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 기억의 문학적 형상화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을 평화교육의 장으로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은 대전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을 탐사 보도한 다큐 제목이다. 이 다큐가 영국 BBC 방송에서 집중 조명받아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면서 국회에서 상영되는 등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의 다큐의 제목을 넘어 하나의 고유명사로 자리잡았다. '대전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을 세상에 알리고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했던 현장문학 작가들의 흔적을 한데 모은 Anthology(시나 소설 등 문학작품을 하나의 작품집으로 모아 출판한 것)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의 제목이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인 것도 이 사건을 표현할 유일한 고유명사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대전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 취재기사를 쓴 오마이뉴스 심규상 기자의 글을 비롯하여 김영호 평론가의 평론, 고은 시인과 서정춘 시인의 시, 김성동 작가 인터뷰, 안재성, 최용탁 소설가의 소설, 그리고 제주 4.3항쟁 추모극 <협상>, 시나리오 <무저갱> 등을 싣고 있다. 특히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에 묻힌 김봉한의 아들로 작가이기 이전에 빨갱이의 자식이라는 연좌제의 늪에서 아픈 세월을 살아온 <만다라>의 김성동 작가의 인터뷰와 소설이 인상적이다. 소설가 김성동은 <눈물의 골짜기>라는 소설집을 통해 이미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에 묻힌 아버지 이야기를 풀어낸 적이 있다.
한국전쟁 70주년! 진상규명도, 원혼들을 위로하는 일도, 유가족들의 상처 회복도 요원한 듯보이는 오늘! 남은 자들이 감당해야 할 일은 제노사이드의 기억을 평화교육으로 승화시키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