-23 출간
  • |
  • 288페이지
  • |
  • ISBN 978895659232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사람됨과 자기관리 : 어떻게 자신을 단련할 것인가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_학이시습지 學而時習之
하루 세 가지로 자신을 돌아보라 _일일삼성 一日三省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며, 어진 사람과 친하게 지내라 _범애중이친인 汎愛衆而親仁
도에 뜻을 두며 예에서 노닐어라 _지어도 유어예 志於道 游於藝
어진 이를 보면 그처럼 되기를 생각하라 _견현사제 見賢思齊
자신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라 _극기복례 克己復禮
노여움을 옮기지 않고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았다 _불천노 불이과 不遷怒 不貳過
지혜롭고, 어질며, 용감한 사람이 되라 _지인용 知仁勇
사람됨이 어질지 못하다면 예와 악을 어디에 쓸 것인가 _인이불인 人而不仁
군자는 그릇이 되어서는 안 된다 _군자불기 君子不器
세 사람만 길을 가도 반드시 스승이 있다 _삼인행 필유사 三人行 必有師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_불치하문 不恥下問
가까운 데서 배워 높이 도달하라 _하학이상달 下學而上達
듣고도 행하지 못할까 봐 두려워했다 _유공유문 唯恐有聞
자신을 닦아 남을 편안하게 하라 _수기안인 修己安人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 _군자삼계 君子三戒
남에게서 구한다면 소인에 불과하다 _소인구저인 小人求諸人
반대로 자신에게서 답을 구하라 _반구저기 反求諸己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송백의 지조를 안다 _송백후조 松柏後彫
거친 옷과 거친 음식, 도는 가난에서 찾아진다 _악의악식 惡衣惡食
넘치는 것과 모자라는 것은 같다 _과유불급 過猶不及
마음 쓰는 곳이 없다면 곤란하다 _무소용심 난의 無所用心 難矣
오늘날에는 봉양하기만 하면 효도라 일컫는데 _금지효자 시위능양 今之孝者 是謂能養
부모의 나이를 헤아려야 한다 _부모지년 불가부지 父母之年不可不知
● 공문의 뛰어난 제자들 _ 안회 | 자로 | 증점

제2편 세상살이와 나이 듦 : 어떻게 살 것인가
군자는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_거무구안 居無求安
가난하더라도 도를 즐겨라 _빈이낙도 貧而樂道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만으로도 즐겁게 지내나니 _일단사 일표음 一簞食 一瓢飮
의롭지 못하게 부와 귀를 얻는 것은 뜬구름과 같다 _부귀여부운 富貴如浮雲
군자가 거처함에 어찌 누추함이 있으랴 _하누지유 何陋之有
죽음을 무릅쓰고 도를 지켜야 한다 _수사선도 守死善道
필부의 뜻을 빼앗을 수는 없다 _필부불가탈지 匹夫不可奪志
목숨을 버리고 인을 이룬다 _살신성인 殺身成仁
슬기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_요산요수 樂山樂水
얼굴을 펴고, 꽃이 피듯 환한 모습으로 _신신요요 申申夭夭
큰 덕을 지키면 작은 덕은 드나들어도 괜찮다 _대덕불유한 大德不踰閑
내용과 형식이 함께 빛나야 군자라 할 수 있다 _문질빈빈 文質彬彬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데 근심이 생긴다 _무원려필유근우 無遠慮必有近憂
옛것을 되새겨 새것을 살펴라 _온고이지신 溫故而知新
후생은 가히 두려워할 만하다 _후생가외 後生可畏
가는 것은 저 흐르는 물과 같구나! _서자여사 逝者如斯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_종심불유 從心不踰
꼭 해야 하는 것도 없고 꼭 하지 않아야 하는 것도 없다 _무적무막 無適無莫
아직 삶도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 _미지생 언지사 未知生 焉知死
진정 그리워한다면 어찌 거리가 멀겠느냐 _하원지유 何遠之有
● 논어와 시 _누실명
● 공문의 뛰어난 제자들 _ 자공 | 증삼

제3편 학문과 배움 : 공부란 무엇이며 어떻게 배울 것인가
배우면서 생각하고, 생각하면서 배워라 _학이사 사이학 學而思 思而學
모든 것을 하나로 관통하는 것 _일이관지 一以貫之
만물의 이치를 꿰뚫는 하나의 도(道)란 _일관지도 一貫之道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_문도 聞道
배움은 자신을 위한 것이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다 _위기지학 爲己之學
학문과 덕행과 충성과 신의 _문행충신 文行忠信
배우다 우수하면 벼슬을 한다 _학이우즉사 學而優則仕
아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_불여락지자 不如樂之者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_부지위부지 不知爲不知
중도에 포기할지언정, 해보지도 않고 선을 그어서야 _중도이폐 中道而廢
공부는 산을 쌓는 일에 비유할 수 있다 _비여위산 譬如爲山
어찌할까 어찌할까 하지 않으면 어찌할 수 없다 _여지하 여지하 如之何 如之何
곤란을 겪었으면 배워야 한다 _곤이학지 困而學之
공부하는 사람은 우선 널리 배워야 한다 _박학어문 博學於文
간절히 묻고 가깝게 생각하라 _절문근사 切問近思
시에서 일어나고 예에서 서며 음악에서 완성한다 _시예악 詩禮樂
옛 음악을 듣고 석 달간 고기 맛을 잊으셨다 _부지육미 不知肉味

도서소개

읽고 쓰고 익히던 옛 선비들의 공부법을 배운다! 《논어》는 2,500년이 넘게 동양인에게 마음공부를 하게 해주었던 동양 인문학의 고전이다. 과거 선비들은 고전을 공부함에 있어 결코 눈으로만 읽는 법이 없었다. 반드시 되풀이 해 읽고 쓰고 다시 씀으로써 마음으로 익히곤 하였다. 선비들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 고전의 향기를 체험하고, 인격과 지식을 고양하며 지친 심신을 치유하였다. 『따라 쓰는 논어』는 수십 년간 유학의 도를 연구하고 선비의 길을 걸어온 윤용섭의 저서로, 《논어》에서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구절 108수를 뽑아 현대적으로 해석한 책이다. 논어필사 노트’를 부록으로 제공하고, 한 줄을 소리 내서 읽고 뜻을 음미하고 손으로 따라 쓰게 함으로써, 그동안 눈으로만 봤던 《논어》를 입체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제 논어를 즐길 시간!!
누구나 한 번은 접했을 논어가 우리의 마음속으로 들어옵니다.
하루 10분, 한 문장씩, 108일!
[논어필사 노트](별책부록)를 따라 칸칸이 쓰다 보면 마음이 채워집니다.

2,500년이 넘게 동양인에게 마음공부를 하게 해주었던 바로 그 ‘논어’를 이제 손으로 따라 써봅니다. 서양에서는 감정(pathos)을 통제하는 것은 이성(logos)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동양에서는 바람에 몸을 맡기듯 감정을 잘 들여다보고 자연스럽게 느낌에 몸을 맡기라고 합니다. 억지로 감정을 다스리지 않고 스스로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이 논어에는 있습니다.

동양 인문학 고전의 최고봉인 논어에서 108수를 뽑았습니다. 저자는 한국국학진흥원 부원장이자 한국정가협회 설립자로서, 다양한 학술연구와 현장활동을 통해 유교문화와 인문정신문화를 탐구해온 이 시대의 선비이자 청백리입니다. 수십 년간 유학의 도를 연구하고 선비의 길을 걸어온 저자가 직접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구절을 엄선하고 현대적으로 해석했습니다. 소개된 구절은 직접 연습할 수 있도록 따라 쓰기란을 두고, [논어필사 노트]라는 이름의 부록도 따로 마련했습니다.
한 줄을 소리 내서 읽고 뜻을 음미하고 손으로 따라 쓰면 됩니다. 이제까지 눈으로만 봤던 논어를 ‘읽기’, ‘말하기’, ‘쓰기’라는 입체적인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옛 선비들은 고전을 공부함에 있어 결코 눈으로만 읽는 법이 없었습니다. 반드시 되풀이 해 읽고 쓰고 다시 씀으로써 마음으로 익히곤 했습니다. 그러한 선비들의 공부법 그대로 고전의 향기를 체험하고, 인격과 지식을 고양하며 지친 심신을 치유할 수 있습니다.

매일 한 줄 씩만 따라 써도 마음이 잡힙니다. 바람이 불어 흩날리는 꽃잎처럼 내 마음은 매일 매시간 매초 움직입니다. 기분이 좋아졌다가 우울해지기를 반복하며 흔들리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나면 가족, 일, 사랑 등 그 어떤 것에도 자신 있게 다가설 수 있습니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고
즐기더라도 정도를 넘지 않는다.”
[논어 옹야편, 팔일편]

이제 논어를 즐길 시간입니다.


따라 쓰고 나면 [논어]는 ‘공자’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것이 됩니다.
논어에서 말하는 ‘공부’는 스스로 생각하고 깨닫는 것입니다.

논어는 끊임없이 배우라고 강조합니다. 도대체 뭘 배워야 하는 것일까요? 아마 먹고 사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공부는 아닐 것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 겪는 힘든 일들을 통해 ‘지혜’를 배우라고 합니다.
논어의 [계씨편]의 글입니다.

“나면서부터 아는 이가 으뜸이요, 배워서 아는 이가 버금이다.
곤란을 겪고 나서야 배우는 이는 또 그 다음이며,
곤란을 겪고 나서도 배우지 않는 사람은 가장 아래가 된다.”

세상에 처하는 인간의 지혜를 기준으로 사람의 그릇을 나눈 말씀입니다. 나면서 알거나 배워서 아는 것은 천재나 현자에 해당되는 것이겠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말은 힘든 일을 겪고 난 다음에 똑같은 상황에 처하지 않게 하기 위해 그리고 실수하지 않기 위해 우리가 배우는 것들입니다. 많은 이들이 항상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바꾸기는 더 어렵습니다. 우리를 바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읽고 쓰며 생각해보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 지 인생의 지침을 일러주는 것이 논어입니다. 하루에 한 문장씩 꼭꼭 씹어서 소화시킨다면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주인이 우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입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환자가 글쓰기를 통해 3개월 만에 우울증을 고쳤습니다.
글쓰기는 정신뿐 아니라 신체적인 능력에도 도움이 됩니다.

세계적인 의학 전문 학술지(JAMA)는 2007년 연구 조사를 통해 3개월간 손으로 글을 쓴 류머티스 환자의 위험도가 1.65에서 1.19로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천식 환자의 경우 폐기능이 63.9%에서 76.3%로 증가했습니다. 손으로 글쓰기는 최적의 스트레스 관리법입니다. 스트레스가 감소하면 몸이 제 역할을 하기 시작합니다. 의학 전문가들에 의하면 손으로 글쓰기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력을 강화시킨다고 합니다. 혈압강화, 폐기능 강화, 간기능 호전, 기분 향상, 심리적 안정, 우울증 호전 등도 글쓰기의 효과입니다.
‘군자는 글로써 벗을 사귀고 벗으로써 인(仁)을 돕는다’고 했습니다. 글은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도 큰 힘이 됩니다. 이메일을 쓰거나 SNS에 글을 올릴 때 논어 한 문장을 인용해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부드럽게 풀어갈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곳에 논어를 인용할 수 있다면 우리가 말하려하는 바에 조금 더 힘을 실어 줄 수도 있습니다.
글로써 마음을 다듬고 글로써 사람을 만나는 출발점에 논어가 있습니다.


세상을 보는 눈, 논어
세상을 구하는 방법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