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록코노믹스

록코노믹스

  • 피용익
  • |
  • 새빛
  • |
  • 2021-01-20 출간
  • |
  • 304페이지
  • |
  • 150 X 220 mm
  • |
  • ISBN 9791197296628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비틀즈부터 BTS까지”
록마니아 피용익 기자의 톡톡 튀는 이야기

국내 주요 경제지 기자의 눈은 과연 날카롭고 매서웠다. 여기에 어릴 때부터 비틀즈의 매력에 빠져 록 스타를 꿈꾸며 인생의 대부분을 음악에 빠져 살아온 저자의 다양하고도 풍부한 지식이 더해진 ‘록코노믹스’는 독자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던져준다.

이 책은 1950년대 경제 호황과 함께 태어난 로큰롤부터 시작된다. 당시 경제적 풍요로움과 기술의 발전은 그 시대 10대 청소년들의 삶의 방식을 바꿔놓기에 충분했다. 그들은 부모 세대와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며 자신의 만족을 위해 음악과 패션을 소비했다. 그런 신세대 청소년들은 스탠다드 팝이나 재즈, 컨트리가 아닌 그들의 에너지와 자유분방함을 대변해줄 수 있는 더 강하고 더 빠르고 더 신나는 음악을 찾았다. 그렇게 심장을 쿵쾅쿵쾅 울리는 음악 소리와 마음을 대변해주는 노래 가사의 로큰롤은 10대 청소년들의 귀를 사로잡았다.

1970년대 언제 끝날지 모를 베트남 전쟁과 두 차례에 걸친 석유 파동으로 미국과 영국의 경제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오일쇼크로 인해 특별한 기술이 없었던 젊은이들은 거리로 내몰렸다. 이들은 끓어오르는 분노를 표출할 통로가 필요했으며, 밴드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음악 교육을 받은 적이 없어 작곡 능력이나 연주 능력이 없었지만 오히려 ‘단순함’을 무기로 분노에 찬 대중들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그렇게 펑크 록이 탄생했다.

오일쇼크를 극복하고 경제 호황을 되찾은 1980년대는 헤비메탈이 전성기를 맞은 시대였다. 이 시대의 대중음악은 과거 저성장 시기에 억눌렸던 욕망을 표출하는 통로가 됐다. 대중은 반전이나 저항보다는 자유와 쾌락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록 음악도 과거의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벗어던지고 여자와 술, 심지어 마약을 찬양하는 노래가 넘쳤다. 그렇게 헤비메탈에 합을 접목한 글램 메탈이 1980년대 후반 대중음악의 주류로 등장했다.

영원할 것처럼 보였던 화려한 글램 메탈은 1990년대 세계 경제 성장률의 둔화와 함께 저물었다. 어느 날 연주는 단순하고 가사는 분노와 우울로 가득찬 너바나(Nirvana)가 등장했다. 멤버들의 외모는 노숙자나 다름없었다. 모든 것이 글램 메탈과는 달랐지만 대중은 이들의 음악에 매료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는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고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낮춰 경기 둔화에 대응했다. 경기가 나빠지면서 물가 상승률은 억제됐고, 취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실업률은 치솟았다. 뉴 노멀로 설명되는 저성장, 저금리, 저물가, 고실업률로 흔히 설명되는 새로운 경제 질서가 시작되면서 대중음악 시장도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됐다. 미국의 힙합과 유럽 중심의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EDM)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고, 소녀시대, 원더걸스, 싸이,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 한국 가수들이 세계 시장에 본격 진출하면서 K팝의 시대가 열렸다. 이에 비해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대중음악의 한 축을 지탱해 온 록 음악의 인기는 빠르게 식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쓴 2020년에는 예정되어 있던 거의 모든 공연이 취소됐고, 이로 인한 금전적 피해는 아티스트는 물론 음악 산업종사자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각국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장하거나 강제하면서 음악을 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자연스럽게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록은 죽었다’로 이 책을 시작한 저자는 이 세상에 음악이 존재하는 한 새로운 형태의 록은 다시 등장할 것이라고 이 책을 이어간다. 그동안 록의 역사가 증명해주듯 팬데믹으로 인한 불경기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경제 성장이 다시금 특정 록 음악의 부흥으로 이어질까? 과연 다음에 이 세상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록은 어떤 형태일까? 록마니아 피용익 기자가 전하는 ‘록코노믹스’를 읽어보자. 이 책을 읽는 독자들 나름의 비트와 이야기가 그려진 새로운 록의 세계가 열리지 않을까.


목차


들어가는 글 - Cum On Feel the Noize

Ⅰ. Nothin’ But A Good Time
1. 경제적 풍요로움을 즐긴 로큰롤
2. 공장에서 태어난 노동자들의 음악
3. 오일쇼크와 펑크 록의 탄생
4. 경제 성장기를 수놓은 글램 메탈
5. 우울한 경제를 대변한 그런지 록
6. 인터넷이 록 스타를 죽였다
7. 팬데믹 이후 록의 미래는?

Ⅱ. Practice What You Preach
1. 밥 딜런 성공으로 본 ‘부의 편중’
2. 본 조비 히트곡의 배경이 된 ‘낙수효과’
3. 척 베리와 ‘창시자의 저주’
4. 브루스 스프링스틴이 분노한 ‘매몰비용’
5. 고어 부인이 불러온 ‘메기 효과’
6. 테일러 스위프트의 ‘프레너미’
7. 빅밴드 사라진 이유는 ‘보몰의 비용질병’
8. 스타디움이 만들어낸 ‘규모의 경제’
9.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의 역설’

Ⅲ. Runnin’ with the Devil
1.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다섯 가지 원칙
2. 소비자는 최초보다 최고를 기억한다
3. 다르게 생각해야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
4. 모방으로 안 된다면 역발상을 하라
5. 틈새시장을 파고들면 성공이 보인다
6.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키워라
7. 연관 산업과의 시너지를 꾀하라
8. 새로운 판매 루트를 찾아보라
9. 분야 확장으로 주력 사업을 뒷받침하라
10. M&A는 성공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
11. 경쟁자와도 협업해 시너지를 내라
12. 브랜드 파워를 높일 기회를 놓치지 말라
13. 위기에서 구해줄 새 소비자를 주목하라

Ⅳ. Moneytalk
1. 탐욕이 불러온 반 헤일런의 침몰
2. 세금이 무서워 도망친 뮤지션들
3. 로큰롤 DJ가 돈을 버는 방법
4. 재주는 엘비스가 부리고 돈은 파커가 챙겼다
5. 프레디 머큐리의 재산을 증여받은 그녀
6. 단돈 1달러가 바꿔놓은 MTV의 운명
7. ‘악마의 뿔’ 제스처 상표권자는 누구?
8. 돈 때문에 법정에 선 로커들
9. 빼앗겼다 되찾은 ‘달콤씁쓸한’ 저작권
10. 디스코 열풍에 던져버린 ‘록부심’
11. 록 스타가 ‘투잡’을 뛰는 이유
12. 가짜 록스타가 벌인 SNS 사기극

Ⅴ. Into the Arena
1. 앨범 발표 없이 공연만 하는 까닭
2. 공연 티켓 ‘순삭’ 이유 알고 보니
3. 가수 만나는데 얼마까지 낼 수 있나요?
4. 암표 거래의 경제학
5. 록 페스티벌도 고령화 시대
6. 오지 할아버지의 마지막 콘서트
7. 레드 제플린 재결합 가치는 8500억원?
8. 라이브 에이드가 만들어낸 기적
9. 우드스탁 페스티벌의 저주

Ⅵ. Same ol’ Situation
1. 저작권료 안 주려고 재녹음한 명반
2. 커트 코베인 사망 후 급증한 앨범 판매
3. 소포모어 징크스 극복한 명반
4. 일본 음반에는 왜 보너스트랙이 있을까
5. 일본인들이 여전히 CD를 구입하는 까닭
6. 퇴물 취급받던 바이닐의 역주행
7. 음반을 거꾸로 돌리면 악마의 메시지가?
8. 메탈리카는 무엇을 위해 싸웠는가
9. P2P 이전에 테이프 트레이딩이 있었다

Ⅶ. Rock in Korea
1. 한국은 어쩌다 록의 불모지가 되었나
2. BTS의 코리안 인베이전 경제 효과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