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생황 정악보 1

생황 정악보 1

  • 김성준
  • |
  • 해드림출판사
  • |
  • 2021-02-19 출간
  • |
  • 112페이지
  • |
  • 210 X 297 X 11 mm /441g
  • |
  • ISBN 9791156344483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생황은 우리나라 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내는 악기

생황은 우리나라 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내는 악기로 삼국시대의 유물에 생황을 연주하는 모습이 등장하며 기록으로는 고려 때 중국에서 악기를 들여왔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문헌과 그림 자료를 통해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문인들의 풍류 악기로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오랫동안 우리 음악의 한 축을 담당했던 악기다.
그러나 오늘날의 생황 전승은 17관 생황의 전통음악에서의 역할보다 24관, 36관, 37관, 38관생황으로 창작 음악에서의 역할이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 생황 연주의 자료가 부족한 점도 크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저자 또한 손범주 선생과 오래전 인연을 맺고 대학교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국립국악원 정악단에 입단 후 많은 연주를 하였으나 실제 현장에서 연주되는 음악들은 배우지 못한 부분도 많았고 연주 영상이나 음원, 악보 자료가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그러하여 2006년부터 국립국악원 단원으로 공연하며 정리한 악보를 이렇게 출간하게 된 것이다. 이 책 출간을 계기로 전통 생황 전승 및 연주에 있어서 밑거름되기를 기대한다.

생황의 역사

생황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고구려악에서 사용된 악기로 생(?)이 나오고, 백제악에 사용된 악기로 생황의 한 종류인 우(?)가 나온다. 중국의 문헌인 수서와 구당서에서도 고려악에 생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봉암사(鳳巖寺) 지증대사적조탑(智證大師寂照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상원사 동종에서 생황이 연주된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널리 쓰인 악기로 짐작해 볼 수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 예종 9년(1114년)과 예종 11년(1116년)에 북송으로부터 대성아악이 들어올 때 연향악에 쓰일 포생(匏笙)과 제례악에 쓰일 소생(巢笙)·화생(和笙)·우생(?笙)이 고려에 전해졌다고 나온다. 1406년(태종 6) 명나라 영락(永樂)이 생황을 조선에 보낸 바 있으며, 그 뒤 생황은 세종 때 악기도감에서 제조되었으며, 악학궤범에 따르면 죽관(竹管)의 수에 따라서 화(13관)·생(17관)·우(36관)로 구분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17관의 생황이 주로 쓰이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생황연주 모습은 김홍도와 신윤복 등의 주요 민간 화가들의 화첩에서 풍류 악기로써 널리 사용된 모습을 확인하여 볼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24관과 36관, 37관 등 다양한 악기가 창작음악에서 사용되지만, 이 악보에서는 일제 강점기 김계선(金桂善)·박창균(朴昌均)에 의해서 전승되었고, 현재 김태섭(金泰燮)을 거쳐 정재국(鄭在國)에게 전승된 생황 연주법을 토대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목차


펴내는 글 | 4
생황이란 | 5
옛 그림과 서적 속에 나타난 생화의 모습 | 6

생황 연주법 | 7
(1) 생황 구조와 명칭 | 7
(2) 생황의 관별 음정의 위치 | 8
(3) 생황 취법 | 9
(4) 생황 운지법 | 10
(5) 생황 호흡법 | 11
(6) 빠르게에 관한 악상기호 | 12

정간보 보는법 | 13

단음 및 화음 연습곡 | 17
단음 및 화음 연습곡Ⅰ| 19
단음 및 화음 연습곡Ⅱ | 20
단음 및 화음 연습곡 Ⅲ | 21
단음 및 화음 연습곡 Ⅳ | 22
단음 및 화음 연습곡 Ⅴ | 23
단음 및 화음 연습곡 Ⅵ | 24

영산회상 및 악곡 설명 | 27
영산회상 · 상령산 | 28
중령산 | 30
세령산 | 32
가락덜이 | 33
상현도드리 | 33
하현도드리 | 35
염불도드리 | 36
타령 | 38
군악 | 42

가즌회상 및 곡설명 | 49
가즌회상 · 상령산 | 50
중령산 | 52
세령산 | 54
가락덜이 | 55
상현도드리 | 55
송구여지곡 | 57
하현도드리 | 61
염불도드리 | 62
타령 | 64
군악 | 68
천년만세 · 계면가락도드리 | 74
양청도드리 | 79
우조가락도드리 | 82

자진한잎 곡해설 | 89
경풍년 · 우조두거 | 90
경풍년 · 변조두거 | 92
염양춘 · 계면두거 | 94
수룡음 · 농 | 96
수룡음 · 계락 | 98
수룡음 · 편Ⅰ| 100
수룡음 · 편 Ⅱ | 102

수룡음 및 악곡 설명 · 수룡음 생황보 · 수룡음 생황 단소 합보 | 105
수룡음 · 생황보 | 106
수룡음 · 생황 단소 합보 | 10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