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을 이끈 새마을운동,
인센티브를 차별화하는 시장원리와 박정희 리더십은 무엇인가?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을 상징하는 ‘한강의 기적’. 이를 이끈 박정희 대통령의 ‘새마을운동’을 경제학적으로 연구한 책이 발간됐다. ‘새마을운동 왜 노벨상 감인가’는 새마을운동을 경제학적 측면에서 저술한 책이다. 저자 좌승희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은 경제학자로서 새마을운동이 성공했던 원동력을 발전경제학 측면에서 분석했다.
21세기 들어 노벨경제학상위원회는 한강의 기적을 이끈 새마을운동에 적용한 경제적차별화 원리와 연관된 ‘행동경제학’ 분야의 대니얼 카너만 교수와 리처드 세일러 교수에게 각각 2002년, 2017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했다. 그리고 2019년 동 위원회는 정확하게 새마을운동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마을 군(群)에 제공된 차별적 인센티브가 어떻게 서로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아브히지트 바네르지 교수와 에스테르 뒤플로 교수 부부 그리고 마이클 크레머 교수 3인의 연구를 높게 평가하여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했다.
그러나 이미 50년 전에 한강의 기적을 이끈 새마을운동에 비해 그 독창성이나 스케일, 이룬 성과 무엇으로도 비교 대상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이들 누구도 이론과 실제응용 측면에서 실험경제학의 효시인 새마을운동을 아직까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한강의 기적의 원리가 보편적 경제발전 원리로서 손색이 없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계 후진국들이 새마을운동 및 한강의 기적의 모델을 이해해 빈곤 퇴치는 물론이고, 장기 저성장과 분배 악화에 직면한 선진국들과 오늘날 저성장과 분배 악화에 빠진 한국 경제의 활력 회복과 나아가 북한 경제의 재건에도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