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아시아사 입문 (양장)

동아시아사 입문 (양장)

  • 동북역사재단편집부
  • |
  • 동북아역사재단
  • |
  • 2020-12-10 출간
  • |
  • 763페이지
  • |
  • 164 X 230 X 49 mm /1447g
  • |
  • ISBN 9788961875783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총론 동아시아사의 배경과 지향_안병우ㆍ19

1. 동아시아 지역의 현실: 아시안 패러독스ㆍ21
1) 경제 성장과 교류의 확대ㆍ21
2) 증폭되는 갈등ㆍ25
2. 동아시아 지역 갈등의 배경ㆍ29
1) 이질적인 정치체제와 신냉전 질서ㆍ29
2) 일제의 유산과 과잉 민족주의ㆍ33
3. ‘동아시아사’의 지향과 한계, 그리고 과제ㆍ35
1) 평화로운 동아시아의 지향ㆍ35
2) 지역사로서의 동아시아사ㆍ37
3) ‘동아시아사’의 과제ㆍ40

제1장 고조선의 성장과 중국과의 외교 관계_송호정ㆍ45
1. 고조선의 국제관계를 바라보는 시각ㆍ47
2. 기원전 8~7세기 고조선의 성립과 중원제국과의 관계ㆍ51
3. 기원전 4~3세기 고조선과 연(燕)의 관계ㆍ54
4. 통일제국 진(秦)의 등장과 고조선의 외교관계ㆍ58
5. 위만조선(衛滿朝鮮)과 한(漢)의 외신(外臣)관계ㆍ61
1) 위만조선의 성립과 국가적 특성ㆍ61
2) 한(漢)과 위만조선의 외신(外臣)관계 성립ㆍ64

제2장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사의 전개_여호규ㆍ71
1. 머리말ㆍ73
2. 고구려의 국가적 성장과 국제교류의 다면화ㆍ74
3. 국제질서의 다원화와 고구려의 독자세력권 구축ㆍ81
4. 통일제국 수·당의 팽창정책과 고구려의 대응ㆍ89
5. 맺음말ㆍ97

제3장 신라의 통일전쟁과 동아시아_전덕재ㆍ101
1. 7세기 전반 동아시아 정세ㆍ103
2.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나당동맹ㆍ105
3. 나당연합군의 백제와 고구려 정벌ㆍ110
1) 나당연합군의 백제 정벌과 백제 부흥운동ㆍ110
2) 나당연합군의 고구려 정벌과 고구려 부흥운동ㆍ116
4. 나당전쟁의 전개ㆍ120
5. 통일전쟁 이후 동아시아의 재편ㆍ122

제4장 발해와 동아시아_윤재운ㆍ127
1. 발해 건국의 국제환경ㆍ129
2. 발해의 상경 천도와 북진정책ㆍ133
3. 안사의 난과 발해의 국가 전략ㆍ140

제5장 수·당대 율령체제의 형성_박근칠ㆍ149
1. 수·당대 율령의 구성ㆍ151
1) 율령 편찬과 율령 격식ㆍ151
2) 당대 율령의 구조와 특색ㆍ154
2. 수·당대 율령제 운용ㆍ160
1) 수·당대 관인과 중앙 관제의 구성ㆍ160
2) 지방 행정조직과 율령제도의 운영ㆍ169

제6장 6~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_정재훈ㆍ177
1. 돌궐의 초원 통합과 동아시아의 확장ㆍ179
2. 당의 동아시아 통합과 한계ㆍ184
3. 8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 다극 체제 형성과 심화ㆍ190

제7장 동아시아 속의 한자_이근우ㆍ197
1. 한자 문화권ㆍ200
1) 중국에서 한반도·일본열도로ㆍ201
2) 향찰과 이두ㆍ203
3) 가나ㆍ206
4) 쯔놈ㆍ207
2. 훈민정음ㆍ209
1) 훈민정음 창제 목적을 둘러싼 논란ㆍ209
2) 『홍무정운』과 『훈민정음』ㆍ211
3. 근대 이후의 한자ㆍ213
1) 서양 문물과 번역ㆍ214
2) 근대 이후의 한자어ㆍ215

제8장 고대 동아시아 해역 세계의 교류_정순일ㆍ219
1. 동아시아사 서술의 새로운 지평ㆍ221
2. 해역사 연구의 진전과 획기(劃期)로서의 ‘긴 9세기’ㆍ223
3. 새롭게 등장한 교류 담당자들ㆍ226
1) 신라사신의 종언과 ‘유래신라인’의 등장ㆍ226
2) 비사신(非使臣) 신라인의 쇄도ㆍ229
3) 신라상인의 출현과 일본의 교역 관리 시스템ㆍ230
4) 신라상인과 당 상인의 협업ㆍ235
5) 신라해적은 재당신라상인의 다른 모습ㆍ238
4. 이문화(異文化) 간 교류와 통역ㆍ240
5. 요구되는 문서의 지참ㆍ244
6. 박래품(舶來品) 열풍ㆍ248

제9장 10~12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려_이익주ㆍ253
1. 10~11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와 고려·거란 관계ㆍ255
1) 고려와 오대십국의 관계ㆍ255
2) 고려와 송 및 거란의 관계ㆍ259
3) 고려의 다원적 천하관과 ‘외왕내제(外王內帝)’ㆍ266
2. 12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려-금 관계ㆍ270
1) 12세기 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ㆍ270
2) 고려와 금의 관계ㆍ274

제10장 몽골제국: 새로운 초원의 질서와 유라시아 전환_설배환ㆍ279
1. 칭기스칸과 초원 시대의 서막ㆍ281
2. 칸의 후예들-특히 쿠빌라이 카안과 카안울루스ㆍ300
3. 제국과 동아시아 질서-몽골·고려 관계ㆍ313
4. 갑작스러운 소멸과 긴 그림자ㆍ322

제11장 주자학과 양명학의 논리 구조와 그 차이_이근명ㆍ327
1. 송대의 새로운 지배 계층 : 사대부ㆍ329
2. 송학의 혁신과 주요 조류ㆍ332
3. 주자학(성리학)의 논리와 주요 사상가ㆍ337
4. 양명학의 발전ㆍ340
5.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ㆍ344

제12장 몽골의 일본 침략-동아시아 속의 일본_남기학ㆍ349
1. 몽골·고려의 대일본 교섭과 일본의 대응ㆍ351
1) 몽골의 일본 초유ㆍ351
2) 고려 조정과 삼별초의 대일본 교섭ㆍ353
3) 일본의 외교적 대응ㆍ354
2. 몽골의 침략에 대한 일본의 응전ㆍ357
1) 군사동원 방식ㆍ357
2) 무사의 의식과 행동ㆍ359
3) ‘이국정벌(異國征伐)’ 계획ㆍ362
3. 몽골의 침략이 일본에 미친 영향ㆍ364
1) 막부정치의 전제화ㆍ364
2) 국가의식의 변모ㆍ365
4. 몽골의 침략 이후 일본과 동아시아ㆍ368
1) 일본과 몽골(원)의 관계ㆍ368
2) 고려와 일본의 관계ㆍ371
3) 문화교류의 양상ㆍ373

제13장 17세기 전후 동아시아 전쟁_오항녕ㆍ379
1. 얼마나 다를까ㆍ381
2. 사라진 ‘침략’과 ‘전쟁’ㆍ384
3. 제국(帝國), 소심과 대범 사이ㆍ386
4. 양난 사이의 후금(後金)ㆍ389
5. 광해군의 내정과 외교ㆍ390
6. 일본과 청의 군대ㆍ394
7. 조선이 본 명(明)·청(淸)ㆍ398
8. 평화를 향한 동아시아ㆍ401

제14장 은 유통과 동아시아_조영헌ㆍ405
1. 은이 어떻게 16세기 국제무역에서 주요한 결제수단이 되었을까ㆍ407
2. 중국발 은 수요의 급증ㆍ409
3. 일본과 아메리카의 은 공급 확대와 결과ㆍ416
4. 동아시아 교역망의 다변화ㆍ424

제15장 명청 시대의 사회 변화_이준갑ㆍ437
1. 이갑제와 향촌 사회ㆍ439
2. 인구 이동과 증가ㆍ442
3. 농업 생산의 증가ㆍ445
4. 수공업·상업의 발전과 대상인집단ㆍ448
5. 도시의 발달ㆍ453
6. 사회 풍조의 변화ㆍ456

제16장 16~17세기 오다·도요토미 정권과 에도막부 성립의 의의_박수철ㆍ461
1. 병농분리(兵農分離) 사회의 출현: 전란에서 평화로ㆍ463
1) 총의 전래와 오다 정권ㆍ464
2) 오사카성과 도요토미 정권ㆍ469
2. ‘무국(武國)’과 ‘쇄국’의 성립: 개방에서 통제로ㆍ474
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신격화ㆍ475
2) ‘쇄국’과 에도막부의 백성 통제ㆍ479

제17장 조선통신사_정성일ㆍ483
1. 통신과 통신사 개념ㆍ485
2. 통신사 외교의 성립ㆍ487
1) 조선·일본 간 외교의 성립과 14~15세기 동아시아ㆍ487
2) 조선 전기의 통신사 외교와 한일 관계ㆍ489
3. 통신사 외교의 발전ㆍ497
1)조선ㆍ일본 간 외교의 재개와 17세기 동아시아ㆍ497
2) 조선 후기의 통신사 외교와 한일관계ㆍ497
4. 통신사 외교의 쇠퇴ㆍ519
1) 통신사 외교의 쇠퇴 원인ㆍ519
2) 통신사 외교의 역사적 의의ㆍ521

제18장 조선 시대 한중관계 이해의 몇 가지 문제_계승범ㆍ525
1. 머리말ㆍ527
2. 조선 시대 조공ㆍ책봉 관계의 실상은 어떠했을까ㆍ528
3. 광해군의 노선은 과연 ‘중립외교’였을까ㆍ538
4. 조선은 왜 질 줄 알면서도 호란을 피하지 않았을까ㆍ540
5. 효종은 정녕 북벌을 준비하였을까ㆍ546

제19장 동아시아 정세와 메이지유신_박삼헌ㆍ551
1. 페리는 일본에서 무엇으로 ‘인식’되었을까ㆍ553
1) ‘국난’ 시작의 상징, 페리ㆍ553
2) 일본을 위한 ‘행운’, 페리ㆍ555
3) 페리가 ‘백기’를 건넸다?ㆍ557
2. 1853년, 세계는 지금ㆍ559
3. 페리의 내항과 일본의 개국, 그리고 메이지유신ㆍ563
1) 왜 미일화친조약은 평화적 ‘교섭’으로 체결되었을까ㆍ563
2) 미일화친조약은 어떤 내용일까ㆍ567

제20장 갑오개혁 시기 근대 국가 구상과 국가체제_왕현종ㆍ571
1. 갑오개혁 연구사와 근대 국가의 형성 연구ㆍ573
2. 갑오개혁 당시 개혁 관료들의 근대 국가 구상의 기원과 인식ㆍ575
3. 일본의 개입: 경복궁 점령 사건과 개전 전략, 일본의 보호국화 정책ㆍ578
4. 갑오개혁 시기 근대 국가의 제도화와 군주의 위상ㆍ580
5. 갑오개혁 시기 근대 국가 구상에서의 민의 위치:
민권과 동학농민전쟁 진압 대책ㆍ582
6. 갑오개혁의 독립국가 구상과 ‘제국’의 시도ㆍ587
7. 갑오개혁의 제도적 계승과 ‘제국국가’로의 변모:
동아시아 근대사와 현재적 의미ㆍ590

제21장 베트남의 식민지화와 독립운동_윤대영ㆍ597
1. 식민지화ㆍ599
1) 식민지 전쟁ㆍ599
2) 식민 정책의 구조와 지역별 통치ㆍ603
2. 독립운동과 동아시아ㆍ605
1) ‘신서’(新書)의 등장ㆍ605
2) 동유운동(東遊運動)과 월남광복회ㆍ607
3. 호 찌 민의 등장과 베트남민주공화국의 성립ㆍ613
1) 제2세대 독립운동가 호 찌 민ㆍ613
2) 베트민의 결성과 베트남민주공화국의 성립ㆍ616

제22장 근대 동아시아의 여성, 따로 또 같이_김정인ㆍ621
1. 근대 여성 교육의 기원과 여성상으로서의 현모양처ㆍ623
1) 여성 학교 교육의 도입ㆍ623
2) 근대적 여성상으로서의 현모양처ㆍ628
2. 엇갈리는 근대: 신여성의 등장, 허약한 여성의 지위ㆍ631
1) 일본의 신여성, 정치적 권리와 법적 지위를 박탈당하다ㆍ631
2) 정치적 권리가 없는 문화적 존재로서의 조선의 신여성ㆍ632
3) 국공(國共), 합작과 분리 속의 중국 여성ㆍ636
3. 동아시아 근대 여성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ㆍ639
1) 일본: 폐창운동과 여성 참정권운동을 벌이다ㆍ639
2) 중국: 구국의 자장을 벗어나지 못한 여권 운동ㆍ643
3) 조선: 독립운동으로 수렴된 여성운동ㆍ648

제23장 일본의 침략전쟁과 일본군‘위안부’_서현주ㆍ653
1. 일본군‘위안부’와 동아시아ㆍ655
2. 일본군 ‘위안소’ 설치와 확대ㆍ656
1) 시기별ㆍ656
2) 지역별ㆍ658
3. 한ㆍ중ㆍ일 일본군‘위안부’ 동원의 특성ㆍ664
1) 조선인 ‘위안부’ 동원의 식민지적 특성ㆍ664
2) 중국인 ‘위안부’ㆍ670
3) 일본인 ‘위안부’ㆍ672

제24장 현대 일본의 역사 인식_박진우ㆍ675
1. 근린 아시아에 대한 우월감ㆍ677
2. 왜곡된 역사 인식의 뿌리ㆍ680
3. 동아시아 냉전과 점령정책의 전환ㆍ682
4. 일본의 고도성장과 자신감 회복ㆍ684
5. 변하지 않는 일본의 우월감ㆍ686
6. 냉전체제 붕괴와 역사 인식의 충돌ㆍ689
7. 역사수정주의의 등장ㆍ692
8. 역사수정주의가 주도하는 역사 왜곡ㆍ695

제25장 동아시아의 전후 처리 현황과 한국의 선택 지점_신주백ㆍ701
1. 지금으로부터 15년 전, 2005년의 한일관계ㆍ703
2. 전후 처리의 출발점, 1951년 샌프란시스코강화회의와 동아시아 냉전ㆍ705
3. 전후 처리, 일본은 보상도 사과도 없었다ㆍ710
4. 일본 경제의 기틀이자 국제시장 진출의 보호막이 된 전후 처리ㆍ715
5. 불화의 원천으로서 한일기본조약과 한국의 과거 극복 노력ㆍ718
6. 분단 극복과 다자질서 구축 과정에서 침략과 지배의 상흔 극복ㆍ724

참고문헌ㆍ728
찾아보기ㆍ74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