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탄허의 예언과 그 불꽃 같은 생애

탄허의 예언과 그 불꽃 같은 생애

  • 자현
  • |
  • 민족사
  • |
  • 2021-02-05 출간
  • |
  • 344페이지
  • |
  • 154 X 211 X 27 mm /587g
  • |
  • ISBN 9791189269821
판매가

18,500원

즉시할인가

16,6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6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탄허의 예언과 그 불꽃 같은 생애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고승 탄허(呑虛, 1913~1983) 스님의 예언과 그 불꽃 같은 일대기를 함께 조명한 최초의 책이다. 그동안 쉽게 볼 수 없었던 탄허 스님의 휘호, 서간문 등 탄허 스님과 관련된 많은 자료가 수록되어 있어, 자료적 가치도 대단히 큰 책이다.
탄허 스님은 일제강점기를 전후해서 총 4차례나 종정(혹 교정)을 역임하신 희대의 선승 한암 선사의 수제자이다. 또 탄허 스님은 화엄 사상과 『주역』 및 『장자』에도 능통했던, 살아 있는 동양학 자체였던 분이다. 이렇다 보니, 암울한 시대를 살던 우리 민족에게 종종 등불과 같은 비전의 말씀을 하시곤 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잿더미밖에 안 남은 남한에서, 한민족 웅비의 기상과 미래 비전을 제시한 탄허 스님은 누구도 따를 수 없는 진정 위대한 종교인이었다. 그러나 스님이 말하고자 하는 귀결처는 예언과 같은 술수가 아닌 깨침에 있었다. 즉 불교와 민족을 바로 하는 것이 스님의 참된 목적이었다. 이런 점에서, 스님은 시대의 요청에 부응한 진정한 고승이라 할만하다.

세상 사람들은 예언에 휩쓸리고 가려서 탄허 스님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 스님의 치열한 수행과 교육에 헌신한 불꽃 같은 삶을 관통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시대를 앞서간 선각자를 제대로 응시하는 진정한 추념의 자세이기 때문이다.

1. 탄허의 생애와 삶의 모습
─예언자로 인식된 탄허 스님─

탄허 스님은 불승으로서는 유일하게 유불도 삼교의 사상을 종합시키고[一以貫之] 회통시킨 고승이다.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불교를 가장 우위에 두고, 유가, 도가의 사상을 회통시켰다. 조선 시대 이후 근현대까지 많은 유학자와 고승이 출현했지만, 유불도 삼교를 종합하고 회통시킨 이는 오직 탄허 스님뿐이다. 그 이유는 조선시대부터 근대까지 유학자로서 불교에 해박한 이가 없었고, 불승으로서 유가와 도가의 철학에 대하여 해박한 이도 탄허 스님 한 분뿐이었기 때문이다.
또 탄허 스님은 선승 특유의 직관력과 주역(周易), 정역(正易) 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미래 등에 대하여 예언 ㆍ 예측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바로 ‘향후 우리나라가 세계의 중심이 된다’는 것이었다.
탄허 스님이 우리나라가 세계의 중심이 된다는 예언 ㆍ 예측을 한 것은 1977년이다. 조선일보 1월 18-20일자 선우휘 주필과의 3회에 걸친 대담에서 탄허 스님은 이상과 같은 예언을 했고,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예언 ㆍ 예측을 하셨다.
1975년 12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인구 1인당 국민소득은 531달러였고, 76년은 600달러 정도였다. 1인당 국민소득은 160-170여개국 가운데 60위 수준이었다. 당시 탄허 스님의 이러한 예언 ㆍ 예측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은 해프닝 정도로 생각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88년 올림픽을 계기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했고 IMF를 겪기는 했지만 지금은 세계 10위 경제대국이 되었다. 또 K-POP 등 한국문화는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의 문화를 주도해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한국이 초대되었다. 이런 사실만 놓고 보더라도 과거와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 곳곳에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탄허 스님의 예언은 적중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2. 탄허 스님의 생애
─유생(儒生)에서 불승(佛僧)으로─

탄허 스님은 기호학파인 이극종(李克宗) 선생으로부터 유가의 사서(四書)와 『시경(詩經)』 · 『서경(書經)』 · 『주역(周易)』 · 『예기(禮記)』 · 『춘추좌전(春秋左傳)』 등 5경을 비롯한 유가의 여러 경서를 수학했다.
그는 20세를 전후하여 노장(老莊)사상에 심취하게 되었다. 특히 ‘도(道)’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때 마침 오대산 상원사(上院寺)에 주석하고 있던 한암 선사(1876~1951)의 명성을 듣고, 입산할 때까지 약 3년 동안 30여 통의 서신을 보내어 도(道)와 불교에 대하여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1934년 22세 때 탄허 스님은 한암 선사가 주석하고 있는 오대산 상원사로 출가했다.
1956년(43세) 4월, 탄허는 월정사 조실로 추대되었고, 승속을 아우르는 지도자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오대산 월정사에 ‘대한불교 조계종 오대산 수도원’을 개설하였다.
1975년 8월에는 그의 대표적 역서(譯書)인 『신화엄경합론(新華嚴經合論)』(47권)을 현토 · 번역하여 간행하였고, 이어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우리나라 전통 강원의 텍스트인 사교(四敎) · 사집(四集) · 사미과 교재를 모두 현토 ·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그가 번역 출간시킨 책은 모두 18종에 77권이나 된다.
1983년 6월 5일(음력 4월 25일), 탄허는 오대산 월정사 방산굴(方山窟)에서 세수(世壽) 71세, 법랍(法臘) 49세로 입적하였다.

3. 탄허의 교육이념과 철학
─청출어람(靑出於藍), 교육은 인간 형성의 길이다─

탄허 스님은 20세기 한국불교 지성사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그는 ‘화엄학의 3대서’라 불리는 『화엄경』 · 『화엄론』 · 『화엄경소초』를 현토 · 역해하였고, 한국불교 전통강원 교학의 교재를 완역·집성했으며, 승속을 초월한 훌륭한 인재양성에 매진하였고, 유불도(儒佛道, 유교·불교·도교) 삼교의 철학을 일이관지(一以貫之)시켰던 이다. 또 불승(佛僧)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미래사회에 대한 통찰력도 갖고 있었던 특이한 인물이었다.
그는 ‘불세지사업(不世之事業)’을 추구했다. 줄여서 ‘불세사업(不世事業)’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의 목적은 인재양성, 인재교육으로서, 한 세대에 걸친 사업이 아니고, ‘세(世)’나 ‘대(代)’로는 계산, 혹은 산출할 수가 없는 ‘영세(永世) 사업’이라는 뜻이다. 인류에게 끼친 공로가 매우 커서 ‘한 시대를 통해서도 보기 드문 일’, ‘시간을 초월한 영원한 사업(永代의 事業)’을 뜻한다.
송대의 학자 소강절(邵康節, 1011~1077)은 공자가 만년에 주유천하(周遊天下)를 그만두고 고국 노나라로 돌아와 제자를 육성하는 일에 전념했던 것을 가리켜 ‘불세지사업(不世之事業)’이라고 정의했는데, 탄허 스님이 추구한 불세사업도 그런 뜻이다.

4. 도의적 · 도덕적인 인재 교육
─불세사업(不世事業, 영원한 일)의 종을 울리다─

탄허 스님은 44세(만 43세) 때인 1956년 4월 1일, 오대산 월정사에 ‘대한불교 조계종 오대산 수도원’을 개설한다. 당시 월정사는 6·25 전란으로 8각 9층 석탑을 제외한 모든 당우가 전소되고, 겨우 두 채를 신축하여 대중들을 수용하고 있었다. 또 당시 월정사 역시 정화(대처측과 비구측의 분쟁)로 매우 불안한 상태였고, 경제 사정도 좋지 못해서 아침에는 죽을 먹을 정도였다. 최악의 환경과 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탄허 스님은 30명을 모아 수도원을 개설했다. 그가 최악의 상황에서 오대산 월정사에 수도원을 개설한 것은 교육과 인재양성이라는 대명제 때문이었다. 이 대명제와 사명감이 그에게 ‘발분망식(發憤忘食)’의 동력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오대산 수도원은 ‘강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승속을 가리지 않고 한국사회에 불교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지도자급 인재를 양성해 보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특히 탄허 스님은 유불도 삼교의 가르침과 고전(古典, 화엄경, 노장, 주역 등)을 바탕으로 한 동양적 가치관과 도덕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다. 그의 인재양성의 이상은 향후 한국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인격적인 인재였다. 그 인재양성은 내성외왕지도(內聖外王之道, 도덕과 지도력을 겸비한 훌륭한 인격자)의 인물이었다.

5. 『화엄경』 현토 · 번역 · 간행
─인생을 건 불후의 업적에 도전하다─

탄허의 업적 가운데서도 특필해야 할 불후의 업적은 1975년에 간행된 『신화엄경합론(新華嚴經合論)』이다(『화엄경』으로 약칭). 이 책을 간행하기 위해 그가 손으로 쓴 원고지(200자)만 해도 약 62,500매에 달한다. 탄허는 이 방대한 원고를 오대산 수도원을 개설하던 1956년 말부터 시작하여 1966년 말에 탈고했다. 현토 · 역해(번역)하는 데만 꼬박 9년 반 가량이 걸린 생애를 건 작업이었다. 하루 14시간씩 집필에 매달렸다는 그의 회고를 상기해 본다면, 그는 10년 가까이 거의 온종일 『화엄경』 현토 · 역해에만 매달렸던 것이다. 탄허는 『화엄경』 탈고 후 오른팔에 마비증세가 와서 심하게 고생했다. 그리고 『화엄경』이 간행된 지 8년 만에 입적하였다.
『신화엄경합론(화엄경)』은 그의 나이 63세 때인 1975년 8월에 완간되었는데, 번역에서 간행까지 약 17~18년이 걸렸다. 『화엄경』의 전체 권수는 47권(초판 한장본 기준)이고, 총 페이지는 약 12,400여 쪽에 달한다.
『신화엄경합론』은 『화엄경』과 관련된 중요한 문헌들을 총망라한 것으로, 출간 당시부터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이유는 무엇보다도 80권본 『화엄경』만 해도 방대한데, 그 해설서인 이통현의 『화엄론』 40권까지 현토 · 완역했기 때문이다. 또 『화엄경』의 주석서로 유명한 청량징관의 『화엄경소초(청량소초)』를 번역하여 사이사이에 수록함으로써(양적으로 70% 번역 수록), 이른바 ‘화엄철학의 3대서’라고 하는 『화엄경』과 『화엄론』, 『화엄경소초』를 혼자서 집대성했기 때문이다.
그 밖에 청량징관의 『화엄경소초』의 해제에 해당하는 『화엄현담』 8권을 현토하여 첨부하였고, 화엄경의 서론에 해당하는 송대 계환의 『화엄요해』와 고려 보조국사 지눌이 『화엄론』 40권의 요지를 강술한 『원돈성불론』도 모두 번역하여 수록했다. 이렇게 방대한 양(量)을 한 사람이 현토 · 번역하여 간행까지 했다는 것은 한국불교사에서 보기 드문 일일 뿐만 아니라, 전 불교사를 통틀어도 흔치 않은 일이다.
현토역해 『신화엄경합론』 간행은 탄허의 대표적 업적이며, ‘탄허’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각인시켜 준 책이다. 특히 『신화엄경합론』 간행으로 인하여 ‘화엄철학’, ‘화엄경’, ‘화엄교학’에 대한 연구가 보다 진일보할 수 있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화엄경』이나 ‘화엄철학’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또한 전국 강원을 비롯해 학자들과 재가불자들도 보다 용이하게 화엄경의 세계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원전 중심의 강원 교학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화엄교학사에서도 특필할 만한 일인 것이다.

탄허 스님은 이 책 간행으로 1975년 10월 동아일보사 주최 인촌문화상을 수상했다. 당시 승려로서 학술상 수상은 보기 드문 일이었다. 1983년 6월 5일(음력 4월 25일) 71세의 일기로 탄허 스님이 입적하자, 정부에서는 교육과 『신화엄경합론』을 현토 · 역해·간행한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은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6월 22일).

6. 탄허 스님의 존재 가치
─육신은 죽어도 정신은 죽지 않아야 한다─

탄허는 1956년 『신화엄경합론』 현토·번역을 시작으로, 1983년 6월(음력 4월 25일)에 입적하기까지 약 27년 동안 전통 강원의 교과서이자 한국불교에서 중시하는 소의경전들을 현토 · 번역하고, 간행까지 하였다. 이는 그의 전 생애에 걸친 혼신의 힘을 다한 길고도 고된 작업이었다.
탄허가 현토·번역한 불교경전은 『신화엄경합론』 · 『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 『원각경』 · 『서장』 · 『도서』 · 『선요』 · 『절요』 · 『치문』 · 『초발심자경문』 · 『육조단경』 · 『보조법어』 · 『영가집』 · 『발심삼론』으로 총 15종이다. 이 가운데 전통 강원의 교재는 『신화엄경합론』, 『능엄경』 등 11종이고, 선어록은 『육조단경』 · 『보조법어』 · 『영가집』 3종이고, 기타가 1종이다. 그 밖에 불교경전은 아니지만 『주역선해(周易禪解)』(3권)와 『도덕경』(3권) · 『장자남화경』(1권)까지 합하면, 탄허 스님이 현토·번역한 책은 총 18종 78권이나 된다.
이 책들은 출간 직후부터 불교계 및 전통 강원에서 매우 중시했다. 이것은 당시까지 강원에서 활용할 만한 권위 있는 번역본들이 없었던 탓도 있지만, 그보다는 탄허의 현토 · 역해본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 즉 정확한 현토와 한문 문법에 의한 번역, 즉 축자역 덕분이다. 이는 지금까지 불교 전문 학자들과 강원 학인들이 탄허 현토 · 역해본들을 많이 보고 있는 이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허 스님이 중요한 경론들을 현토 · 번역하여 간행한 목적과 배경은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용이었다. 그는 승속을 아울러 불교와 동양고전을 바탕으로 한 인문학적인 인재, 도의적 · 도덕적인 인재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자신의 교육이념에 맞는 텍스트를 개발하는 데 전심전력했다.
탄허는 공자가 만년에 고국 노나라로 돌아와 교육과 제자 양성에 전심했던 ‘불세지사업(不世之事業)’을 매우 흠모했는데, 그가 걸었던 발자취는 공자의 불세사업, 불타의 중생구제사업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ㆍ 추천사 퇴우정념 - 004
ㆍ 서문 일우자현 - 007

1부 탄허 스님은 과연 예언자인가? 013

1. 탄허 스님의 예언과 시대를 보는 눈 - 015
2. 인도불교의 여섯 가지 신통과 작동원리 - 031
3. 중국철학의 우환의식憂患意識과 미래 예측 - 041
4. 화엄 사상과 선수행을 통한 직관적 영지靈智 - 051

2부 탄허 스님의 위대한 생애와 시대정신 059

1. 민족의 아픔과 탄허 스님 - 061
2. 부친 김홍규와 탄허 스님의 이름 - 071
3. 한학漢學의 수학과 결혼 - 083
4. 진리의 열정과 영원의 스승 - 093
5. 한암 스님과 탄허 스님, 그 이끌림의 미학 - 103
6. 스승을 찾아 상원사로 - 111
7. 스승의 그늘 아래서 - 119
8. 삼본사 수련소를 넘어서 오대산인五臺山人이 되다 - 131
9. 한국전쟁의 참화와 오대산의 한암 스님 - 139
10. 잿더미 속으로의 귀환과 재건 - 153
11. 탄허 스님의 오대산 정화, 오대산 수도원 - 167
12. 교육만이 불교와 국가의 미래다 - 179
13. 불경의 한글번역과 스님의 제자들 - 187
14. 『신화엄경합론』의 출판과 은관문화훈장 추서 - 195
15. 사회를 향한 열린 질주와 광풍 - 201
16. 탄허 스님의 본의本義와 위대성 - 211
17. 영원의 빛이 된 위대한 낙조 - 221

ㆍ 탄허 스님의 주요 찬문撰文 - 232
ㆍ 탄허 스님의 주요 글씨 - 탄허 서체 - 251
ㆍ 탄허 스님의 주요 서간문書簡文 - 257

부록 탄허 스님의 미래인식과 현대사회의 다양성 279

ㆍ 미주 - 320
ㆍ 참고문헌 - 330
ㆍ 탄허 대선사 연보 - 33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