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융복합)시스템 기술, 시장 실태와 개발전략 (학술도서)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융복합)시스템 기술, 시장 실태와 개발전략 (학술도서) MARKET REPORT 2015-06

  • 데이코 편집부
  • |
  • 데이코
  • |
  • 2015-06-22 출간
  • |
  • 317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8503739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0원

즉시할인가

27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19대 미래성장동력 개요와 실천 전략 19
1. 19대 미래성장동력 개요와 실천전략 19
1-1. 개요 19
1-2. 19대 미래성장동력, 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21
1) 주력산업 고도화(주력산업) 21
2) 미래 신시장 선점(미래신산업) 23
3) 복지·산업 동반 육성(공공복지·에너지 산업) 25
4) 지속성장 기반 조성(기반산업) 28
2. 19대 미래성장동력별 개념과 시장동향, 전망 31
2-1. 스마트 자동차 31
1) 개념 및 범위 31
(1) 개념 31
(2) 범위 32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32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35
2-2. 5G 이동통신 37
1) 개념 및 범위 37
(1) 개념 37
(2) 범위 38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3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41
2-3. 심해저/극한환경 해양플랜트 42
1) 개념 및 범위 42
(1) 개념 42
(2) 범위 42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43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45
2-4.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46
1) 개념 및 범위 46
(1) 개념 46
2) 산업 생태계 47
(1) 무인기 기술 특성 47
(2) 무인기 산업 생태계 48
2-5. 지능형 로봇 50
1) 개념 및 범위 50
(1) 개념 50
(2) 범위 50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1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53
2-6. 착용형 스마트 기기 54
1) 개념 및 범위 54
(1) 개념 54
(2) 범위 54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56
2-7. 실감형 콘텐츠 57
1) 개념 및 범위 57
(1) 개념 57
(2) 범위 5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60
2-8. 스마트 바이오 생산시스템 61
1) 개요 61
2) 산업 생태계 61
2-9. 가상훈련시스템 64
1) 개념 및 범위 64
(1) 개념 64
2) 산업 생태계 65
2-10. 맞춤형 웰니스 케어 67
1) 개념 및 범위 67
(1) 개념 67
(2) 범위 6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6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0
2-11.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71
1) 개념 및 범위 71
(1) 개념 71
(2) 범위 71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72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3
2-12.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74
1) 개념 및 범위 74
(1) 개념 74
(2) 범위 74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7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7
2-13. Multi-Terminal HVDC(직류 송ㆍ배전) 시스템 78
1) 개요 78
(1) HVDC 시스템 78
(2) HVDC 시스템 분류 79
2) 개발 방향 80
2-14.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82
1) 개요 82
(1) 목표 82
(2) 전략 82
(3) 효과 82
2) 발전산업측면에서 의미 83
2-15. 지능형 반도체 85
1) 개념 및 범위 85
(1) 개념 85
(2) 범위 85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86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88
2-16. 융복합 소재 89
1) 개념 및 범위 89
(1) 개념 89
(2) 범위 89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90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92
2-17. 지능형 사물인터넷 94
1) 개념 및 범위 94
(1) 개념 94
(2) 범위 94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9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96
2-18. 빅데이터 97
1) 개념 및 범위 97
(1) 개념 97
(2) 범위 9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99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101
2-19. 첨단소재가공시스템 104
1) 개념 및 범위 104
(1) 개념 104
(2) 범위 104
2) 산업생태계 105
3) 국내외 시장 전망 105

Ⅱ.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109
1.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동향과 전망 109
1-1. 개요 109
1) 개념 및 범위 109
(1) 개념 109
(2) 범위 109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110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112
1-2.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시장동향과 전망 113
1) 세계 및 국내 산업 변화 113
2) 시장 전망 114
3) 국내외 주요기업 동향 114
4) 국내 산업 경쟁력 115
5) 국내외 주요국 정책 현황 116
2.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실태 118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수급 현황 118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종합 분석 118
(1) 2013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118
(2) 전년대비 변동량 119
(3) 1차 에너지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 119
(4) 연도별 공급량 추이 120
(5) 2013년 지역별 공급현황 121
(6) 2013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발전량 비중(발전부문) 121
(7) 전년대비 변동량(발전부문) 122
(8) 총발전량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발전부문) 122
(9) 연도별 발전량추이 123
(10) 2013년 지역별 발전현황 123
2-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통계 124
1)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24
2) 2013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30
3) 발전원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40
(1) 태양에너지 140
(2) 바이오에너지 143
(3) 풍력 151
(4) 수력 152
(5) 연료전지 153
(6) 폐기물 155
(7) 지열 161
(8) 해양에너지 163
3.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분야 미래성장동력 종합
실천계획과 전략 164
3-1.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164
1) 종합분석 164
2) 추진전략 165
3-2. 목표 및 단계별 추진전략 166
3-3. 전략별 추진내용 167
1) NRE-H 시스템 핵심 기술 확보 및 Platform 구축 167
(1) NRE-H 핵심 모듈기술 개발 및 사업화 167
(2) 창의성을 갖춘 NRE-H R&D 인력 확보 167
(3) 표준화·인증 체계 구축 및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168
(4) 수요자 중심 NRE-H 보급 제도/정책/법규 개선 168
(5) NRE-H 시스템 관련 해외 협력체계 구축 169
2) NRE-H 시스템 인테그레이션 최적화 및 사업화 170
(1) NRE-H 2.0 모듈 Integration 최적화 기술 개발 및 사업화 170
(2) 표준·인증 전문인력 양성 171
(3) 성능검증 플랫폼 및 NRE-H 테스트베드 구축 172
(4) 해외 시장 진출 방안 모색 및 기술 역량 강화 지원 172
(5) 해외진출을 위한 국제협력연구센터 구축 173
3) 신비즈니스 모델 구현 및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174
(1) NRE-H 2.0 및 3.0시스템의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 174
(2) 산업인력 양성 및 역량강화 176
(3) 국내외 시장진출 확대 및 대형 실증 타운 구축 176
(4) 신시장 창출형 제도 개선 및 대외 홍보 강화 177
(5) 국제협력연구센터 기능 확대 및 역량 강화 177
3-4. 추진 로드맵 179
3-5. 추진과제별 담당 부처(부서) 및 사업 180

Ⅲ. 에너지신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추진동향 187
1. 2015년 에너지 정책 동향 187
1-1. 최근 에너지 시장의 주요 동향 187
1) 유가 하락과 불확실성 증대 187
2) 온실가스 감축요구 확대 188
3) 소통, 안전, 혁신에 대한 국민적 요구 증가 188
1-2. 2015년 에너지 정책의 방향과 과제 189
1) 과제-1 : 에너지 신산업 성과 가시화 190
2) 과제-2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192
3) 과제-3 : 시장중심의 에너지 수요관리 추진 194
4) 과제-4 : 유가 변동을 반영한 에너지 정책 점검 196
5) 과제-5 : 중장기 에너지 수급계획의 연동화 198
6) 과제-6 : 해외협력사업 성과 확대 199
7) 과제-7 : 안전 최우선의 원전 관리?운영 201
8) 과제-8 : 에너지 복지 확충 204
9) 과제-9 : 공공기관 혁신과 사이버 보안 강화 205
2.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전략과 기본계획 206
2-1.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전략 206
1) 개요 206
(1) 현황과 추진배경 206
(2) 그간의 추진경과와 문제점 209
2)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방안 주요내용 211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개선 211
(2) 신재생 공급 신규제도 도입 및 적용 확대 211
3) 주요 추진과제 212
4) 기대효과 222
5)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 223
2-2.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224
1)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개요 224
(1) 제4차 기본계획 추진 여건 225
(2) 제4차 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228
2) 세부 추진과제 229
(1) 수요자 맞춤형 보급·확산정책 추진 229
(2) 시장친화적 제도운영 231
(3)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진출확대 234
(4)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 237
(5) 신재생 R&D 역량 강화 239
(6) 제도적 지원기반 확충 242
3. 2014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실행계획 244
3-1. 개요 244
1) 2013년 정책평가와 과제 244
2) 2014년 정책방향 246
3-2. 2014년 주요 추진과제별 추진전략 247
1) 보급사업 공고화 및 신규제도 시행 247
(1) 친환경에너지타운 시범사업 247
(2) 태양광대여사업 249
(3) 공공기관 설치의무화제도 의무비율 확대 250
(4) 수송용 연료 혼합의무제 도입추진 251
(5) 투자활성화를 위한 추경추진 (보급 및 융자) 252
2)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개선 253
(1) RPS 공급인증서 가중치 체계 개선 253
(2) RPS 공급의무비율 재조정 254
(3) RPS 의무 유예량 이행주기 조정 255
(4) ESS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256
(5) 주민참여형 사업 활성화 257
3) 제도개선 및 수용성 확보기반 구축 258
(1) 인증제도 개선 258
(2) 신재생에너지 홍보 활성화 259
(3) 2014 대한민국에너지대전 개최 260
4) 해외진출 및 R&D 강화 261
(1)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지속적 추진 261
(2) 신재생에너지 국제협력 강화 263
(3) 시장선점을 위한 R&D 강화 264
4. 2015년 주요 추진사업 동향 268
4-1.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268
1) 사업 개요 268
2) 주요 추진내용 269
3) 2015년 융복합지원사업 선정 내역 272
4-2. 에너지효율(EE) 시장 시범사업 273
1) 사업개요 273
2) 2차 경매 주요 프로젝트 275
(1) LED 조명 275
(2) 인버터 275
(3) 프리미엄 전동기 276
4-3. 프레그쉽 2차 사업, 연료전지 276
1) 개요 276
2) 연료전지 프로젝트 276
(1) 추진 배경 276
(2) 주요 추진 내용 277
(3) 연료전지 프로젝트 일정 278
4-4. 에너지 신산업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 279
1) 개요 279
2) 주요 전략별 내용 280
(1) (전략1) 시장으로 : 정부 마중물 정책 강화, 총 4조 6천억원
시장 창출 280
(2) (전략2) 미래로 : 핵심기술개발 과제 30개 추진, 올해 총
4,300억원 투자 282
(3) (전략3) 세계로 :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확보, 국제 기술협력
강화 284
3) 기후변화 대응 기술혁신과제(30개) 현황 288
4) 정책여건 전망 289
(1) 국제유가 289
(2)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289
(3) 탄소가격 290
5) 정책 방향 292
(1) 개 요 292
(2) 6개 핵심기술 분야별 기술혁신정책 방향(안) 292
6) 향후 추진일정 296
(1) 시장으로 : 조기 성과 창출, 민간 투자 유도 296
(2) 미래로 : 핵심기술 확보, 신기술ㆍ신사업 발굴 및 확산 298
(3) 해외로 : 해외 진출 지원, 국제 협력 강화 299
7) 주요 사업별 실적 및 변경 계획 300
4-5. 에너지 신산업 주요 프로젝트 302
1) 민간 유료충전사업 및 배터리리스 서비스 302
(1) 전기차 유료충전서비스 사업 302
(2) 전기차 배터리리스사업 303
2)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304
(1) 울릉도 프로젝트 304
3) 친환경 에너지타운 305
(1) 강원 홍천 305
(2) 광주, 운정 306
(3) 충북 진천 307
4) 온배수열 활용사업 308
(1) 당진화력 308
4-6. ICT기반 ESCO 사업‘15년 신규과제 309
1) 개요 309
2) 선정과제 현황 311
(1) 공조기기 에너지 효율 관리 솔루션 적용 311
(2) 전라북도 클라우드 EMS 구축 312
(3) 생산·Utility 설비용 Sub-Metering Device 기반
Manufacturing Energy Optimization System 구축 313
(4) 테이프 제조 산업의 원가경쟁력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 플랫폼 구축 314
(5) 철강산업에서의 그린 ICT 확대를 위한 FEMS 구축 315
(6) PCB 공정의 에너지 절감 시스템 구축 316
(7) 공장 환경설비 에너지절감 FEMS 구축사업 31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