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본어 진위판단부사의 통사.의미적 제약에 관한 연구

일본어 진위판단부사의 통사.의미적 제약에 관한 연구

  • 이순형
  • |
  • 역락
  • |
  • 2020-12-10 출간
  • |
  • 296페이지
  • |
  • 158 X 232 X 28 mm /572g
  • |
  • ISBN 9791162446218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3,28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2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는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3장 2003 「??判?の副詞と疑問形式との共起?係」, ?言語科??究?27, 言語科??.
제4장 2004a 「??判?の副詞と疑問表現形式との共起制約-確認要求の意味用法を持つ疑問表現形式を中心に-」, ?日本?報? 59, 韓?日本??.
제5장 2004b 「いわゆる??判?の副詞と?きかけ表現との共起制約」, ?日本?報?61, 韓?日本??.
제6장 2005a 「類義?係にあるいわゆる??判?の副詞の階層構造」, ?日本?報?64, 韓?日本??.
제7장 2006 「?定?件節の?部における??判?の副詞の生起制約分析」, ?日語日文??究?57, 韓?日語日文??.
제8장 2005b 「日本語の??判?の副詞と疑問形式との共起制約─社?言語?的アプロ?チの試み?」, ?地域言語?17, 日本地域言語?究?.
제9장 2011 「공통어문법 운용의 다양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동일본ㆍ중부일본ㆍ서일본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55, 언어과학회.

먼저 제1장은 서론으로 본서를 구성하는 각 장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다. 제2장은 본서와 관련 있는 선행연구를 소개하고 문제를 제기한다.
제3장에서는 진위판단부사가 「だろうか」와 부정 의문 형식(negative inter- rogative form) 이외의, 질문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문 형식(interrogative form of question), 의문 형식(interrogative form of doubt), 확인요구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문 형식(interrogative form of confirmation request), 행동요구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문 형식(interrogative form deed request) 등 의문 형식과 공기하는 실례(實例)를 제시하여 다양한 의문 형식과의 공기 관계를 밝혔다.
제4장에서는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즉 제3장에서도 밝혀진 것처럼 진위판단부사와 질문의 의문 형식, 의문 형식, 확인요구의 의문 형식, 행동요구의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을 [확실도]라는 개념에 의거하여 해당 공기 제약이 생기는 이유나 배경에 대해 아래의 [공기 제약 1, 2, 3]을 제시함으로써 각각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공기 제약 1>:특정의 진위판단부사가 의문 형식과 공기하지 않으면 그 진위판단부사는 [+확실도]이며 그 의문 표현은 [-확실도]이다.
<공기 제약 2>:특정의 진위판단부사가 의문 형식과 공기하면, 그 진위판단부사는 [+확실도]이며 의문 형식도 [+확실도]이다. 이때 의문 형식은 진정 의문 형식의 용법(질문)에서 일탈(逸脫)한 것이다.
<공기 제약 3>:특정의 진위판단부사가 의문 형식과 공기하면 부사는 진위 판단의 의미ㆍ용법이 아닌 다른 의미ㆍ용법을 지닌다. 의문 형식은 [+확실도]이다.
제5장에서는 진위판단부사와 행동요구 표현과의 공기 제약과 그 제약이 발생하는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종래 「必ず」, 「きっと」, 「多分」 등의 진위판단부사는 행동요구 표현(명령, 의뢰, 권유, 금지 등)과는 공기할 수 없다고 지적되어 왔다. 우선 행동요구 표현과 진위판단부사 「絶?」, 「必ず」, 「きっと」, 「もちろん」이 공기하는 이유는 이들 부사가 수행층(performative stratum)으로 층 전이(level shift)를 허용하기 때문이며, 「絶?」, 「必ず」, 「きっと」, 「もちろん」 이외의 부사가 행동요구 표현과 공기하지 않는 것은 수행층(performative stratum)으로 층 전이(level shift)를 허용하지 않고, 그대로 태도층(attitudinal stratum)에 머물러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명제 내용층(propositional stratum)으로의 층 전이(level shift)를 허용하는 진위판단부사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진위판단부사에는 수행층ㆍ태도층ㆍ명제 내용층에 속하는 부사, 수행층ㆍ태도층에 속하는 부사, 태도층에 속하는 부사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제6장에서는 유의관계에 있는 진위판단부사 「絶?に」, 「必ず」, 「きっと」, 「恐らく」, 「多分」에 대한 다양한 의미ㆍ용법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층 전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했다. 분석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진위판단부사 「絶?に」, 「必ず」, 「きっと」, 「恐らく」, 「多分」이 모두 태도층에 속하는 경우는 유사한 의미ㆍ용법을 지닌다. 다음으로 진위판단부사 「絶?に」, 「必ず」는 태도층에서 수행층과 명제 내용층으로 층 전이를 하는 반면에, 진위판단부사 「きっと」는 태도층에서 수행층으로의 층 전이만을 허용하므로 서로 다른 의미ㆍ용법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진위판단부사 「きっと」는 태도층에서 수행층으로의 층 전이를 허용하는 데 비해 「恐らく」, 「多分」은 수행층으로의 층 전이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서로 다른 의미ㆍ용법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제7장에서는 일본어의 진위판단부사가 가정 조건 형식인 「と」, 「ば」, 「た ら」, 「なら」의 보문부(補部)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과연 옳은 견해인지를 검토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로 「必ず」, 「絶?に」는 명제 내용층(가정 조건 형식을 제외한 부분)에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必ず」, 「絶?に」는 태도층에서 명제 내용층으로 층 전이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あるいは」, 「もしかすると류」는 가정 조건절에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진위판단부사와 가정 조건절과의 통사적 제약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가정 조건절과 문말 형식(추량ㆍ단정형)과의 의미 관계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さぞかし」, 「きっと」, 「もちろん」, 「恐らく」, 「多分」, 「ど うも」, 「どうやら」는 가정 조건절의 보문부에 포함되지 않는 점에서 이들 부사들에 한해서는 가정 조건절과의 통사적 제약이 엄격히 지켜진다. 그 이유는 이러한 부사가 판단 형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주절의 술어와 결속력이 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제8장에서는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을 검토해 공기 가능한 예와 공기 불가능한 예, 조건부로 공기 가능한 예를 각각 제시하였다. 또한 의문 형식과 공기하는 부사가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에 관여하는 조건(시제, 인칭, 조사, 어순 등) 등을 비롯한 언어의 내적 요인에 의한 분석을 했다. 또 남녀차와 지역차 등과 같은 언어의 외적 요인으로 생기는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에 대해서도 분석을 했다. 그 결과 먼저 언어의 내적 요인으로 생기는 공기 제약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문법성 판단을 실시할 때 개인의 언어 직관에 의지하거나 또는 소수의 원어민에게 판정을 의뢰하는 방법은 다수의 원어민들에게 판정을 의뢰하는 앙케트 조사나 코퍼스(corpus)를 활용한 방법에 비해 판단에 있어 편향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진위판단부사가 본래의 인식적인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을 가졌을 경우에 한해서 의문 형식과의 공기가 가능하다고 하는 모리모토(森本:1994)의 주장과는 대조적으로 인식적인 기능을 가졌을 경우라도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은 공기를 허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세 번째로는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여부에 인칭ㆍ시제ㆍ혼잣말ㆍ조사(助辭)의 변환ㆍ부사의 위치 등등의 조건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다음으로 언어의 외적 요인으로 생기는 공기 제약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공기 판정에 대해 성별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 모리모토(森本:1994)의 주장과는 대조적으로 남녀차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두 번째로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허용도를 보았을 경우 동일본(東日本)과 서일본(西日本) 모두 거의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경우도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것은 문법 연구에 있어 이번 조사 지역인 이시카와(石川)와 도야마(富山)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西日本)의 공통어가 있고, 나가노(長野)와 니가타(新潟)를 중심으로 한 동일본(東日本)의 공통어가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이러한 각각의 지역성을 반영한 공통어에 지역차가 존재하는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 존재하는 것을 밝힐 것이다. 이것은 공통어가 일본 전체에서 하나라고 하는 생각은 회화체에 한해서는 시대착오(p:6)라고 지적한 사나다(?田:1996)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매우 유의미한 언어 현상임을 강조할 것이다.
제9장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공통어로 인식되고 있는 일본어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을 포함하는 구문을 사용하여 문법 운용의 지역차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찰에 있어서는 일본 전역 어디에서나 통용되면서 도쿄어에 가깝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공통어문법 운용의 지역적인 양상을 분명히 하기 위해 전통적인 일본어 방언연구에서 말하는 지역구획에 따라 동일본, 중부일본, 서일본의 3개 구획으로 나누어 고찰, 분석하였다.
종래의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주장을 바탕으로 첫째, 이전부터 인식되어 온 일본열도의 동서 간의 어휘 사용의 방언차와 마찬가지로 공통어로 이해되고 있는 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관계에 관한 문법성 판정에 있어서도 지역차가 존재하는지, 둘째, 대량조사라는 사회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경우 문법성 판정에 있어 기존의 연구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셋째, 언어 외적인 요인 중의 하나인 지역차를 고려하였을 때 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허용도나 의미용법 및 의미 기능에 관한 문법성 판정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문법성 판정에 지역차가 생기는 것도 각각의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공통어문법’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공통어로 인식되고 있는 일본어 문법 운용의 다양성을 확인한 것은 물론, 지역차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문법연구의 상대적인 시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크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말한 것처럼 부사에 중점을 두고 생각함으로써 부사 자체의 연구뿐만 아니라 특정 표현 형식(의문 형식, 행동요구 형식, 가정 조건 형식 등)이 지니는 문법적 특성까지도 보다 다양하게 고찰할 수 있었다. 또한 부사와 각 형식과의 통사ㆍ의미적 제약도 분명히 할 수 있어 종래의 연구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새로운 연구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과는 주로 연구자 개인의 언어 직관이나 소수 원어민의 판정에 의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종래의 언어 연구 방법과는 달리 다량의 코퍼스(corpus)와 앙케트 조사 형식의 문법성 판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생각한다.


목차


제1장 진위판단부사란 무엇인가?
1. 본서의 목적
2. 진위판단부사의 정의 및 문장 구조상의 기능
3. 고찰의 방법 및 고찰의 대상
4. 본서의 구성과 각 장의 개요

제2장 진위판단부사연구의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의 개관
2. 선행연구의 문제점과 본서의 입장

제3장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관계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진위판단부사에 있어 개연성 정도
4. 의문 형식의 유형
5. 진위판단부사와 공기하는 의문 형식의 유형
6. 마치며

제4장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
-확인요구의 의미ㆍ용법을 지니는 의문 표현을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확인요구의 의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의문 형식
4. 공기 제약과 분석
5. 마치며

제5장 진위판단부사와 행동요구 표현과의 공기 제약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행동요구 표현(?きかけ表現)의 종류와 기능
4. 공기 제약
5. 마치며

제6장 유의관계에 있는 진위판단부사의 층 전이 제약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진위판단부사의 의미ㆍ용법상의 이동(異同)
4. 문장과 부사의 계층구조
5. 계층별로 본 진위판단부사의 의미ㆍ용법
6. 마치며



제7장 가정 조건절 내부에 있어 진위판단부사의 생기 제약 / 177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진위판단부사와 가정 조건 형식의 통사ㆍ의미적 제약
4. 가정 조건 형식에 의한 진위판단부사의 생기 제약
5. 마치며

제8장 언어 내ㆍ외적 요인에 따른 진위판단부사와 의문 형식과의 공기 제약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조사 방법
4. 언어의 내적 요인에 따른 결과 분석
5. 언어의 외적 요인에 의한 결과 및 분석
6. 마치며

제9장 공통어문법 운용의 다양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동일본ㆍ중부일본ㆍ서일본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문제의 소재
3. 조사 개요
4. 조사결과와 고찰
5. 마치며
제10장 언어 내ㆍ외적 관점에서 본 진위판단부사의 제 특징 / 26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